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체교섭의 구조
2. 단체교섭의 기능과 성격
3. “새로운 노사 관계”의 대두
2. 단체교섭의 기능과 성격
3. “새로운 노사 관계”의 대두
본문내용
어지기 시작하지만 이것은 영국의 단체교섭을 통한 임금이나 작업조건 결정패턴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정도는 아니다. 1990년에도 모든 사업장에서 단체교섭의 적용을 받는 근로자의 비중은 여전히 50%를 넘는 수준이다. 더욱이 새로운 단체교섭의 구조나 기능의 등장, 즉 단일노조협약에 따라 과거와 다른 특이한 협약이 생겼지만 이러한 단체교섭의 구조나 기능은 대부분의 사업장에 보편적으로 확산된 것이 아니다. 또한 단체교섭과는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인적자원관리 정책과 근로자관여제도도 그러한 새로운 관행들이 노조를 배제하고 단체교섭의 기능을 현저히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추구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영국의 단체교섭 제도는 최근의 현저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변화가 새로운 노사 관계의 도래라고 결론짖기는 어렵다.
추천자료
노사 관계론-주요 외국의 노사관계
노사관계의 해결과 국제 경쟁력향상을 위한 과제 (노사관리 노사 한국경제
(노사관계) 현대 자동차 노조vs 삼성 무노조 비교 분석 및 노사관계의 특징 문제점, 노사관...
[노사관계론]우리나라 노사관계의 현황과 문제점 및 신노사문화 형성방안 (A+리포트)
[노사신뢰][조직신뢰][노사][노동조합][노사관계][노조파업][신뢰]노사신뢰(조직신뢰)의 개념...
★★★(A+) 노사관계의 형태와 노사관계의 발전과정과 민주적노사관계의 형태
고용안정대책과 직업훈련대책, 고용안정대책과 직업능력강화대책, 고용안정대책과 동절기고용...
[21C]21세기(21C)의 그린벨트, 21세기(21C)의 복지환경, 21세기(21C)의 노인복지, 21세기(21C...
[노사갈등][노사갈등 역사][노사관계][정책기조][재능교육][현대중공업][노동자][파업][노동...
[일본기업, 경제시스템, 인터넷경영, 임금피크제도, 한국투자]일본기업의 경제시스템, 일본기...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의 성향,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의 개방화, 국제기준,...
문민정부(김영삼정부)의 국정지표, 경제개혁, 문민정부(김영삼정부)의 정치개혁, 신노사관계,...
[노동법, 노동]노동법과 노동정책, 노동법과 노동3권, 노동법과 노사관계개혁위원회, 노동법...
[일본기업, 일본, 기업, 지배구조]일본기업의 지배구조, 일본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일본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