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Reference
2. Materials
3. Method
4. Result
5.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고 먹이를 소화가 시작되는 위수강 속으로 밀어 넣는 육식동물이다. 소화되지 않고 남은 찌꺼기는 입/항문을 통하여 배출된다. 촉수는 방어와 먹이 포획의 기능을 하는 자포동물 특유의 세포들인 일련의 자세포들로 무장되어 있다. 자세포는 작은 주머니 모양의 세포소기관으로서 뒤집혀 발사되는 자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에서 자포동물이라는 문의 이름이 유래했다. 특수화된 자포에는 자포동물 먹이의 체벽을 관통할 수 있는 자사가 들어 있다. 다른 형태의 자포는 자포동물의 촉수에 부딪히는 작은 먹이들에 들러붙거나 엉키는 긴실을 가지고 있다.
자포동물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의 수축조직과 신경이 나타난다. 피층과 위층의 세포들은 수축성 섬유들을 형성하는 미세섬유의 다발들을 가지고 있다. 위수강은 수축성세포들이 지지대로 삼아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체골격으로 기능한다. 자포동물이 입을 닫아 내부 공간의 부피를 고정시킨 채 세포들을 선택적으로 수축하게 되면 동물의 형태가 변하게 된다. 운동은 신경망에 의해 통합적으로 조절된다. 자포동물은 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산만신경망은 몸 주변에 방사상으로 분포되어 있는 단순한 감각기들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자포동물은 모든 방향의 자극들을 동등하게 감지하여 반응할 수 있다.
*Reference
최신일반생물학/권오길외7명/강원대학교출판부/2004/P369~371
생명과학/campbell외6명/바이오사이언스/2008/P679~682
킴볼생물학/John W. Kimball/대학생물학교재위원회/1999/P898~901
생명과학4판/Neil A외5명/라이프사이언스/2004/P322~323
자포동물에서 가장 단순한 형태의 수축조직과 신경이 나타난다. 피층과 위층의 세포들은 수축성 섬유들을 형성하는 미세섬유의 다발들을 가지고 있다. 위수강은 수축성세포들이 지지대로 삼아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체골격으로 기능한다. 자포동물이 입을 닫아 내부 공간의 부피를 고정시킨 채 세포들을 선택적으로 수축하게 되면 동물의 형태가 변하게 된다. 운동은 신경망에 의해 통합적으로 조절된다. 자포동물은 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산만신경망은 몸 주변에 방사상으로 분포되어 있는 단순한 감각기들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자포동물은 모든 방향의 자극들을 동등하게 감지하여 반응할 수 있다.
*Reference
최신일반생물학/권오길외7명/강원대학교출판부/2004/P369~371
생명과학/campbell외6명/바이오사이언스/2008/P679~682
킴볼생물학/John W. Kimball/대학생물학교재위원회/1999/P898~901
생명과학4판/Neil A외5명/라이프사이언스/2004/P322~323
추천자료
영화 - 미술관 옆 동물원을 보고....
(독후감) '잡식동물의 딜레마’를 읽고
[영문학과]『유리동물원』에 나타난 인간 내면의 이중적 세계
다른나라와의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애완동물 산업 발전 방안 모색
[약물학 실험]실험동물 취급법
[중/고교생수준]'동물농장' 독후감
(A+ 독후감) 동물농장을 읽고
12간지(12지신) 동물관련속담 분석
개와 고양이 (과연 싸우는 동물인가)
[환경] 인간과 동물의 공존
시민사회와 NGO - 멸종위기 동물, NGO 그리고 정부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 구역, 수원환경...
[생물 실험] 진핵생물(동물세포 / 식물세포) 현미경 관찰
[생물학 실험]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비교 관찰
[한국전통문화]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