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2부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교훈
Ⅳ.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교훈에 관한 자료
1. 비기독교적 자료들
2. 기독교적 자료-정경과 외경
Ⅴ.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의 약사
1.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의 연대기
2. 예수의 초기 생애
3.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시험 받으심
4.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Ⅵ.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양태
1.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형식.
2.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요약
제 3부 사도시대
Ⅶ. 사도시대의 자료와 연대기
1. 사도행전
2. 사도시대의 연대기
Ⅷ. 원시 유대 기독교
1. 오순절과 초기의 전도
2. 교회와 유대교의 충돌 및 스데반의 순교
Ⅸ. 사도 바울의 사역을 통한 기독교의 확장
1. 바울의 초기 훈련과 회심
2. 바울의 제 1차 선교여행
3. 예루살렘 사도공의회
4. 바울의 제 2차 선교여행
5. 바울의 제 3차 선교여행
6. 바울의 체포와 감금
Ⅹ 교회와 개인에게 보낸 바울의 서신들
1. 바울 서신의 전반적 개요
2. 바울 서신들의 개요
ⅩI 공동서신과 요한 계시록
1. 공동서신
Ⅳ.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교훈에 관한 자료
1. 비기독교적 자료들
2. 기독교적 자료-정경과 외경
Ⅴ.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의 약사
1.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의 연대기
2. 예수의 초기 생애
3.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와 시험 받으심
4.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Ⅵ.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양태
1.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형식.
2.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의 요약
제 3부 사도시대
Ⅶ. 사도시대의 자료와 연대기
1. 사도행전
2. 사도시대의 연대기
Ⅷ. 원시 유대 기독교
1. 오순절과 초기의 전도
2. 교회와 유대교의 충돌 및 스데반의 순교
Ⅸ. 사도 바울의 사역을 통한 기독교의 확장
1. 바울의 초기 훈련과 회심
2. 바울의 제 1차 선교여행
3. 예루살렘 사도공의회
4. 바울의 제 2차 선교여행
5. 바울의 제 3차 선교여행
6. 바울의 체포와 감금
Ⅹ 교회와 개인에게 보낸 바울의 서신들
1. 바울 서신의 전반적 개요
2. 바울 서신들의 개요
ⅩI 공동서신과 요한 계시록
1. 공동서신
본문내용
나로 묶여져 있었을 가능성이 많다. 이 두 서신은 거의 비슷한 시기에 고린도 교회에 보내어졌기 때문에 바울이 죽고 나서 그의 서신들을 사필할 때에는 마치 하나의 서신처럼 취급되었을 것이다. 5) 로마서: 만일 갈라디아서를 기독교의 대헌장이라고 부를 수 있다면 로마서는 그 헌장의 조문이라고 할 수 있다. 6) 골로새서: 바울이 이 편지를 쓰게 된 주요동기는 그 공동체에서 발판을 굳혀가고 있는 몇가지 심각한 잘못을 시정하며 아울러 그리스도인의 삶을 가르치기 위함이었다. 7) 빌레몬서: 이 편지는 인간관계가 그리스도인의 사랑을 표현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8) 에베소서:에베소서의 주제는 예수 그리스도의 우주적 교회를 세우고 완성시킴에 있어서의 하나님의 영원하신 경륜이다. 9) 빌립보서: 이 편지의 전체적 분위기는 기쁨과 행복이다. 10) 목회서신: 목회서신들의 주목적은 비정통적인 교훈들을 경계하도록 주의시키고 지역 교회들의 행정을 위한 지침을 제공하자는 것이었다.
부록 : 바울 신학의 주요개념들. 아버지로서의 하나님(하나님의 은총의 선택과 믿음 안에서의 인간의 반응에 근거한 윤리적, 영적 개념이다.), 죄인으로서의 인간, 하나님의 은혜, 구속, 이신칭의, 성화와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삶, 교회. 하나님의 나라.
공동서신과 요한 계시록
1. 공동서신. 1) 히브리서. 이 서신들 쓰게 된 이유는 수신자들이 그들의 신앙이 점점 뜨뜻 미지근하게 되었고 하나님의 예배 참석에도 태만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에 대해 기독교의 우월성의 주제를 전개시킴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우월성,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의 우월성, 그리고 희생제물로서의 그리스도의 우월성이라는 세 가지 주안점을 제시하고 있다. 2) 야고보서 3) 베드로 전서 4) 베드로 후서: 베드로 후서를 쓴 목적은 거짓 예언자와 이단의 가르침에 대처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신자들의 믿음을 강하게 하고 그들이 그 믿음 안에서 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5) 요한의 세 서신: 수신자의 영적 생활을 깊게 하는 것과 이단적인 가르침에 대해 그들을 경고할 목적으로 씌여졌다. 6) 유다서
2. 요한 계시록. 요한 계시록은 전체적 부활과 최후의 심판, 그리고 새 땅에서 하늘의 예루살렘을 중심지로 하는 영우너한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로 끝맺고 있다. 새 창조는 완전한 행복과 영원한 생명을 보장해 주는 하나님의 처소로 묘사되어 있다.
부록 : 바울 신학의 주요개념들. 아버지로서의 하나님(하나님의 은총의 선택과 믿음 안에서의 인간의 반응에 근거한 윤리적, 영적 개념이다.), 죄인으로서의 인간, 하나님의 은혜, 구속, 이신칭의, 성화와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삶, 교회. 하나님의 나라.
공동서신과 요한 계시록
1. 공동서신. 1) 히브리서. 이 서신들 쓰게 된 이유는 수신자들이 그들의 신앙이 점점 뜨뜻 미지근하게 되었고 하나님의 예배 참석에도 태만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저자는 이에 대해 기독교의 우월성의 주제를 전개시킴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우월성, 그리스도의 제사장직의 우월성, 그리고 희생제물로서의 그리스도의 우월성이라는 세 가지 주안점을 제시하고 있다. 2) 야고보서 3) 베드로 전서 4) 베드로 후서: 베드로 후서를 쓴 목적은 거짓 예언자와 이단의 가르침에 대처하기 위하여, 그리고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신자들의 믿음을 강하게 하고 그들이 그 믿음 안에서 살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5) 요한의 세 서신: 수신자의 영적 생활을 깊게 하는 것과 이단적인 가르침에 대해 그들을 경고할 목적으로 씌여졌다. 6) 유다서
2. 요한 계시록. 요한 계시록은 전체적 부활과 최후의 심판, 그리고 새 땅에서 하늘의 예루살렘을 중심지로 하는 영우너한 하나님의 나라의 도래로 끝맺고 있다. 새 창조는 완전한 행복과 영원한 생명을 보장해 주는 하나님의 처소로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