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킬(Road kill)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로드킬(Road kill)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로드킬의 의미
2. 발생원인 & 문제점
3. 로드길 증가 원인

[본론]

1. 로드킬 종의 특성
2. 생태통로
3. 야생동물 유도울타리
4. 부대시설
5. 로드킬 칼럼

[결론]

1. 예방시설 설치
2. 예방시설 유지관리
3. 관련기사

본문내용

드킬 다발구간 종별, 시기, 원인별 분석을 통해 적정 설치 지역을 선정한다.
사례조사: 생태통로, 유도울타리, 유도식재 등 예방하고자 하는 곳의 비슷한 유형의 설치지역을 조사하고 문제점 분석 및 개선사항 도출이 필요하다. 그리고 서식지연결의 기초학문인 경관생태학적 지식들을 실제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가도 조사과정에서 고민해야 할 사항들이다.
시설설치예정지 현장조사: 기초 데이터와 사례조사를 한 후 생태자연도, 임상도 등의 자료를 분석한 후 설계를 위한 철저한 현장조사를 통해 현장의 자연환경, 주변환경 등을 조사하며 경관적, 기술적 그리고 생태적으로 이용가능한 시설을 전량조사하여 설계를 반영하여야 한다.
2. 예방시설 유지관리
- 자연적으로 이용되는 길이 아닌 인공적으로 조성해준 생태통로의 경우 각종 사후모니터링을 통해 시설물을 꾸준히 개선해 나가야 한다. 유도울타리, 유도식재, 기타 보조시설 등의 추가적인 설치가 필요하며 모니터링시설까지 설치해 주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시행되어야 한다. 도로시설물에 야생동물 보호시설이 설치됨으로써 유지관리문제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며 소홀히 진행될 궁여 일부 도로기능이 훼손될 수도 있다. 유도울타리 하단에 설치된 도수로 차단시설은 각종 이물질이 걸렸을 경우 배수기능을 훼손시킬수 있으며, 유지관리를 위해 설치된 유도 울타라의 출입문 등이 닫혀 있질 않고 열려 있을 경우 생태통로의 보조시설에 심각한 기능저해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기존도로의 유지관리에 야생동물 보호시설의 유지관리가 추가되어 유지관리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개발들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또한 도로건설시 비단절구간인 장대교량, 터널 등에 대한 현환관리를 하여 교량주변, 절성토부 경계지점, 터널주변 등 각종 시설지 별 야생동물에 대한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도로건설로 인한 야생동물에 대한 영향 저감방법을 수립해 나가야 한다.
- 생태통로 유지관리
1) 모래 족적판 설치
재료: 세사사용, 사용기준: 모래망체(SIEVE) 0.2망체 통과
관리기구: 모래기구-헨드레이크(RAKE), 모래펴기-고무래(Hand soil-leveler), 관제등 사용
2) 카메라(CCTV, 스틸센서 등)설치
- 센서 감기지가 장착된 카메라 설치(가급적 적외선 감지사용)
- 카메라 설치 후 센서 작동으로 피사체 감지시 자동촬영
3) 기타
야생동물주의 표지판 설치: 모니터링 후 사고다발지역 설치
유도펜스에 홍보용 표지판 설치
출입문 개폐여부 상시 관리
훼손된 울타리 보수 및 덩굴제거
- 조난 부상동물 처리방법 등(최우선적으로 수의사의 도움필요)
1) 치료소에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우
수의사의 도움 받을 수 있는 곳을 우선적 고려
각지역 진료기관 241개소
(전국 야생동물 구조센터, 환경부-2006
전남 순천 749-3898, 경북 안동 950-2687, 강원 춘천 250-8606)
2) 치료소에 가져다 줄 수 없는 경우
119구급대에 신고
야생동물연합, 야생동물보호협회 등
각 시군 담당부서(환경보호과, 산림과)
* 천연기념물: 자자체 문화광광과 필히 연락 [문화제보호법]
3. 관련기사
- 사람들의 간섭이 로드킬 원인 2008-06-02 08:50
'로드킬'(road-kill)로 인한 야생동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생태통로와 펜스를 병행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또 사람의 간섭을 줄여야 생태통로의 설치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분석이다.
◀ 생태계 단절을 최소화한 청주∼상주간 고속도로도는 전체 구간의 30%를 터널과 교량으로 건설했다.
국립환경과학원(원장 고윤화)이 야생동물 로드킬 저감방안 수립연구의 일환으로 국내에 설치된 생태통로 및 펜스 등 로드킬 방지시설의 설치효과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분석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이 국내 설치된 252개 생태통로 중 경기 13개소, 강원 11개소 등 총 79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수행한 결과, 다양한 야생동물의 생태통로 이용이 확인됐다.
생태통로를 이용한 동물은 멸종위기종인 삵과 담비를 포함해 멧토끼, 너구리, 고라니, 멧돼지 등 10여 종으로 확인됐다.
◀백두대간인 구룡령에 조성된 육교형 생태통로.(강원도 양양)
사람의 간섭이 많은 곳에서는 동물의 생태통로 이용이 적었다. 특히 지하통로형 생태통로는 개방도가 0.7 이상일 때 대부분의 야생동물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로의 길이가 길수록 통로 입구의 크기를 크게 만들어 동물이 이동할 때의 거부감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됐다.
개방도는 통로입구의 면적을 통로의 길이로 나눈 수치로 입구가 넓고 통로 길이가 짧을수록 동물이 통로를 지날 때의 거부감이 줄어든다는 분석이다. 예를 들어 25m 길이의 통로박스는 4.2m×4.2m, 35m 길이는 5.0m×5.0m 이상의 입구 크기가 필요하다.
생태통로는 육교형, 통로박스형, 파이프형 및 교량하부형 등 여러 형태로 조성된다. 이중 교량하부형이 야생동물이 거부감 없이 가장 활발히 이용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로드킬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방안과 관련, 국립환경과학원은 도로에 침입방지펜스를 설치하는 것이나, 펜스는 생태계 단절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한다. 생태통로와 병행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조언이다. 우선적으로 기존 도로의 수로, 교량 등 도로횡단 구조물이 생태통로 기능을 갖도록 유도펜스를 설치해주는 것이 좋다는 제안이다.
◀강원도 삼척시 댓재 생태통로에서 무인센서카메라로 촬영된 너구리.
침입방지펜스(유도펜스)는 야생동물이 도로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야생동물을 생태통로로 유도하기 위해 도로와 산림의 경계, 도로 법면의 경계, 양서·파충류의 번식지인 습지와 도로의 경계 등에 설치된다. 국립환경과학원 유병호 생태복원과장은 "한국도로공사 등 관련기관과 그간의 연구결과에 대한 효과 검증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 생태통로 및 펜스 등 로드킬 방지시설의 표준 조성지침을 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로드킬 피해를 당하는 동물들의 종류는 노루, 고라니 등 야생동물에서 개나 고양이 같은 애완동물까지 다양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고속도로에서 사망한 동물의 수가 매년 평균 6천마리가 넘으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가격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8.16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7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