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소나무재선충병이란?
2. 소나무재선충의 국내 유입경로
3. 확산경로
4. 소나무 재선충의 형태
5. 매개충 : 솔수염 하늘소
6. 피해 양상
7. 소나무재선충 진단요령
8. 방재법
9. 참고문헌
1. 소나무재선충병이란?
2. 소나무재선충의 국내 유입경로
3. 확산경로
4. 소나무 재선충의 형태
5. 매개충 : 솔수염 하늘소
6. 피해 양상
7. 소나무재선충 진단요령
8. 방재법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량이 많은 관계로 실제 임지적용의 장애 요인.
나무주사법
-대상목 선정
소나무의 외관상 건전상태 진단.
송진조사에 의한 진단
-대상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나무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
병원충 또는 다른 원인으로 쇠약해진 나무.
식재 후 오래되지 않은 나무
전정을 심하게 한 나무
※감염 우려 지역의 건전한 나무에
미리 살선충제를 주입하여 예방※
소각법
- 목재표면의 2~3cm 깊이까지 소각
- 방재시기가 극히 제한적임(산불발생 우려)
- 열해목 발생
기타
수관약제 살포법, 항공살포법, 위생간벌, 훈증법 등.
9. 참 고 자 료
산림청 홈페이지 (Green정보, 재선충병 특별방제대책 설명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외래교수 수업자료 소나무재선충 및 솔껍질깍지벌레
산림조합 홈페이지
나무주사법
-대상목 선정
소나무의 외관상 건전상태 진단.
송진조사에 의한 진단
-대상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나무
소나무 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
병원충 또는 다른 원인으로 쇠약해진 나무.
식재 후 오래되지 않은 나무
전정을 심하게 한 나무
※감염 우려 지역의 건전한 나무에
미리 살선충제를 주입하여 예방※
소각법
- 목재표면의 2~3cm 깊이까지 소각
- 방재시기가 극히 제한적임(산불발생 우려)
- 열해목 발생
기타
수관약제 살포법, 항공살포법, 위생간벌, 훈증법 등.
9. 참 고 자 료
산림청 홈페이지 (Green정보, 재선충병 특별방제대책 설명자료)
네이버 백과사전
외래교수 수업자료 소나무재선충 및 솔껍질깍지벌레
산림조합 홈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