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감염을 위한 예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뇨기계 감염을 위한 예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뇨의 정의
2. 배뇨통증
3. 예방법
4. 증상

본문내용

는 알파차단제인 Terazosin을 투여하여 방광의 평활근을 이완 시켜 준다.
Ⅷ. 비뇨기계 감염을 위한 예방법
1. 일상생활에서의 예방법
1) 충분한 수분섭취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하루에 2리터 이상의 수분을 섭취하게 한다.
2) 소변을 보고 싶을 때 참지 말고 바로 본다.
3) 대변을 본 후 씻을 때는 회음부에서 항문방향으로 씻는다.
4) 패드 교환시 회음부에서 항문방향으로 패드를 제거한다.
5) 성교 전에 성기 부위를 씻는다.
6) 욕조 안에 물을 받아 목욕 하는 것 보다는 샤워를 하도록 한다.
2. 병원에서의 예방법
1) 감염은 도뇨를 한 대상자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발생한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① 적절한 손씻기 방법을 따를 것
② 교차감염을 막기 위해 소변측정 용기를 각자 사용할 것
③ 배변이나 변실금 후에 회음 간호를 시행할 것
2) 폐쇄배액 체계를 유지하는 것은 감염을 조절하는데 중요하다.
① 폐쇄적 방법에서 어느 한 곳이 열리게 되면 미생물 침입이 가능해진다.
② 위험성이 있는 부위 : 도뇨관 삽입환경, 배액주머니, 마개, 배액관의 접합부위, 배액관과 주 머니의 접합부위 등.
③ 오염된 표면에 배액주머니 마개가 닿지 않도록 유의할 것
④ 검사물을 얻거나 소변양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부위에서 배액체계를 열지 말 것
⑤ 배액관이 분리 됐을 때 도뇨관이나 배액관의 끝을 손으로 만지지 말 것. 다시 연결하 기 전에 방부 용액으로 관의 끝을 닦을 것
3) 배액관에 소변이 고이거나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할 것
① 배액주머니 안의 소변은 미생물 성장의 우수한 배지 -> 세균은 고여 있는 소변에서 성 장하여 배액관을 타고 이동 -> 배액관의 소변이 거꾸로 방광 쪽으로 흘러 들어가면 감염 이 발생.
② 방광의 높이 위로 배액주머니를 올리지 말 것
③ 대상자를 침상이나 이동 침상으로 옮기려 할 때 배액주머니를 들어 올려야 할 필요가 있으면 배액관을 잠글 것
④ 운동이나 기동을 시작하기 전에 배액관에 있는 모든 소변을 배액주머니 속으로 배액시 킬 것
⑤ 적어도 매 8시간마다 배액주머니를 비울 것
⑥ 배액관을 장시간 잠그어 놓거나 꼬이지 않도록 할 것
<참고문헌>
건강사정 이강이, 박정숙, 이영휘, 전시자, 홍미순 외 편역 | 현문사(유해영) | 2001년
기본간호학 Patricia A. Potter,Anne Griffin Perry 공저/변영순 등역 | 정담미디어 | 2008년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8.0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0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