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원계획론(공원녹지계획론) 노트필기.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원계획론(공원녹지계획론) 노트필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공원계획론
김용수

본문내용

다.
① Tee
제 1타를 하는 지점, Tee ground의 약칭이고 그 크기와 형은 지형에 따라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상이하지만 최근까지는 대부분 사각형인 Tee를 계단식으로 2개 내지 3개를 조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근래 골프 인구의 증가에 따라 점차 Tee의 잔디 보호와 관리의 기계화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리고 tee라는 고정 위치를 인식함이 없이 자유로운 평원에서 타구하는 식으로 하기 위하여 tee의 형을 장타원형 한 단으로 하고 약간의 경사를 가지게 하고 그 면적도 크게 하여 Tee mark를 여러 지점에 이동할 수 있게끔 하여 잔디 보호와 그 관리의 합리화를 도모하고 있다.
우리나라 법규상으로는 tee의 면적을 165m2(약 50평)이상으로만 되어 있지만 골프장에서는 보통 200m2에서 300m2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tee의 구분 명칭은 설치하는 tee 위치와 수에 따라 대략 다음과 같이 호칭한다. 2개의 tee가 배열되어 있을 때 전면의 tee를 front tee, 후면의 것을 back tee라고 하고 3개의 경우는 그림과 같이 호칭한다.
back tee
front tee
back tee
regular tee
front tee
survice tee champion tee
woman tee front tee
tee의 잔디는 답압으로 인하여 많은 장해를 받으니 그 비배(肥培, 살찌우는 것) 관리에는 특히 노력을 하여야하며 재생이 힘들 시에는 봄에 잔디를 새로 전면 식부 교체하기로 한다. 잔디의 벌고는 15mm로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경기 시에는 경기 위원의 지시에 따라 잔디의 벌고를 조정하여야 한다. 지시가 없을 때는 13mm로 한다.
<홀의 각 부부 명칭>
② 훼어.웨이(Fair way)
골프공을 tee에서 정상적으로 타구하였을 때 통과하며 낙하되어서 제 2타를 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 잔디밭이다.
지표면의 요철이 거의 없어야 하고, 배수가 잘 되고 잔디의 생육이 왕성해야 한다. 잔디의 벌고는 200mm가 표준이지만 경기 시에는 17mm로 깎고, 최종적으로 잔디를 깎을 시에는 잔디 보호를 위하여 25mm로 하는 것이 양호하다.
③ 벙커(Bunker)- 홀 중간에 설치한 인공장애물
홀의 도중과 그린을 둘러싸는 장소에 인공적으로 만들어 놓은 장해물이며 입경 0.25~1.00mm사이의 백색의 모래를 요지에 넣어서 둔다. 모래의 두께는 균일하게 15cm로 한다. 벙커는 O.B 나 lost ball을 방지할 목적을 가지는 Guard bunker와 그린 주위에 있는 Cross bunker, Side bunker가 있다.
벙커의 개수는 18홀에 있어서 주위의 여건에 따라 상이하지만 평균적으로 그린이 한 홀에 1개일 때는 50개 내외, 2개 일때는 70~80개 내외가 보편적이다.
④ O.B.(out of bound)
out of bound의 약칭이다. O.B. 선 외에서는 플레이가 금지된 지역을 말한다. 코스와 O.B.와의 경계는 보통 백색의 말뚝으로 표시하고 말뚝의 안쪽의 지상의 선이 경계선이다. 말뚝과 말뚝 사이는 상호간 투시가 되게끔 설치한다. 그리고 플레이어는 일반적으로 우곡(右曲) 타구 즉 슬라이스(slice)가 잘 일어나므로 가능한 한 우측에는 O.B.를 설치하지 않는 방향으로 홀을 조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⑤ 워터 해저드(Water Hazard)
바다, 연못, 하천, 배수구 기타 뚜껑 없는 수로(물의 유무를 不向)및 이와 유사한 수역을 말한다. 워터 해저드 구역 내의 지면 또는 수면은 생물로 덮여 있거나 없거나를 불구하고 이 지역에 포함된다. 황색 말뚝 또는 선으로 표시되고, Tee에서 근거리에 배치하든지 홀의 외측에 배치되게끔 설계하면 경관조성에 큰 도움이 된다. 그리고 플레이에 대한 흥미와 긴장감도 한층 더 높아진다.
④ 마운드(Mound)
홀 내의 구릉을 말하며 이 마운드의 크기, 배치, 모양 등은 각 홀의 난이(쉽고 어려움)에 많은 영향을 주고 실전에도 큰 역할을 한다.
* 수목원(樹木園) (p. 144)
- 생태계내의 살아있는 식물을 수집해서 일반인에게 전시하고 해설함과 동시에 레크레이션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시설의 하나이다.
1. 수목원의 기능(p.147~150)
① 식물 수집, 전시기능
② 학술연구 기능
③ 교육적 기능
④ 식물종 보전의 기능
⑤ 레크레이션 기능
2. 수목원의 분류
① 조성 및 운영주체에 따른 분류
ⓐ 국립수목원 - 산림청장이 조성, 운영
ⓑ 공립수목원 - 지방자치단체가 조성, 운영
ⓒ 사립수목원 - 법인, 단체 또는 개인이 조성, 운영
ⓓ 학교수목원 - 초중등교육법 및 고등교육법의 규정에 의한 학교 또는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설립된 교육기관이 고육지원 시설로 조성, 운영
② 국내 수목원의 초기 조성목적에 따른 분류
구분
내용
학술연구
1. 식물학 상 분류, 형태, 생리, 유전 등의 연구과 임업, 농업, 공예, 원예, 경제 등 특수한 연구가 행해지는 수목원
2. 국립수목원, 공립수목원 및 각 대학 부속수목원이 이에 해당된다.
식물지리학, 생태학
1. 동아이사,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 지리적으로 짜여 진 것과 생태적 견지로 고산수, 수변, 사막, 해저, 동굴, 산림 등을 이용한 수목원
교육
1. 교육기관의 교재용으로 설치된 수목원.
2. 서울대 관악수목원, 수원수목원, 성균관대 부속식물원, 부산대 약초원, 원광대 자연식물원이 이에 해당한다.
특정식물전시
1. 송백류, 야자류, 선인장류, 초원, 외국산 수목 등 어느 특정 종류의 식물을 중심으로 수목원
2. 천리포 수목원, 한국도로공사 전주수목원 등이 해당한다.
생산
1. 진기하거나 새로운 식물 등의 도입, 생산을 위한 공원형식의 수목원.
2. 천리포수목원, 한택수목원, 기청산 식물원, 한국자생식물원, 한국도로공사 전주 수목원 등이 있다.
관상
1. 오로지 바라보기 위한 것으로 휴식과 산책을 위한 공원형식의 수목원.
2. 각 공립수목원, 한국자생식물원, 외도식물원 등이 이에 해당한다.
특수
1. 문화, 역사상 의미가 있는 식물만을 모아 전시 소재로 하는 거소가 맹인 저명한 인물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한 수목원.
2. 국립수목원의 맹인식물원이 이에 해당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7.3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5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