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골재의 밀도및 흡수율시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Testing for Density and Absorption of fine Aggregate)

[Ⅰ] 시험의 목적
[Ⅱ] 시험용 기계기구 및 재료
[Ⅲ] 시 험 방 법
[Ⅳ] 주 의 사 항
[Ⅳ] 참 고 사 항
[Ⅳ] 고 찰

본문내용

2.65 이상
3.5 이하
1.5 ~ 3.5
1.5 이하
(10) 골재의 밀도에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와 절대건조상태의 밀도()가 있는데,
이 사이에 흡수율(Q)을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골재의 흡수율이 커질수록 양자의 밀도값에 차가 생기므로 골재의 밀도는 표면건조
포화상태의 밀도인지 절대건조상태의 밀도인지를 명시할 필요가 있다.
(11) 그림 3-11과 같이 일반적으로 밀도가 큰 골재는 강도나 내구성이 우수하고, 밀도가 작
은 골재는 다공질로 흡수율이 크게 되는 경향이 있다.
[Ⅳ] 고 찰
이번 시험의 목적은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의 측정을 통해서 콘크리트의 중요 재료로 이용되는 잔골재의 일반적인 성질과 콘크리트 배합 설계시의 절대 용적과 혼합(사용)수량, 잔골재의 공극상태를 알 수 있는데 있다.
잔골재의 비중은 보통 2.50 ∼ 2.70이며, 흡수율은 3%이하가 적당하다. 흡수량이 3%이상인 잔골재는 콘크리트의 강도나 내구성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시험시 사용된 잔골재의 비중은 2.63, 흡수율은 1.30%로 일반적인 잔골재의 비중과 흡수율의 범주에 들어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험결과에 정확도를 떨어뜨린 요인으로는 플라스크에 골재를 넣고 공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골재의 부유물과 물이 섞여 많은 양의 거품이 생겼는데, (스포이드를 사용하여 제거) 이러한 거품이 정확한 비중 측정을 방해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외 사람이 측정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개인오차 및 환경적인 오차가 발생했을거라 추정된다.
비중의 측정을 통해서 비중이 큰 잔골재는 강도가 큰 골재라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잔골재의 흡수량은 골재알 속의 빈틈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며, 흡수율이 낮은 골재는 동결에 대한 내구성이 큰 골재다. 이를 통해 시험 시 사용된 골재는 적당한 강도를 가지며 낮은 흡수량으로 보아 골재알 속의 공극이 낮고 동결에 대한 내구성이 큰 골재임을 판단할 수 있다. 골재의 빈틈이 적으면(입자가 고름) 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사용 수량이 줄어들어 콘크리트의 강도가 커지고, 건조 수축이 작아지며, 마멸 저항과 수밀성이 큰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즉, 비중이 높고 흡수율이 낮을수록(공극률이 낮으므로) 좋은 골재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 시험 시 사용되는 골재는 이 범주에 속하는 우수한 골재라고 판단 할 수 있다.
실험명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시험
실험일
2010년 5월 14일
실험실의 상태
실온(℃)
습도(%)
수온(℃)
건조온도(℃)
시료
채취장소
채취날짜
채취자
측정번호
1
① 플라스크 무게(g)
201.60
② 물과 빈 플라스크의 무게(g)
699.70
③ 표면 건조상태의 시료의 중량(g)
500.00
④ (플라스크)+(물)+(시료)의 중량(g)
1009.30

⑤ 표건상태의 비중 --------------
②+③-④
2.63
⑥ 시료의 건조중량(A) (g)
493.60
500-⑥
⑦ 흡수량 --------- ×100(%)

1.30
실험자
학 번
분 반
학 년
성 명
검인
2010년 월 일 (인)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7.29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