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외 임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 론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증상
5. 진단
6. 치료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도 있다.
6. 치료
응급시 치료로는 수혈과 개복 수술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즉 자궁외 임신, 특히 난관 임신의 근본적 치료법은 난관을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술 후 임신 가능성을 고려하여 파열되지 않은 난관 임신에서는 난관 절제술보다 난관을 보존하는 치료법으로 복강경을 이용한 약물 주입법 등이 선택되기도 한다.
1) 외과적 치료
① 난관절제
난관을 제거하는 수술로서 자궁외임신의 가장 보편적인 치료방법이다. 최근에는 개복에 의한 난관절제 및 자궁각절제를 하기보다는 복강경에 의한 난관 개구술 또는 난관 부분절제술로 대체되어가고 있다.
② 난관의 보존
관을 제거하지 않고 보존하는 방법이다.
⑴ 난관 개구술(salpingostomy)
장간막의 반대편에 2cm정도 절개를 하여 종괴를 제거한 후 봉합하지 않고 그대로 두는방법이다. 길이가 2cm이하이고 난관의 바깥 1/3에 발생한 경우 시행한다.
⑵ 난관 절개술(salpingotomy)
장간막의 반대편을 절개하여 자궁 외 임신산물을 제거한 후 봉합하는 방법이다.
난관개구술, 난관 절개술 등은 최근 복강경 수술을 선호한다.
⑶ 부분절제 및 문합(segmental resection and anastomosis)
파열되지 않은 자궁외 임신으로서 병소만 제거하고 다시 연결시켜 주는방법이다.
바로 수술할 수도 있고 나중에 다시 할 수도 있다.
⑷ 난관채 배출(fimbrial evacuation)
짜내거나 흡인하여 팽대부를 통하여 제거하는 방법은 좋지 않다.
그 이유는 자궁외 임신의 재발률이 난관절제의 2배이며 자궁외 임신 조직이 남아 출혈을 일으켜 재수술 하는 수도 있기 때문이다.
2) 내과적 치료
① 적응증
환자 상태가 안정적이고 빈혈이 없어야 하며, 간기능 및 신기능이 정상이어야 한다.
성공률이 좋은 경우는 임신6주 이내, 종괴의 직경이 3.5~4cm이하, 태아가 죽었을 때이다.
실패율은 5~10%이다.
② 치료 중 유의사항
⑴ 치료과정 중 복통이 있을 수 있다.
⑵ 입원하지 않고 외래에서 치료하는 경우, 즉시 내원이 가능해야 하며, 파열의 징후가 있 으면 즉시 진찰을 받아야 한다.
⑶ 호르몬검사가 정상이 될 때 까지 성생활을 하면 안된다.
⑷ 술을 마시면 안된다
⑸ 엽산이 들어있는 복합 비타민은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③ 치료후의 예후
⑴ 자궁난관 조영술에 의한 난관의 개통성: 80%
⑵ 자궁 내 임신: 61%
⑶ 자궁 외 임신의 재발: 8%
Ⅲ. 결 론
자궁외임신에 대해 조사하면서 정확한 정의에 대해 알게 되었고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증상, 원인, 치료 등 많은 것들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무엇이든지 예외는 없으며 무엇보다도 결혼 전의 건강관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 이경혜 이영숙 외 공저
최신임상메뉴얼(2002년) 현문사
제6판 여성건강간호학 Ⅱ 수문사
중앙건강백과
대한산부인과학회 홈페이지
http://obgy.doctor.co.kr/
http://cafe.naver.com/chuncheonhallym/11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8.09
  • 저작시기20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66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