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의 정리
1) 온도와 기전력이 선형적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이 관계식을 구하라.
2) 측정된 자료와 ①에서 구한 직선을 그래프에 그려라.
5. 고찰
2. 이론
3. 실험방법
4. 실험결과의 정리
1) 온도와 기전력이 선형적 관계를 갖는다고 가정하고 최소 자승법을 이용하여 이 관계식을 구하라.
2) 측정된 자료와 ①에서 구한 직선을 그래프에 그려라.
5. 고찰
본문내용
확한 데이터를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항온조 뚜껑 구멍으로 외부 열출입에 의한 온도변화도 무시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열전대는 아주 작은 온도차에도 기전력이 차이가 나므로 오차가 생겼다고 생각한다. 좀 더 많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충분히 실험을 수행하고, 정확한 기전력을 측정 할 수 있었으면 오차가 줄어들지 않았을까 한다.
실험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그것에 맞는 기전력이 비례하게 올라간다는 것을 실험 자료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직접온도를 측정하기가 힘이 들어서 온도와 기전력과의 관계를 이용 하여서 온도를 구하는 예는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그 예로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 내연기관 내부의 온도 측정 및 온도변화,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각종 칩들의 온도 및 온도변화를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 각종 PLANT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PLANT 외부 벽의 열전도를 고려해서 기전력을 이용해서 구하는 것 등을 볼 수 있다. 위의 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기전력을 이용한 온도 측정 방법은 단순히 측정하기 힘든 고온이나 측정하기 힘든 곳에서만 사용되어 지는 것이 아니라 온도의 변화가 빨라서 순간 온도값을 읽어 내기가 쉽지 않은 곳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 쓰인 열전대 계열 분석-
처음에는 사용 온도만 보고 K, E, J계열 중 하나라고 생각 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특성을 파악한 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J계열이 가장 비슷하였다. J계열 열전대를 조사하여 0점 기준접점일 때의 기전력을 조사하고 실험1, 실험2의 경우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0℃에서 100℃까지 기준으로 값을 새로 작성한 후 그래프를 그려 보았다. 기울기만으로는 정확히 알아내기가 힘들었으나 열전대 종류와 특성표를 보고 가장 가까운 것이 J계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래에 J계열 열전대의 그래프와 실험1, 실험2 그래프를 그려 비교하였다.
※참고문헌 및 인터넷 참고자료
●기전연구회 출판 <열센서 입문> -김동진-
●UUP 출판 <기계*자동차공학실험>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자동차공학부 실험교재 편집 위원회-
●열전종류 및 특성 http://blog.naver.com/woo7828?Redirect=Log&logNo=100035490384
●J계열 열전대 그래프 www.naver.com - 지식검색 keyword thermocouple, j type.
실험 자료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그것에 맞는 기전력이 비례하게 올라간다는 것을 실험 자료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직접온도를 측정하기가 힘이 들어서 온도와 기전력과의 관계를 이용 하여서 온도를 구하는 예는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그 예로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 측정, 내연기관 내부의 온도 측정 및 온도변화,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각종 칩들의 온도 및 온도변화를 완전히 폐쇄되어 있는 각종 PLANT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PLANT 외부 벽의 열전도를 고려해서 기전력을 이용해서 구하는 것 등을 볼 수 있다. 위의 예들에서 볼 수 있듯이 기전력을 이용한 온도 측정 방법은 단순히 측정하기 힘든 고온이나 측정하기 힘든 곳에서만 사용되어 지는 것이 아니라 온도의 변화가 빨라서 순간 온도값을 읽어 내기가 쉽지 않은 곳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에 쓰인 열전대 계열 분석-
처음에는 사용 온도만 보고 K, E, J계열 중 하나라고 생각 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특성을 파악한 후 조사 하였다. 그 결과 J계열이 가장 비슷하였다. J계열 열전대를 조사하여 0점 기준접점일 때의 기전력을 조사하고 실험1, 실험2의 경우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0℃에서 100℃까지 기준으로 값을 새로 작성한 후 그래프를 그려 보았다. 기울기만으로는 정확히 알아내기가 힘들었으나 열전대 종류와 특성표를 보고 가장 가까운 것이 J계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래에 J계열 열전대의 그래프와 실험1, 실험2 그래프를 그려 비교하였다.
※참고문헌 및 인터넷 참고자료
●기전연구회 출판 <열센서 입문> -김동진-
●UUP 출판 <기계*자동차공학실험>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기계자동차공학부 실험교재 편집 위원회-
●열전종류 및 특성 http://blog.naver.com/woo7828?Redirect=Log&logNo=100035490384
●J계열 열전대 그래프 www.naver.com - 지식검색 keyword thermocouple, j type.
키워드
추천자료
화학실험 - 녹음열
[기계공학실험] 열펌프 성능 실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열역학의 예
일반물리학 _19장 열의 일당량 결과 보고서
heat transfer(열전도)실험 결과레포트
재료공학을 전공함에 있어 재료열역학이 기여하는 것.
복사 열전달 실험
[태양열][태양에너지][설비형 태양열시스템][태양열시스템]태양열의 이용, 태양열의 장단점, ...
고체 열전도
MATLAB을 이용한 전산열유체
실험보고서 - 열화상카메라로 측정하는 중화반응의 반응열
구들을 이용한 열전달 시스템 System (구들의 정의와 장단점, 구조의 원리, 적용 가능한 방정...
보일러 열정산 실험
고체의 열전도도 측정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