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Ⅱ. 로드 킬(Road Kill)의 개념정의............................. 1
Ⅲ. 로드 킬의 발생원인.................................. 1
1. 풍부한 먹이장소로의 이동 습성 혹은 귀소본능 / 1
2. 동물들의 이동통로 부족과 통로의 적합성 부족 / 1
3. 운전자의 과속 및 야생동물 보호의 인식부족 / 2
Ⅳ. 로드 킬의 국 ․ 내외 실태(구체적인 실례)..................... 2
1. 국내 사례 / 2
2. 해외 사례 / 3
Ⅴ. 관련 신문기사................................. 3
Ⅵ. 로드 킬 방지를 위한 노력........................... 6
1. 국내의 경우 / 6
2. 외국의 경우 / 6
Ⅶ. 로드 킬 방지를 위한 대안 ....................... 7
1. 야생동물의 생태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적합한 생태통로의 설치 / 7
2. 야생동물 보호의식의 고취를 위한 정부 및 환경단체의 노력 필요 / 7
3. 기술적 측면에서의 방안 / 7
Ⅷ. 결론
【참고문헌】
Ⅱ. 로드 킬(Road Kill)의 개념정의............................. 1
Ⅲ. 로드 킬의 발생원인.................................. 1
1. 풍부한 먹이장소로의 이동 습성 혹은 귀소본능 / 1
2. 동물들의 이동통로 부족과 통로의 적합성 부족 / 1
3. 운전자의 과속 및 야생동물 보호의 인식부족 / 2
Ⅳ. 로드 킬의 국 ․ 내외 실태(구체적인 실례)..................... 2
1. 국내 사례 / 2
2. 해외 사례 / 3
Ⅴ. 관련 신문기사................................. 3
Ⅵ. 로드 킬 방지를 위한 노력........................... 6
1. 국내의 경우 / 6
2. 외국의 경우 / 6
Ⅶ. 로드 킬 방지를 위한 대안 ....................... 7
1. 야생동물의 생태적 특성을 적절히 반영한 적합한 생태통로의 설치 / 7
2. 야생동물 보호의식의 고취를 위한 정부 및 환경단체의 노력 필요 / 7
3. 기술적 측면에서의 방안 / 7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재해야 한다는 것. 주변 생태계와 유사한 식물을 식재하거나 혹은 주변 종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에 조성되어 있는 동물 이동로와 연계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야생동물은 외부의 낯선 환경 및 간섭에 민감하므로 자동차, 건물 등으로 인한 불빛, 소음, 진동 등을 차단해 줄 필요가 있다. 생태통로 이동시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통로 출입구에 주변 식물 종을 식재하고 이동 중 은신이 가능한 시설도 설치해야 한다.
이밖에 생태통로 크기는 대상 종 혹은 목표 종의 크기를 고려해 결정하며 추락방지 및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차량불빛, 차량소음 등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용 차단시설을 설치해야한다.
2. 야생동물 보호의식의 고취를 위한 정부 및 환경단체의 노력 필요
로드 킬의 예방과 사후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하고도 근본적인 방법은 이미 일반화되어 효과적인 대처방안으로 자리 잡은 서구의 야생 동물 로드 킬 예방법을 우리나라의 여건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여러 언론 매체와 환경 및 야생동물 보호 단체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로 모든 운전자들이 이 예방법을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돕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에도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각종 법안을 상정하도록 일반 시민들이 나서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자면 아직 대중의 관심밖에 있는 로드 킬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3. 기술적 측면에서의 방안
최근 그 사용이 대중화된 자동차 네비게이션을 통한 전국 주요 고속도로에서의 로드 킬 빈발구간 주의 안내방송이 기술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와 환경부의 조사결과를 반영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활용이 문제의 발생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Ⅷ. 결론
지금도 고속도로 어딘가에서 일어나고 있을지 모를 로드 킬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적절한 방안 예컨대, 인간이 아닌 동물의 습성을 우선으로 고려한 도로건설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간과 자연환경은 정복하고 정복당하는 위계적 관계가 아니라 상생을 위한 협력의 관계이다. 자연이 훼손되는 만큼 결국 인간문명의 발달도 언젠가 한계에 봉착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미흡한 로드 킬 문제에 관한 국내의 관심과 방지노력을 더 늦기 전에 경주해야만 한다.
살아있는 것에 대한 존중과 연약한 생명을 측은히 여기는 ‘측은지심’이야말로 사람의 어진 바탕일 것이다. 이러한 생명에 대한 존중은 궁극적으로 사람에 대한 존중으로 이어진다고 믿는다. 사람이 편하자고 파헤치고 깎고 다듬는 일이 인간의 삶을 파헤치지 않으려면, 적어도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 대한 배려와 존중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의 풍요를 위하여 알지 못하는 사이에 희생되는 이름 모를 생명의 죽음 앞에서 경건하여야 한다.
우리가 딛고 서있는 이 땅에는 지배자인 우리 인간만 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동물의 삶을 지탱해나가는 환경도 결국은 인간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인 것이다.
- 참고문헌 -
[신문]
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95321&kind=menu_code&keys=25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207012005
제주뉴스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988
국민일보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705208&cp=du
에코저널 http://www.ecojournal.co.kr/news_view.html?code=01010000&uid=29405&cpage=1&special=&location=
[논문]
홍선화, 2005,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동물 보호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김동경, 2006,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
[관련사이트]
환경부 웹진 2007년 9월호 http://webzine.me.go.kr/2007/09/sub02_1.htm
한국도로공사 http://www.freeway.co.kr/jsp/index.jsp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http://www.iklc.co.kr/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이밖에 생태통로 크기는 대상 종 혹은 목표 종의 크기를 고려해 결정하며 추락방지 및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차량불빛, 차량소음 등으로부터 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해 추락방지용 차단시설을 설치해야한다.
2. 야생동물 보호의식의 고취를 위한 정부 및 환경단체의 노력 필요
로드 킬의 예방과 사후 해결을 위한 가장 중요하고도 근본적인 방법은 이미 일반화되어 효과적인 대처방안으로 자리 잡은 서구의 야생 동물 로드 킬 예방법을 우리나라의 여건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여러 언론 매체와 환경 및 야생동물 보호 단체를 통한 적극적인 홍보로 모든 운전자들이 이 예방법을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돕는 일이 필요하다. 그리고 정부에도 야생동물 보호를 위한 각종 법안을 상정하도록 일반 시민들이 나서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자면 아직 대중의 관심밖에 있는 로드 킬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3. 기술적 측면에서의 방안
최근 그 사용이 대중화된 자동차 네비게이션을 통한 전국 주요 고속도로에서의 로드 킬 빈발구간 주의 안내방송이 기술적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국도로공사와 환경부의 조사결과를 반영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활용이 문제의 발생을 어느 정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Ⅷ. 결론
지금도 고속도로 어딘가에서 일어나고 있을지 모를 로드 킬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적절한 방안 예컨대, 인간이 아닌 동물의 습성을 우선으로 고려한 도로건설 계획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인간과 자연환경은 정복하고 정복당하는 위계적 관계가 아니라 상생을 위한 협력의 관계이다. 자연이 훼손되는 만큼 결국 인간문명의 발달도 언젠가 한계에 봉착하게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미흡한 로드 킬 문제에 관한 국내의 관심과 방지노력을 더 늦기 전에 경주해야만 한다.
살아있는 것에 대한 존중과 연약한 생명을 측은히 여기는 ‘측은지심’이야말로 사람의 어진 바탕일 것이다. 이러한 생명에 대한 존중은 궁극적으로 사람에 대한 존중으로 이어진다고 믿는다. 사람이 편하자고 파헤치고 깎고 다듬는 일이 인간의 삶을 파헤치지 않으려면, 적어도 모든 살아있는 것들에 대한 배려와 존중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그리고 인간의 풍요를 위하여 알지 못하는 사이에 희생되는 이름 모를 생명의 죽음 앞에서 경건하여야 한다.
우리가 딛고 서있는 이 땅에는 지배자인 우리 인간만 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동물의 삶을 지탱해나가는 환경도 결국은 인간과 밀접하게 관련된 문제인 것이다.
- 참고문헌 -
[신문]
데일리안 http://www.dailian.co.kr/news/n_view.html?id=95321&kind=menu_code&keys=25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71207012005
제주뉴스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00988
국민일보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20705208&cp=du
에코저널 http://www.ecojournal.co.kr/news_view.html?code=01010000&uid=29405&cpage=1&special=&location=
[논문]
홍선화, 2005,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동물 보호 방안 연구, 서강대학교
김동경, 2006, 야생동물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
[관련사이트]
환경부 웹진 2007년 9월호 http://webzine.me.go.kr/2007/09/sub02_1.htm
한국도로공사 http://www.freeway.co.kr/jsp/index.jsp
환경운동연합 http://www.kfem.or.kr/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http://www.iklc.co.kr/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 http://www.kei.re.kr
추천자료
백화점 할인행사의 지점별 비교분석.
[과외]중학 과학 중1-04 땅에 사는 식물(1) 03
[과외]중학 가정 중2-03 식물의 구조와 기능 04
소나무재선충병
비오톱(Biotope)에 대해
[사회복지정책의 전달체계]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및 원칙
[식물분류학실험]2.녹조식물관찰
김포시의 경인운하 대책 환경문제 부각
보육환경 중 보육시설의 실내환경에 대해 설명.
[호텔경영론] 코엑스 - COEX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주요원칙 - 공공부문(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정부와 민간부문 혼합형태
영아반 중점 보육내용에 대해 쓰시오.
여성생식보고서 - 여성생식기계 The reproductive systems {여성 생식기계 구조, 월경주기, ...
사회복지정책의 구성요소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본인이 관심 있는 사회복지 정책 또는 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