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응집성 표지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3. 시의 응집성 표지에 관한 연구

1) 들어가기

2) 시 텍스트의 개념 체계

3) 마무리

본문내용


남도 삽백 리
술 익는 마을마다
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방법>
- 거시개념: [나그네]가 [간다]
- 제어중심 제어중심은 정보처리를 요령있게 수행할 수 있는 지점이다. 응집성의 1차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어중심을 찾는 일이 최우선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 ‘나그네’
1차 개념
동작주 → 나그네
움직임 → 간다
2차 개념
동작주의 모습,
움직이는 장소
3차 개념
장소의 구체화,
주변정경
4차 개념
텍스트의
미시구조
- 문맥상 개념 : [간다] → [나그네]
☞ 1차~3차 개념까지는 응집성의 거시구조 표지화한 것이고, 4차 개념은 응집성의 표층구조 (텍스트의 미시구조)
<ⓑ 방법>
1차 개념
동작주 ‘나그네’와
행동 ‘간다’의 결합
2차 개념
동작주의 모습과
동작이 이루어지는
장소의 활성화
3차 개념
‘길’의 구체화 된
모습의 활성화
4차 개념
‘길’ 주변의 모습의
활성화
1차~4차 개념까지의 기저
내용 확대 활성화를 통한
표층구조

미시구조
<범례> ag : 동작주, mo : 동작, at : 속성, lo : 장소, sp : 명세화
☞ <ⓐ 방법>이 더 편리하다. 이것은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살펴본 후 확실히 하겠다.◈ ◈ 김소월의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1차 개념
당신이 ‘가겠다’면 ‘보내주겠다’
2차 개념
화자의 태도
3차 개념
당신이 화자의 축복을 받기를 바라고 있다.
4차 개념
나는 당신이 가도 견딜 수 있음을 나타냄
5차 개념
미시구조
<ⓐ 방법>
☞ 1차~4차 개념까지는 시의 응집성을 보여주고, 이 개념들을 구체적 언어로 연결시킨 것이 5차 개념이자, 이 시의 미시구조이다.
<ⓑ 방법>
- 제어중심 : ‘보내우리다’
- 가는것의 주체 : ‘임’
1차 개념
‘임이 가겠다면
보내주겠다는 것’
2차 개념
보내주는 태도의 활성화
3차 개념
가시는 임에 대한 축복의 형성화
4차 개념
3차 개념에 대한 당신의 반응의 활성화
5차 개념
1차 개념의 회기 언어요소들의 직접적인 반복법을 회기법(recurrence)라고 하는데. 회기법은 텍스트의 정보성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시 텍스트에서느 정보성의 감소는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장점이 되기도 한다. 또한 시구조의 형식적 균형을 이루는데 도움을 주며, 반복적 회기를 통하여 흥미성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화자의 의지 강조 (미시구조)
- 보내는것을 주체 : ‘나’
<범례> ac:행위, af:피동객체, eq:등가성, lo:장소, qu:수량,
re:이유, sp:상세화, st:상태, rec:회기
<ⓑ 방법> 개념들이 순차적으로 첨가되어 가는 모습을 잘 보여줌. 그러나 4차 개념에서
1차 개념으로 올라갈수록 더 큰 거시 개념이라는 근거를 나타내지 못함.
<ⓐ 방법> 기저 개념들이 어떻게 표층의 구체적 언어들과 결합하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고,
4차 개념에서 1차 개념으로 갈수록 더 큰 거시 개념이 되는 것을 잘 나타냄.
☞ 따라서 <ⓐ 방법>이 응집성 표지 모델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3) 마무리
▣ 개연성 있는 응집성 표지의 모델화는 지능 전반의 발전에 관한 강력한 설명력을 지닌
처리 과정 모델을 밝히는 데 기초적인 작업이다.
▣ 결론 도출
(1) 인간의 의사소통의 과정의 원리와 텍스트 생산의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서 응집성 표지를 모델화하는 작업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2) 응집성 표지 방법에 있어서 ⓐ, ⓑ 두 가지 방법이 있었는데 ⓑ방법은 1차 개념이 2, 3, 4차 개념보다 큰 개념이라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결점을 보이지만 ⓐ방법은 1차 개념이 가장 큰 거시구조로 2, 3, 4차 개념을 포괄하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응집성 표지 모델로서 적합하다.
(3) 시 텍스트에서 흥미성과 예술성은 추상 개념을 아주 구체적으로 표현하되, 정확성과 낯설게 하는데 있다.
(4) 시 텍스트의 표층구조를 개념화해서 거시구조화 하는 작업으로 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 거시구조에서 의미확대는 의도성과 용인성에서 비롯된다. → 의미의 확대는 시를 통해 얻는 정보서의 한계를 끝없이 넓혀준다.
참고자료 : 이석규,「언어의 예술」, 글누림, 2007, P354-368 <요약본>

키워드

,   응집성,   텍스트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8.15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74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