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유아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세계 유아교육 비교분석에서 고려되어야할 요소들

1) 이데올로기와 유아교육

2) 비교유아교육에서의 용어 정의

3) 비교유아교육의 미래 방향

2. 세계 유아교육 비교분석의 실제

1) 교육목표 및 교육내용

2) 유아교육체제의 관련 법규

3) 교수방법

4) 집단편성과 일과운영

5) 교육평가

6) 교원양성 및 재교육

7) 지원체계 및 취원현황

본문내용

이 동일.
대학입학고사 3년간 일반대학 이수 교원양성대학 입학위한 별도 시험
2년간 교원양성대학에서 교육과정 이수
일 본 : 국가적인 수준의 자격증제도를 운영.
유치원 교사 1급 면허장 - 하사학위취득 일반교육과목36단위, 교과전문과목 28단 위 이상 이수
유치원 교사 2급 면허장 - 대학에 2년 이상재학 단기대학 또는 문부성이 지정한 교원양성소에서 일반 교육과목 18단위 이상 교과에 관한 전문과목 8단위 이상, 교직과목 18단위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캐나다 : 111개 지역사회 대학에서의 1년과 2년 과정
23개 종합대학교에서의 2년과 4년 과정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을 받고 있는 단기교육과정
다양한 형태의 사설 교육기관
교사 양성기관과 교사수가 매우 부족한데 탁아 및 유아교사의 임금, 근무 조건 등이 만족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북 한 : 탁아소 담당 보육원, 유치원 담당 교양원으로 구분
보육원 학교 - 주간 3개월, 야간 6개월 과정 이수. 재교육은 이동강습대.
교양원 - 3년제 교원대학의 교양원과를 마치거나 전국 도 시 군에 설치되어있는
교양원 양성소이용. 재교육은 교양원 양성대학, 시 군 교양원 양성소의 교수강습대
독 일 : 평균13~16의 교육 필요
초등학교(4년) 실업학교(6년) 전문학교(2~3년) 졸업직후 시험 수습교사 1년 반
2차 교사 자격고시 학급담임
호 주 : 4년제 정규대학 및 전문대학에서 유아교육이나 아동 관계 학문을 전공하여야 함.
전문대 졸업자 - 아동이 29명 미만인 시설에서만 근무
고등학교 졸업 무자격 교사 - 정교사의 보조, 학급담임 안 됨. 자격취득까지 보조교사.
다른 나라에 비해 근무조건이 매우 좋은 편이어서 예비교사들의 출신이 다양하고 남자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7) 지원체계 및 취원현황
전 세계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지원율, 취원율이 증가하고 있다. 자본주의 경제체제 국가에서는 유아기 때의 경험이 나중에 이어질 교육적 경제적 성공에 대해서 결정적이라는 인식의 확대와 저소득층 자녀에게도 동등한 교육적 혜택을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복지의 일환으로 유아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고,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취하고 있는 국가 역시 사회주의 혁명의 완수를 어린 시기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정치적 배려에 의햐 유아교육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켜 왔다.
미국은 1991년 1,2학년 아동 중 2%만이 유치원을 다니지 않았으며 유치원에 다닌 아동 가운데 33%는 종일제 공립유치원을 다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헤드스타트에 대한 끊임없는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은 정부보조를 받는 지방교육당국 유아학교, 지방교육당국 유아학급, 지방정부 탁아소가 있고 나머지 유아교육기관은 사립으로 운영되고 있다.
러시아는 주정부의 높은 재정적 지원으로 인해 부모가 비용의 20%정도만 부담한다. 또한 1990년 가을 결의안을 통해 출생부터 18개월까지의 아동을 양육해야 하는 여성 근로자에게 최소한의 봉급에 상당하는 주 지원금을 보장하였다.
프랑스도 정부 부담이 많으며 취원율이 매우 높다. 재정의 65~80%는 중앙정부에서 지원하고 나머지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부담한다. 사립유치원도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과 함께 교육적인 통제도 받고 있으며 교사봉급의 100%를 정부에서 부담한다.
캐나다는 의무교육에 준하는 유아교육정책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에 유아교육수준이 증대되고 있다.
북한은 탁아소와 유치원의 수에 있어 높은 수준의 취원율을 보이며 독일은 현재 5세 아동의 거의100%가 취원하고 있고 전체 3~5세 아동 가운데 약 76%가 취원하고 있다.
호주는 공립시설의 경우 건물은 물론 비품과 운영비를 정부에서 완전지원하며 개인 보육료의 30%를 정부가 지원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8.25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8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