목차
서론 - 헬레니즘이란
본론 - ①헬레니즘의 교육
②헬레니즘의 철학
③헬레니즘의 종교
④헬레니즘의 과학기술
⑤간다라 미술
결론 - 헬레니즘의 의의
본론 - ①헬레니즘의 교육
②헬레니즘의 철학
③헬레니즘의 종교
④헬레니즘의 과학기술
⑤간다라 미술
결론 - 헬레니즘의 의의
본문내용
대왕의 사후 톨레미가 이집트를 다스리게 되자 알렉산드리아는 그의 후원 하에 헬레니즘 세계 과학 연구의 중심지가 된다. 가장 두드러진 발전을 이룩한 것은 천문학으로 이는 바빌로니아인들의 오랫동안 수집하고 관찰한 사실들을 기초에 그리스인들의 관찰과 계산이 더해져 우주관과 지리지식이 수립되었다.
헬레니즘시대 유명한 천문학자로는 “헬레니즘 시대의 코페르니쿠스”로 불리는 아리스타르코스가 있다. 그의 중요한 업적은 지구와 행성들이 태양의 주위를 회전한다고 추론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며 따라서 지구도 우주에 중심에 있어야한다는 그리스인의 확신과 상충되어 받아드려지지 못했다.
또 다른 학자인 히파르코스는 천체관측의를 발명하고, 달의 직경 및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계산해내는 위대한 업적을 이루었다.
헬레니즘 시대 수학은 천문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하였는데, 기하학의 가장 중요한 텍스트인 <기하학 원본>을 저술한 유클리드와, 지렛대의 반비례 법칙발견 등 많은 법칙을 발견하고 우리에게 ‘유레카’로 익숙한 아르키메데스가 있다.
의학에서 가장 큰 공헌을 한 인물은 헤로필로스로 그는 고대의 가장 위대한 해부학자였으며, 최초로 인체를 해부한 인물이었을 것이다. 그는 뇌의 각 부분이 갖는 기능상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동맥과 정맥을 최초로 구분하였다.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헤로필로스의 스승으로 관찰과 실험에 의한 귀납법적 방법으로 자신의 의학이론을 수립하였다.
⑤간다라미술
인도에서는 B.C3세기 이후부터 생겨난 간다라미술은 대표적인 불상은 간다라에서 처음 만들어져 간다라 미술이라 불린다. 불상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부처는 오직 보리수법륜보좌 등 상징적으로만 표현되었는데, 간다라 미술의 영향으로 인간적인 모습으로 부처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동방원정을 하면서 그리스인을 비롯한 서양인들이 인도지역으로 진출함에 따라 인도에 그리스계문화가 인식되어 나타난 것이 간다라미술인데, 간다라미술로는 불상이 대표적인데 간다라불상에서 특이한 것은 머리카락이 물결모양의 장발이라는 점과 용모는 눈언저리가 깊고 콧대가 우뚝한 것이 마치 서양사람과 비슷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간다라 불상들을 관찰해보면 생김새가 인간적이고 개성적이며, 부처가 입고 있는 옷의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불상이 그리스풍의 자연주의현실주의에 영향을 받았음을 말해주는 증거이다.
결론
헬레니즘의 의의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사상 및 종교와 미술 그리고 과학과 기술 등의 분야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헬레니즘 시대가 개인주의적인 세계관에 기초한 실용주의적현실주의적 문화를 보여줌을 알 수 있다, 즉 그리스, 폴리스 시대가 공동체를 위하여 존재하는 개인만이 있고, 이러한 영향으로 공동체의 이상이 표현된 이상주의 지향문화가 발전했다면 헬레니즘시대는 이전과는 달리 공동체 구성원들이 무수한 원자처럼 분리되어 개별화됨으로써 개인주의적 취향과 함께 현실적실용적 생활의 지혜를 촉구하는 문화가 발전했다.
이러한 헬레니즘 문화의 보편성과 실용성은 그리스인의 뒤를 이어 고대 지중해 세계를 주도했던 로마인들의 기질에 부합되어 로마인들이 고대 문화를 종합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헬레니즘 문화는 헬레니즘 이전의 그리스 문화와 로마 문화를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맡았던 그리스의 문화인 것이다.
참고문헌)
E.M 번즈 /R 러너/ S 미첨, 서양문명의 역사 上(박상익 번), 2007, 소나무
윤진, 헬레니즘, 2003, 살림
월뱅크, 헬레니즘 세계, (김경현 옮), 2002, 아카넷
박희영, 1998,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과 철학, 한국서양고전학회
헬레니즘시대 유명한 천문학자로는 “헬레니즘 시대의 코페르니쿠스”로 불리는 아리스타르코스가 있다. 그의 중요한 업적은 지구와 행성들이 태양의 주위를 회전한다고 추론했다는 점이다. 하지만 그의 주장은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며 따라서 지구도 우주에 중심에 있어야한다는 그리스인의 확신과 상충되어 받아드려지지 못했다.
또 다른 학자인 히파르코스는 천체관측의를 발명하고, 달의 직경 및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정확히 계산해내는 위대한 업적을 이루었다.
헬레니즘 시대 수학은 천문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발전하였는데, 기하학의 가장 중요한 텍스트인 <기하학 원본>을 저술한 유클리드와, 지렛대의 반비례 법칙발견 등 많은 법칙을 발견하고 우리에게 ‘유레카’로 익숙한 아르키메데스가 있다.
의학에서 가장 큰 공헌을 한 인물은 헤로필로스로 그는 고대의 가장 위대한 해부학자였으며, 최초로 인체를 해부한 인물이었을 것이다. 그는 뇌의 각 부분이 갖는 기능상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동맥과 정맥을 최초로 구분하였다. 의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는 헤로필로스의 스승으로 관찰과 실험에 의한 귀납법적 방법으로 자신의 의학이론을 수립하였다.
⑤간다라미술
인도에서는 B.C3세기 이후부터 생겨난 간다라미술은 대표적인 불상은 간다라에서 처음 만들어져 간다라 미술이라 불린다. 불상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부처는 오직 보리수법륜보좌 등 상징적으로만 표현되었는데, 간다라 미술의 영향으로 인간적인 모습으로 부처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동방원정을 하면서 그리스인을 비롯한 서양인들이 인도지역으로 진출함에 따라 인도에 그리스계문화가 인식되어 나타난 것이 간다라미술인데, 간다라미술로는 불상이 대표적인데 간다라불상에서 특이한 것은 머리카락이 물결모양의 장발이라는 점과 용모는 눈언저리가 깊고 콧대가 우뚝한 것이 마치 서양사람과 비슷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간다라 불상들을 관찰해보면 생김새가 인간적이고 개성적이며, 부처가 입고 있는 옷의 주름이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불상이 그리스풍의 자연주의현실주의에 영향을 받았음을 말해주는 증거이다.
결론
헬레니즘의 의의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사상 및 종교와 미술 그리고 과학과 기술 등의 분야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는 헬레니즘 시대가 개인주의적인 세계관에 기초한 실용주의적현실주의적 문화를 보여줌을 알 수 있다, 즉 그리스, 폴리스 시대가 공동체를 위하여 존재하는 개인만이 있고, 이러한 영향으로 공동체의 이상이 표현된 이상주의 지향문화가 발전했다면 헬레니즘시대는 이전과는 달리 공동체 구성원들이 무수한 원자처럼 분리되어 개별화됨으로써 개인주의적 취향과 함께 현실적실용적 생활의 지혜를 촉구하는 문화가 발전했다.
이러한 헬레니즘 문화의 보편성과 실용성은 그리스인의 뒤를 이어 고대 지중해 세계를 주도했던 로마인들의 기질에 부합되어 로마인들이 고대 문화를 종합체계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요소가 되었다. 그러므로 헬레니즘 문화는 헬레니즘 이전의 그리스 문화와 로마 문화를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맡았던 그리스의 문화인 것이다.
참고문헌)
E.M 번즈 /R 러너/ S 미첨, 서양문명의 역사 上(박상익 번), 2007, 소나무
윤진, 헬레니즘, 2003, 살림
월뱅크, 헬레니즘 세계, (김경현 옮), 2002, 아카넷
박희영, 1998, 헬레니즘 시대의 교육과 철학, 한국서양고전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