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속사도시대 이후의 문서로서의 공동서신
2. 구약성서 예언의 성취
3. 사회와의 관계정립
4. 권면의 강조
5.이단에 대한 대항
6. 지연되는 주의 재림의 문제
느낀 점
2. 구약성서 예언의 성취
3. 사회와의 관계정립
4. 권면의 강조
5.이단에 대한 대항
6. 지연되는 주의 재림의 문제
느낀 점
본문내용
재림에 가장 급진적으로 해석한 것은 요한복음이다. 공동서신은 주의 재림을 강조하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히브리서에서는 주의 두 번째 나타나는 재림이 그 중심 신학이다. 야고보서에서도 모든 논의의 중심의 주의 재림과 심판이다. 베드로전서는 성도의 고난을 제사장으로서 세상의 죄를 지으신 그리스도의 희생과 같이 이 세상을 구속하시는 제사장으로서 희생이라고 해석한다. 그것은 제사장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의 완성만을 말하며 다만 하늘에서의 참된 안식 때까지 참고 견디는 신앙으로 순례의 길을 걸어야 한다고 하는 히브리서와는 다른 점이다.
공동서신에서는 주의 재림이 강화되고 야고보서에서는 의로운 심판으로, 히브리서에서는 약속을 기다리는 신앙으로, 베드로전서에서는 세상을 대속하는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요한서신에서는 진리와 사랑을 행하는 기간으로 해석하고 있다. 공동서신의 세계 p623
느낀 점
공동서신의 세계를 읽으며 시대적 배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신학적 영향을 알게 되었습니다. 도서관 자료가 아닌 전에 배웠던 수업의 교재를 인용하였고 배웠던 내용들이 다시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공동서신이 복음 전파의 목적도 있지만 더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또한 평소에도 의문이 들었던 것은 재림의 문제였습니다. 지연되는 주의 재림의 문제를 모든 공동서신이 강조하나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회 안에 큰 사건이 터질 때마다 교회 설교에는 항상 종말론 그리고 곧 오실 주의 재림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말씀으로는 이해했지만 사회 역사적 배경에 의한 성경적 해석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공동서신에서는 주의 재림이 강화되고 야고보서에서는 의로운 심판으로, 히브리서에서는 약속을 기다리는 신앙으로, 베드로전서에서는 세상을 대속하는 그리스도의 희생으로, 요한서신에서는 진리와 사랑을 행하는 기간으로 해석하고 있다. 공동서신의 세계 p623
느낀 점
공동서신의 세계를 읽으며 시대적 배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신학적 영향을 알게 되었습니다. 도서관 자료가 아닌 전에 배웠던 수업의 교재를 인용하였고 배웠던 내용들이 다시 새롭게 다가왔습니다. 공동서신이 복음 전파의 목적도 있지만 더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또한 평소에도 의문이 들었던 것은 재림의 문제였습니다. 지연되는 주의 재림의 문제를 모든 공동서신이 강조하나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사회 안에 큰 사건이 터질 때마다 교회 설교에는 항상 종말론 그리고 곧 오실 주의 재림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말씀으로는 이해했지만 사회 역사적 배경에 의한 성경적 해석에 대해 깨달았습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