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2) 자율성 대 수치/의심(1-3세)
3) 주도성 대 죄책감(3-5세)
4) 근면성 대 열등감(5-12세)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12-19세)
6) 친밀성 대 고립감(19-)
7) 생산성 대 침체감(20-)
8) 통합성 대 절망
3. 결론
* 참고문헌
2. 본론
1) 신뢰감 대 불신감(0-1세)
2) 자율성 대 수치/의심(1-3세)
3) 주도성 대 죄책감(3-5세)
4) 근면성 대 열등감(5-12세)
5) 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12-19세)
6) 친밀성 대 고립감(19-)
7) 생산성 대 침체감(20-)
8) 통합성 대 절망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 는 침체성에 빠진 사람들이다.
8) 통합성 대 절망
이 단계는 인간의 모든 갈등이 조화롭게 통일되며 성숙한 경지에 도달하는 시기 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첫째로, 자신의 삶 전체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제까지 의 삶을 만족과 감사로 받아들이며, 심지어 자신의 죽음까지도 받아들이고 죽음 으로 끝나는 생애주기를 초월하려는 궁극적 관심까지도 갖게 한다. 둘째로, 세대 와 세대간의 계속성에 참여하는 일이다. 전 단계의 생산성이 타자에 대한 돌봄을 말하는 것이었다면 자아통합은 이전 세대와 동지의식을 갖는 동시에 인간의 존엄 과 사랑을 위해 시공을 달리해서 몸바쳐 일한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이다. 셋째로, 유년기의 순진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젊은 날의 자만심이나 방어 벽이 성숙함으로 흡수되어 거짓이나 위선이 ‘노숙한 순진성(senile childishness)’ 으로 순화되는 것이다. 이런 특징으로부터 지혜가 터져 나오고 만인을 공감케 하 는 기지가 넘쳐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런 통합과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나 타나는 대극이 혐오감이나 절망감이다. 자신을 향해서는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후회하거나 염세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는 것이고, 타인을 향해서는 아무리 값진 일을 해낸 인물이라도 경멸하려 든다. 이것은 자신의 후회스러운 감정을 타인에 게 투사하려는 것이다.
3. 결론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영향을 받은 정신 분석가였지만, 성적 욕구의 변화로 발달을 설명하는 정신분석학과 달리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고려하는 성격 및 사회성의 발달이론을 제시하였다. 에릭슨에 의하면 성격 및 사회성의 발달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생득적 경향성은 정체감에 대한 추동(Drive for identity)이다. 정체감에 대한 추동은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이며, 인간은 평생에 걸쳐 이에 대한 답을 추구하게 된다. 에릭슨의 각 단계는 아동이 성숙하고 있는 자아와 사회 사이의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부모와 관계를 맺으면서 성격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나이가 듦에 따라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이루면서 ‘자신이 누구인가(정체감)’에 대한 궁금증이 더욱 증폭되고, 일련의 정체감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한마디로 그의 사회성 발달이론은 나이가 듦에 따라 변화하는 정체감의 단계에 대한 이론이다.
* 참고문헌
교육사회학, 공석영, MJ미디어
신 교육사회학, 김정호, MJ미디어
가족사회학, 조정문, 아카넷
8) 통합성 대 절망
이 단계는 인간의 모든 갈등이 조화롭게 통일되며 성숙한 경지에 도달하는 시기 이다. 이 시기의 특징은 첫째로, 자신의 삶 전체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제까지 의 삶을 만족과 감사로 받아들이며, 심지어 자신의 죽음까지도 받아들이고 죽음 으로 끝나는 생애주기를 초월하려는 궁극적 관심까지도 갖게 한다. 둘째로, 세대 와 세대간의 계속성에 참여하는 일이다. 전 단계의 생산성이 타자에 대한 돌봄을 말하는 것이었다면 자아통합은 이전 세대와 동지의식을 갖는 동시에 인간의 존엄 과 사랑을 위해 시공을 달리해서 몸바쳐 일한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하나가 되는 것이다. 셋째로, 유년기의 순진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젊은 날의 자만심이나 방어 벽이 성숙함으로 흡수되어 거짓이나 위선이 ‘노숙한 순진성(senile childishness)’ 으로 순화되는 것이다. 이런 특징으로부터 지혜가 터져 나오고 만인을 공감케 하 는 기지가 넘쳐 나오게 된다. 그러나 이런 통합과 성숙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나 타나는 대극이 혐오감이나 절망감이다. 자신을 향해서는 지금까지 살아온 삶을 후회하거나 염세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는 것이고, 타인을 향해서는 아무리 값진 일을 해낸 인물이라도 경멸하려 든다. 이것은 자신의 후회스러운 감정을 타인에 게 투사하려는 것이다.
3. 결론
에릭슨은 프로이드의 영향을 받은 정신 분석가였지만, 성적 욕구의 변화로 발달을 설명하는 정신분석학과 달리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고려하는 성격 및 사회성의 발달이론을 제시하였다. 에릭슨에 의하면 성격 및 사회성의 발달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생득적 경향성은 정체감에 대한 추동(Drive for identity)이다. 정체감에 대한 추동은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이며, 인간은 평생에 걸쳐 이에 대한 답을 추구하게 된다. 에릭슨의 각 단계는 아동이 성숙하고 있는 자아와 사회 사이의 접촉으로 이루어진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부모와 관계를 맺으면서 성격을 형성하기 시작하며, 나이가 듦에 따라 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이루면서 ‘자신이 누구인가(정체감)’에 대한 궁금증이 더욱 증폭되고, 일련의 정체감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 한마디로 그의 사회성 발달이론은 나이가 듦에 따라 변화하는 정체감의 단계에 대한 이론이다.
* 참고문헌
교육사회학, 공석영, MJ미디어
신 교육사회학, 김정호, MJ미디어
가족사회학, 조정문, 아카넷
키워드
추천자료
나의성격심리검사(에릭슨의8단계설)
에릭슨 성장발달에 따른 인생계획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단계(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에릭슨의 8단계 발달 단계 이론!!
에릭슨의 8단계 이론
[아동발달]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 에릭슨의 심리사회적발달 단계를 8단계로 나눠서 설명.
자신의 인생을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에 근거해서 분석하는 자기분석 보고서를 작성하시오
유아기의 정서와 부모님의 양육태도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에릭슨의 8단...
아동발달 - 나의 초기기억을 쓰시고 현재 나의 심리적 발달은 에릭슨 8단계 중 어느 단계
에릭슨과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 보고서
에릭슨의 인간발달단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각 8단계의 심리사회적 위기에 대하여 설명 하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자기분석 보고서 - 자신의 인생을 프로이드와 에릭슨의 이론에 근거해...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 8단계와 본인이 살아온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