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요약입니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 요약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2장까지 요약.

본문내용

내부에서' 도출되는 것이다.
교육학 이론은 교육 활동을 교사 자신의 이론적 안목으로 이해하고 교육과 교사 자신의 삶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교육학 이론은 교육을 교사 자신의 삶의 목적으로 이해하고 거기에 헌신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그리고 교과교육학 또한 이와 동일한 관점에서 그 성격이 파악될 수 있다. 교과교육학은 교사의 교과교육 활동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일에 관심을 둔다. 교과교육학은 교과를 가르치고 배우는 일이 개인의 삶의 이상을 구현하는 일과 다른 일이 아님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며, 교육학은 교육내용으로서 교과를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이 곧 인간의 마음을 실재의 세계로 나아가도록 이끌고 부추기는 일이라는 점을 일반적인 수준에서 설명하고 정당화한다.
3. 교과교육의 발전 방향
인간 활동으로서의 교육은 교육의 바깥에서 주어진 모종의 외재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 아니다. 인간 활동으로서의 교육은 그 활동의 내부에 그 활동이 실현해야 할 가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교육의 과정에서 그 의미가 구현되어야 할 대상이다. 교육학 또는 교육이론에서는 교육의 과정 속에서 실현되는 가치가 무엇이며 그 가치가 그 교육의 과정 속에 어떤 방식으로 실현되는지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설명하는 일이 핵심적인 관심사가 된다. 교육학 또는 교육이론이 관심이 두고 있는 기술과 설명은 모두가 실재를 향한 마음의 발달 과정 또는 교과를 공부함으로써 개인의 마음이 실재를 획득하고 내면화해 나가는 과정을 조명하고 정당화하는 일과 관련을 맺고 있다.
4. 맺음말
교사가 가르치는 일에 몰두할수록 자신의 힘만으로는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인류의 거대한 지적 유산과 맞닥뜨리게 된다. 교사는 이러한 인류의 지적 유산을 전수하는 삶을 살면서 스스로의 변화를 꾀하며, 그와 동시에 그 변화를 다시 학생들에게 전달하려고 하는 존재이다. 구체적인 교육사태에서 교사의 모습은 교사의 가르치는 일은 자신이 알고 있던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만 하는 기계가 아니라는 점, 교수-학습 사태에서부터 교과교육, 교과교육학, 그리고 교육학의 관련 양상이 얼마나 복잡하게 얽혀서 작용하고 있는가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제12장 교육과정 연구의 영역과 과제
1.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
하나의 연구 분야로서의 교육과정에는 실제적 관심과 이론적 관심이라는 두 가지 이질적인 관심이 공존한다. 실제적 관심은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처방하는 것과 관련된 관심이며, 이론적 관심은 교육과정 실제가 나타내는 현상을 이해하는 것과 같은 관심이다. 실제적 관심은 '이론의 실제적 적용'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론적 관심은 '실제의 이론적 이해'로 표현될 수 있다. 교육과정 이론은 교육과정 실제를 위한 직접적인 지침이 되는 것으로 그 범위를 국한시켜서도 안 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교육과정 실제와 완전히 동떨어진 것이 되어서도 안 된다. 이론적 관심과 실제적 관심 사이에는 미묘한 균형이 유지되어야 한다.
2. 교육과정 연구의 영역
교육과정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방안이 제안되는 경우가 전연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연구라는 것은 성격상 실제적 처방이 아닌 이론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이해의 중요성은 사회학자와 철학자들에 의해 부각되었다. 그리고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적 이해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일단 인식되고 난 후에는 교육과정을 역사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연적으로 대두되게 된다. 교육사는 교육과정에 관한 이해의 범위를 무제한적으로 확장시켜주며 교육과정사는 교육과정에 관한 이론적 이해를 시간적으로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확장시켜 준다.
3. 연구과제
교육과정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는 교과와 마음의 실재, 동양의 교육과정 이론, 교과별 지식이론이다.
- 교과와 마음의 실재
역사적으로 볼 때 교과의 의미에 관한 견해로서 가장 널리, 명시적으로 암암리에 자명한 것으로 받아들여진 이론은 형식도야이론이다. 형식도야이론은 마음을 개인의 내부 어딘가에, 비록 도야되지 않은 형태로나마 들어 있는 기성의 '부소능력'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교과를 '형식'의 측면에서 파악하면서 교과는 그 형식에 상응하는 부소능력을 개발함으로써 유능한 생활인이 형성될 수 있다고 보았다. 우리는 경험적 마음을 초월하는 형이상학적 마음을 가지고 있으며 교과는 형이상학적 마음이 경험적 마음으로 분유되는 유일한 통로이다.
- 동양의 교육과정 이론
동양의 교육과정 이론이라고 말하는 것은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을 말한다. 성리학의 교육과정 이론이 가장 포괄적이고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문헌으로는 中庸이 있다. 주희가 해석한 바에 의하면 중용은 '心法'의 이론서이며 이것이 바로 교육과정 이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흔히 동양 사상은 '실제적' 성격을 띠는 것으로 규정되고 있으며 그러한 규정은 동양 사상은 올바른 삶에 대한 관심을 나타낸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동양의 교육과정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장차의 연구여하에 따라 서양의 교육과정보다 훨씬 심오하고 정교한 교육과정 이론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 교과별 지식이론
교육인식론은 지식을 획득하고 전달하는 사태를 떠나서는 지식의 성격이 올바르게 규정될 수 없다는 것, 지식을 전달하고 획득하는 일 자체가 지식의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핵심 주장으로 하고 있다. 이 주장에 의하면 교육은 단순히 인식론의 논의를 '소비'하는 위치에서 벗어나서 '생산자'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한편 지식의 일반 이론과 학문별 지식 이론 사이의 관련을 고려할 때 교과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그 교과의 성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일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
'교과의 구조'를 밝히는 일은 단순히 그 교과를 잘 가르치기 위해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이 바로 그 학문 분야의 지식의 성격을 밝히는 일에 해당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교과교육에 종사하는 것이 지식의 의미를 규정하고 창달하는 일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될 때 사범대학의 교육은 가장 높은 수준의 '일반교육'으로 간주될 것이며, 교과를 가르치는 일을 평생의 업으로 삼는 교직은 그 본래의 직분에 합당한 성직으로서의 지위를 누리게 될 것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0.07.31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9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