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컨벤션 뷰로(CVB)의 정의
본론
Ⅰ. CVB의 중요성
Ⅱ. CVB의 역할과 업무영역
1. CVB의 역할
2. CVB의 업무영역
Ⅲ. CVB의 구체적 활동 내용
Ⅳ. CVB의 유형
1. 관주도형 컨벤션 뷰로
2. 반관반민형 컨벤션 뷰로
3. 민간주도형 컨벤션 뷰로
Ⅴ. 우리나라와 외국의 CVB 운영 상황
Ⅵ. 컨벤션 뷰로(Bureau)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Ⅶ. 향후 CVB 운영전략 방향
결론
* 참고 문헌 *
본론
Ⅰ. CVB의 중요성
Ⅱ. CVB의 역할과 업무영역
1. CVB의 역할
2. CVB의 업무영역
Ⅲ. CVB의 구체적 활동 내용
Ⅳ. CVB의 유형
1. 관주도형 컨벤션 뷰로
2. 반관반민형 컨벤션 뷰로
3. 민간주도형 컨벤션 뷰로
Ⅴ. 우리나라와 외국의 CVB 운영 상황
Ⅵ. 컨벤션 뷰로(Bureau)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Ⅶ. 향후 CVB 운영전략 방향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동 면에서는 다른 나라 대부분의 주업무가 홍보 활동인데 반해서 우리나라는 지역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홍보 활동이 아직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④한국관광공사와 민간기업간에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즉, 앞으로 해외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우리나라 기업이 참가를 한다면 이를 위해서 많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⑤많은 경험에서 나오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이 산업에서 2년마다의 부서 변동이 이루어지는 관광공사의 직원들에게 이런 것은 필히 요구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⑥이것은 비단 이곳에서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전시업체나 PCO에게도 해당할 수 있는데 전문적인 인력에 대한 임금수준이나 복지정책이 너무 열악해서 몇 회를 거듭하는 같은 행사에도 매회마다 동일 인물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 일을 맡는 일이 많아서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2. 개선방향 (부산지역 상품으로서의 예)
이런 문제점은 우리나라 정부의 협조 하에 컨벤션 관련 업체들과의 원할한 의사소통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는 한국관광공사가 CVB의 기능을 다 맡아서 하고 있지만 앞으로 컨벤션 센터가 설립 예정되는 곳은 그 지역의 특성에 부합된 별도의 CVB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좋은 예로 부산관광컨벤션 뷰로가 2001년에 설립되었다. 같은 해에 부산전시 컨벤션센터(BEXCO)는 서울사무소를 설치함으로써 현재 서울에서만 열리고 있는 행사를 부산에서도 열도록 적극적인 유치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부산은 지역특성을 훌륭히 부각시킴으로써 각종 영화나 TV 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부산에서는 더욱 더 많은 국제 행사를 개최하기 위해 홍보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이렇듯 부산이 컨벤션 개최지로서 뜨고 있는 이유는 민간과 관공서 간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고 무엇보다도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한다는 데에 있다고 한다.
전문적인 시설이나 인적자원도 필요하겠지만 컨벤션 산업 같은 국제적인 행사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시민들의 절대적인 환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행사의 기본적인 전제는 사람들간의 교류나 즉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Ⅶ. 향후 CVB 운영전략 방향
우리나라는 현재 한국관광공사내에 컨벤션 뷰로가 설치되어 CVB의 역할을 맡아 오고 있다. 그러나 컨벤션 산업의 특성상 민관협력으로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침으로서 컨벤션의 유치ㆍ홍보는 물론 운영에 있어서도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여 컨벤션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지방 시, 도에서는 설립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국가 전체적으로 컨벤션시설 건립에 따라 지방도시별로 컨벤션전담조직을 설치할 필요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2000년에 부산시가 중심이 되어 ‘부산관광컨벤션뷰로’가 설치ㆍ활동 중에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컨벤션센터가 건립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 확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부산, 대구, 제주, 대전, 수원 등의 도시에서 컨벤션센터를 완공하였거나 건립할 준비를 진행중에 있으므로 이러한 컨벤션센터의 활용을 위해 CVB의 설립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될 전망이다.
그러나 CVB는 자체적인 활동을 통해 직접 이익을 창출하기보다는 해당지역의 관련업계들을 통해 간접적 이익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그 설립ㆍ운영을 위한 재원 마련과 그에 따른 지역주민의 이해가 가장 시급히 요구된다.
이는 곧 한국 지방도시의 CVB는 그 본연의 임무인 외부에 대한 개최도시 마케팅활동을 함과 동시에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컨벤션과 CVB에 대한 내부마케팅활동도 함께 펼쳐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내부마케팅이 중요한 것은 재원 마련과 자원을 다양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도시들이 CVB 설립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재원 마련이다. 국내에서는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컨벤션산업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유일한 기반이지만, 이 내용도 제도적 지원의 실효성을 기대할 수 없는 정책지원 조항만을 포함하고 있을 뿐 컨벤션산업에 대한 재정, 행정, 세제지원에 대한 구체적 지원 조항이 없는 실정이다. 이는 현재로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재정지원이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앙정부 차원의 육성책 마련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조속히 정비하여 범정부적인 컨벤션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책이 마련 추진되어야 하겠다.
현재로서는 지방도시차원의 재원 확보가 중요한데, 실례로 부산관광컨벤션뷰로가 부산시의 재정으로 설립되어 첫발을 내디뎠으며, 향후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재원상의 독립성을 확보해 나가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다시 말해서 미국내 도시들의 CVB의 성장 과정처럼, 관주로도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민간주도의 CVB로 변모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과 지역 마케팅 기구로의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바탕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내부마케팅이다.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바탕으로 CVB 회원들의 활발한 활동을 이끌어 내어 민간 차원의 협력과 지원으로 독립적 비영리 단체로서의 성격을 확보함으로써 회의주체단체가 지역공급 업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컨벤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겠다.
결론
현재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 한류열풍을 일으킨 현상처럼 문화나 서비스 산업이 그 나라의 이미지와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책임지는 시대가 이제 온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컨벤션 산업이 한 기간동안 잠깐 유행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더욱 발전해서 진정한 문화강대국으로서 위치를 차지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발전의 중심부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관광공사의 컨벤션 뷰로팀의 멋진 활동을 기대해본다.
* 참고 문헌 *
[참고 서적]
국제회의 산업론, 윤세목, 현학사
[참고 사이트]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 2006.10.4)
서울 컨벤션 뷰로, (http://www.seoulcvb.org/ 2006.10.4)
컨벤션 산업협회, (http://www.conventionassociation.org/ 2006.10.5)
④한국관광공사와 민간기업간에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 즉, 앞으로 해외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우리나라 기업이 참가를 한다면 이를 위해서 많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⑤많은 경험에서 나오기 때문에 숙련된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이 산업에서 2년마다의 부서 변동이 이루어지는 관광공사의 직원들에게 이런 것은 필히 요구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⑥이것은 비단 이곳에서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현재 우리나라의 대다수의 전시업체나 PCO에게도 해당할 수 있는데 전문적인 인력에 대한 임금수준이나 복지정책이 너무 열악해서 몇 회를 거듭하는 같은 행사에도 매회마다 동일 인물이 아닌 다른 사람이 그 일을 맡는 일이 많아서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2. 개선방향 (부산지역 상품으로서의 예)
이런 문제점은 우리나라 정부의 협조 하에 컨벤션 관련 업체들과의 원할한 의사소통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현재는 한국관광공사가 CVB의 기능을 다 맡아서 하고 있지만 앞으로 컨벤션 센터가 설립 예정되는 곳은 그 지역의 특성에 부합된 별도의 CVB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좋은 예로 부산관광컨벤션 뷰로가 2001년에 설립되었다. 같은 해에 부산전시 컨벤션센터(BEXCO)는 서울사무소를 설치함으로써 현재 서울에서만 열리고 있는 행사를 부산에서도 열도록 적극적인 유치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부산은 지역특성을 훌륭히 부각시킴으로써 각종 영화나 TV 드라마 촬영지로 각광 받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부산에서는 더욱 더 많은 국제 행사를 개최하기 위해 홍보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이렇듯 부산이 컨벤션 개최지로서 뜨고 있는 이유는 민간과 관공서 간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고 무엇보다도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협조한다는 데에 있다고 한다.
전문적인 시설이나 인적자원도 필요하겠지만 컨벤션 산업 같은 국제적인 행사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시민들의 절대적인 환대정신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행사의 기본적인 전제는 사람들간의 교류나 즉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Ⅶ. 향후 CVB 운영전략 방향
우리나라는 현재 한국관광공사내에 컨벤션 뷰로가 설치되어 CVB의 역할을 맡아 오고 있다. 그러나 컨벤션 산업의 특성상 민관협력으로 다양한 지원정책을 펼침으로서 컨벤션의 유치ㆍ홍보는 물론 운영에 있어서도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하여 컨벤션센터를 보유하고 있는 지방 시, 도에서는 설립을 희망하고 있다. 또한 국가 전체적으로 컨벤션시설 건립에 따라 지방도시별로 컨벤션전담조직을 설치할 필요성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지방에서는 처음으로 2000년에 부산시가 중심이 되어 ‘부산관광컨벤션뷰로’가 설치ㆍ활동 중에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컨벤션센터가 건립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계속 확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부산, 대구, 제주, 대전, 수원 등의 도시에서 컨벤션센터를 완공하였거나 건립할 준비를 진행중에 있으므로 이러한 컨벤션센터의 활용을 위해 CVB의 설립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될 전망이다.
그러나 CVB는 자체적인 활동을 통해 직접 이익을 창출하기보다는 해당지역의 관련업계들을 통해 간접적 이익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그 설립ㆍ운영을 위한 재원 마련과 그에 따른 지역주민의 이해가 가장 시급히 요구된다.
이는 곧 한국 지방도시의 CVB는 그 본연의 임무인 외부에 대한 개최도시 마케팅활동을 함과 동시에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컨벤션과 CVB에 대한 내부마케팅활동도 함께 펼쳐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내부마케팅이 중요한 것은 재원 마련과 자원을 다양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도시들이 CVB 설립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은 재원 마련이다. 국내에서는 “국제회의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이 컨벤션산업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유일한 기반이지만, 이 내용도 제도적 지원의 실효성을 기대할 수 없는 정책지원 조항만을 포함하고 있을 뿐 컨벤션산업에 대한 재정, 행정, 세제지원에 대한 구체적 지원 조항이 없는 실정이다. 이는 현재로서는 중앙정부 차원의 재정지원이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중앙정부 차원의 육성책 마련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을 조속히 정비하여 범정부적인 컨벤션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책이 마련 추진되어야 하겠다.
현재로서는 지방도시차원의 재원 확보가 중요한데, 실례로 부산관광컨벤션뷰로가 부산시의 재정으로 설립되어 첫발을 내디뎠으며, 향후 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재원상의 독립성을 확보해 나가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다시 말해서 미국내 도시들의 CVB의 성장 과정처럼, 관주로도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민간주도의 CVB로 변모하면서 지속적인 성장과 지역 마케팅 기구로의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의 바탕이 되는 것 중 하나가 내부마케팅이다.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바탕으로 CVB 회원들의 활발한 활동을 이끌어 내어 민간 차원의 협력과 지원으로 독립적 비영리 단체로서의 성격을 확보함으로써 회의주체단체가 지역공급 업체들을 대표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원활한 컨벤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겠다.
결론
현재 중국과 동남아 지역에 한류열풍을 일으킨 현상처럼 문화나 서비스 산업이 그 나라의 이미지와 더 나아가 국가 경쟁력을 책임지는 시대가 이제 온 것이다.
이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컨벤션 산업이 한 기간동안 잠깐 유행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더욱 발전해서 진정한 문화강대국으로서 위치를 차지하기를 바란다. 그리고 그 발전의 중심부 역할을 하고 있는 한국관광공사의 컨벤션 뷰로팀의 멋진 활동을 기대해본다.
* 참고 문헌 *
[참고 서적]
국제회의 산업론, 윤세목, 현학사
[참고 사이트]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 2006.10.4)
서울 컨벤션 뷰로, (http://www.seoulcvb.org/ 2006.10.4)
컨벤션 산업협회, (http://www.conventionassociation.org/ 2006.1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