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다시마의 특징
Ⅲ. 다시마의 영양성분
Ⅳ. 다시마의 성장
1. 성장도 조사
1) 엽장(Blade Length)
2) 엽폭(Blade Width)
3) 엽중량(Blade Weight)
4) 비대도(Degree of Thickness)
2. 양성시작과 수확시기
1) 양성시작
2) 수확시기
Ⅴ. 다시마의 양성
1. 양성적지조건
2. 씨줄 붙이기‧착생밀도
1) 씨줄 붙이기
2) 착생 밀도
3) 시설 방법
4) 시설보전(施設保全)에 대한 요점
5) 양성관리
Ⅵ. 다시마의 방출
Ⅶ. 다시마의 유통
1. 전국적인 상황
2. 현지판매
3. 수출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다시마의 특징
Ⅲ. 다시마의 영양성분
Ⅳ. 다시마의 성장
1. 성장도 조사
1) 엽장(Blade Length)
2) 엽폭(Blade Width)
3) 엽중량(Blade Weight)
4) 비대도(Degree of Thickness)
2. 양성시작과 수확시기
1) 양성시작
2) 수확시기
Ⅴ. 다시마의 양성
1. 양성적지조건
2. 씨줄 붙이기‧착생밀도
1) 씨줄 붙이기
2) 착생 밀도
3) 시설 방법
4) 시설보전(施設保全)에 대한 요점
5) 양성관리
Ⅵ. 다시마의 방출
Ⅶ. 다시마의 유통
1. 전국적인 상황
2. 현지판매
3. 수출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양식이 동해안부터 제주도를 제외한 전 연안에서 이루어진다. 주로 양식하는 종류는 일본 홋카이도 원산의 참다시마인데, 원산지에서는 12~3월에 어린잎[幼葉]이 나와서 7월까지 성장한다. 이 종은 아직 엽체가 얇고 가벼워서 상품가치가 없으며 초가을에서 겨울까지 자란 다음, 포자를 내보내고 나면 엽체 끝부분이 점점 녹아버려 심하면 밑동만 남는다.
늦가을부터 초겨울의 재생기에는 잎의 밑동에 있는 생장대가 다시 활동하여 2년째잎을 만들어 여름까지는 매우 두꺼운 엽체가 만들어진다. 2년째의 엽체는 6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포자를 내보내는데, 11월 무렵이 최성기가 된다. 다시마는 2년생 엽체부터 채취할 수 있다.
방출된 포자는 한동안 물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바닥에 착생하며 불과 수십 개의 세포로 된 실 모양 배우체(配偶體)를 형성하고, 수온 10℃ 이하의 조건이 되면 알과 정자를 만들며 수정한다. 수정란은 현미경적인 크기의 아포체(芽胞體)를 이루었다가 새로운 포자체의 어린잎을 만들게 된다.
이들은 포자체가 크고 배수의 염색체를 지닌 복상세대(複相世代)와 현미경적인 크기인 배우체와 반수인 염색체를 가지는 단상세대(單相世代)가 되풀이되는 이형세대교번(異型世代交番)을 한다. 양식할 때는 덜 자란 배우체를 채묘(採苗)하여 수정한 뒤, 아포체와 어린잎이 나타나는 시기에 바다로 내보낸다.
Ⅶ. 다시마의 유통
1. 전국적인 상황
전국적으로 다시마가 건강 식품으로 인식됨으로써 환, 과립, 액기스 등으로 개발되고 남해안에서 전복먹이용으로 대량 소비되고 있어 다시마 원료가 부족한 실정인대다 백령도다시마는 국내최고의 품질로 알려지면서 각 소비처에 구입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2. 현지판매
백령도 지역의 2개 가공업체 1개 판매소에서 건다시마 10톤 이상이 필요하고 수도권의 대형판매 및 가공업체에서 백령도산 다시마를 확보해주기를 간청하고 있다.
3. 수출
국내 건 다시마가 일본, 미국으로 년간 500톤 이상이 수출되고 있으며 수출업체 간부가 백령도 다시마의 견본품을 보고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수출물량 확보를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백령, 대청 주변 해역에서의 다시마 양식 산업은 국내 최고 품질의 최우량다시마 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다시마와 비단가리비 복합양식은 비단가리비의 배설유기물을 다시마가 흡수하는 환경 친화적 양식으로 1석 3조의 효과 거양과 함께 양식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원 창출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Ⅷ. 결론
영양이나 기능성 소재가 많은 해조류지만 수온의 영향에 의해 주 생산시기가 수개월간으로 제한되며 원조의 신선도 등 품질안전성도 낮기 때문에 소비도 단시간내에 이뤄지지 않으면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해조류는 그동안 신선한 상태로 저장되지 못했다. 하지만 건조, 염장, 조미가공 과정 등의 진공포장 기술이 개발되면서 식품으로서 놀라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제는 수요와 공급의 흐름에 따라 향후 변화돼 가는 여건들을 예측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수산물 생산, 유통의 시스템화가 절대적으로 요구된 것이다. 단지 생산에만 치중했던 기존의 양식 패턴에서 탈피, 효과적인 소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체제가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판매의 기본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양식물을 생산할 때부터 가공과 판매를 염두에 둔 방식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공영근(1993), 자연산 및 양식다시마의 생장과 형태변이
백국기(1977), 다시마 종묘배양에 관한 연구, (1)발생과정과 부착효과, 수진연구보고
장정원권세혁(1970), 다시마양식에 관한 연구, (1)애기다시마 이식에 대하여, 수진연구보고
장정원(1975), 양식다시마의 월하 생태조사, 수진사업보고
늦가을부터 초겨울의 재생기에는 잎의 밑동에 있는 생장대가 다시 활동하여 2년째잎을 만들어 여름까지는 매우 두꺼운 엽체가 만들어진다. 2년째의 엽체는 6월부터 다음해 3월까지 포자를 내보내는데, 11월 무렵이 최성기가 된다. 다시마는 2년생 엽체부터 채취할 수 있다.
방출된 포자는 한동안 물속을 헤엄쳐 다니다가 바닥에 착생하며 불과 수십 개의 세포로 된 실 모양 배우체(配偶體)를 형성하고, 수온 10℃ 이하의 조건이 되면 알과 정자를 만들며 수정한다. 수정란은 현미경적인 크기의 아포체(芽胞體)를 이루었다가 새로운 포자체의 어린잎을 만들게 된다.
이들은 포자체가 크고 배수의 염색체를 지닌 복상세대(複相世代)와 현미경적인 크기인 배우체와 반수인 염색체를 가지는 단상세대(單相世代)가 되풀이되는 이형세대교번(異型世代交番)을 한다. 양식할 때는 덜 자란 배우체를 채묘(採苗)하여 수정한 뒤, 아포체와 어린잎이 나타나는 시기에 바다로 내보낸다.
Ⅶ. 다시마의 유통
1. 전국적인 상황
전국적으로 다시마가 건강 식품으로 인식됨으로써 환, 과립, 액기스 등으로 개발되고 남해안에서 전복먹이용으로 대량 소비되고 있어 다시마 원료가 부족한 실정인대다 백령도다시마는 국내최고의 품질로 알려지면서 각 소비처에 구입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2. 현지판매
백령도 지역의 2개 가공업체 1개 판매소에서 건다시마 10톤 이상이 필요하고 수도권의 대형판매 및 가공업체에서 백령도산 다시마를 확보해주기를 간청하고 있다.
3. 수출
국내 건 다시마가 일본, 미국으로 년간 500톤 이상이 수출되고 있으며 수출업체 간부가 백령도 다시마의 견본품을 보고 제품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수출물량 확보를 요청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백령, 대청 주변 해역에서의 다시마 양식 산업은 국내 최고 품질의 최우량다시마 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다시마와 비단가리비 복합양식은 비단가리비의 배설유기물을 다시마가 흡수하는 환경 친화적 양식으로 1석 3조의 효과 거양과 함께 양식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원 창출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Ⅷ. 결론
영양이나 기능성 소재가 많은 해조류지만 수온의 영향에 의해 주 생산시기가 수개월간으로 제한되며 원조의 신선도 등 품질안전성도 낮기 때문에 소비도 단시간내에 이뤄지지 않으면 안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해조류는 그동안 신선한 상태로 저장되지 못했다. 하지만 건조, 염장, 조미가공 과정 등의 진공포장 기술이 개발되면서 식품으로서 놀라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제는 수요와 공급의 흐름에 따라 향후 변화돼 가는 여건들을 예측하고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수산물 생산, 유통의 시스템화가 절대적으로 요구된 것이다. 단지 생산에만 치중했던 기존의 양식 패턴에서 탈피, 효과적인 소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체제가 갖춰져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판매의 기본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양식물을 생산할 때부터 가공과 판매를 염두에 둔 방식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공영근(1993), 자연산 및 양식다시마의 생장과 형태변이
백국기(1977), 다시마 종묘배양에 관한 연구, (1)발생과정과 부착효과, 수진연구보고
장정원권세혁(1970), 다시마양식에 관한 연구, (1)애기다시마 이식에 대하여, 수진연구보고
장정원(1975), 양식다시마의 월하 생태조사, 수진사업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