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리는 '/', 실행파일은 '*', 심볼릭 링크는 '@'가 나타남)
l : 파일에 관한 상세 정보 표시
a : dot 파일(.access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표시
t : 파일이 생성된 시간별로 표시
C :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표시
R : 서브디렉토리 내용까지 표시
ex) # ls -al
# ls -aC
# ls -R
cd
:디렉토리를 변경
# cd cgi-bin : 하부 디렉토리인 cgi-bin으로 들어감
# cd .. :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 cd 또는 cd ~ : 어느곳에서든지 자기 홈디렉토리로 바로 이동
# cd /webker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하위나 상위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webker)로 이동하려면 /로 시작해서 경로이름을 입력
cp
:화일 복사(copy)
# cp index.html index.old
: index.html 화일을 index.old 란 이름으로 복사
# cp /home/test/*.* .
: test 디렉토리내의 모든 화일을 현 디렉토리로 복사
mv
:파일이름(rename) / 위치(move)변경
# mv index.htm index.html
: index.htm 화일을 index.html 로 이름 변경
$ mv file ../main/new_file
: 파일의 위치변경
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 : download 디렉토리 생성
rm
:삭제
# rm test.html : test.html 화일 삭제
# rm -r <디렉토리>
: 디렉토리 전체를 삭제
# rm -i a.*
: a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일일이 삭제할 것인지 확인하면서 삭제
# rm -rf <개체>
: 개체를 강제로 삭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함)
rmdir
:비어있는 디렉토리 삭제
# rmdir cgi-bin : cgi-bin 디렉토리 삭제
pwd
:현재의 디렉토리 경로를 보여주기
alias
"doskey alias" 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음
이들 앨리어스는 [alias ls 'ls -al']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됨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
# cat filename
more
:cat 명령어는 실행을 시키면 한 화면을 넘기는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모두 볼수가 없음. 하지만 mor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화면 단위로 보여줌
# more <옵션>
Space bar : 다음 페이지
Return(enter) key : 다음 줄
v : vi 편집기로 전환
/str : str 문자를 찾음
b : 이전 페이지
q : more 상태를 빠져나감
h : 도움말
= : 현재 line number를 보여줌
who
:현재 시스템에 login 하고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 출력
# who
whereis
: 소스, 실행파일, 메뉴얼 등의 위치출력
# whereis perl : perl의 위치 출력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방법
# vi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 touch newfile : 빈 파일만 생성됨
# cat > newfile : 입력 대기상태로 들어감, 문서 작성후 Ctrl+D로 빠져나옴
파일 내용만 보기
# cat filename : 파일의 내용을 모두 보여줌
# head -n filename : n줄 만큼 위세서부터 보여줌
# tail -n filename : n줄 만큼 아래에서부터 보여줌
l : 파일에 관한 상세 정보 표시
a : dot 파일(.access 등)을 포함한 모든 파일 표시
t : 파일이 생성된 시간별로 표시
C : 한줄에 여러개의 정보를 표시
R : 서브디렉토리 내용까지 표시
ex) # ls -al
# ls -aC
# ls -R
cd
:디렉토리를 변경
# cd cgi-bin : 하부 디렉토리인 cgi-bin으로 들어감
# cd .. : 상위디렉토리로 이동
# cd 또는 cd ~ : 어느곳에서든지 자기 홈디렉토리로 바로 이동
# cd /webker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하위나 상위 디렉토리가 아닌 다른 디렉토리(webker)로 이동하려면 /로 시작해서 경로이름을 입력
cp
:화일 복사(copy)
# cp index.html index.old
: index.html 화일을 index.old 란 이름으로 복사
# cp /home/test/*.* .
: test 디렉토리내의 모든 화일을 현 디렉토리로 복사
mv
:파일이름(rename) / 위치(move)변경
# mv index.htm index.html
: index.htm 화일을 index.html 로 이름 변경
$ mv file ../main/new_file
: 파일의 위치변경
mkdir
:디렉토리 생성
# mkdir download : download 디렉토리 생성
rm
:삭제
# rm test.html : test.html 화일 삭제
# rm -r <디렉토리>
: 디렉토리 전체를 삭제
# rm -i a.*
: a로 시작하는 모든 파일을 일일이 삭제할 것인지 확인하면서 삭제
# rm -rf <개체>
: 개체를 강제로 삭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함)
rmdir
:비어있는 디렉토리 삭제
# rmdir cgi-bin : cgi-bin 디렉토리 삭제
pwd
:현재의 디렉토리 경로를 보여주기
alias
"doskey alias" 와 비슷하게 이용할 수 있는 쉘 명령어 alias는 말그대로 별명, 사용자는 alias를 이용하여 긴 유 닉스 명령어를 간단하게 줄여서 사용할 수도 있음
이들 앨리어스는 [alias ls 'ls -al'] 같이 사용하시면 되는데, 한 번 지정한 alias를 계속해서 이용하려면,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있는 .cshrc(Hidden 속성)을 pico등의 에디터를 이용하여 변경시 키면 됨
cat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만드는 명령
# cat filename
more
:cat 명령어는 실행을 시키면 한 화면을 넘기는 파일일 경우 그 내용을 모두 볼수가 없음. 하지만 more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화면 단위로 보여줌
# more <옵션>
Space bar : 다음 페이지
Return(enter) key : 다음 줄
v : vi 편집기로 전환
/str : str 문자를 찾음
b : 이전 페이지
q : more 상태를 빠져나감
h : 도움말
= : 현재 line number를 보여줌
who
:현재 시스템에 login 하고 있는 사용자의 리스트 출력
# who
whereis
: 소스, 실행파일, 메뉴얼 등의 위치출력
# whereis perl : perl의 위치 출력
새로운 파일을 만드는 방법
# vi newfile : vi 편집기 상태로 들어감
# touch newfile : 빈 파일만 생성됨
# cat > newfile : 입력 대기상태로 들어감, 문서 작성후 Ctrl+D로 빠져나옴
파일 내용만 보기
# cat filename : 파일의 내용을 모두 보여줌
# head -n filename : n줄 만큼 위세서부터 보여줌
# tail -n filename : n줄 만큼 아래에서부터 보여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