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혼 선재설(靈魂 先在設, Pre-Existentianism)
2. 영혼 창조설(靈魂 創造設, Creationism)
3. 영혼 유전설(靈魂 遺傳設, Traducianism)
Ⅲ. 결론
※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혼 선재설(靈魂 先在設, Pre-Existentianism)
2. 영혼 창조설(靈魂 創造設, Creationism)
3. 영혼 유전설(靈魂 遺傳設, Traducianism)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이루는 핵심 요소들이다. 그러나 현재의 육체는 태어나서 성장하고 노쇠하여 가는 과정을 늘 유동하며 또한 죽음으로 썩어 소멸될 것인 반면 영혼은 변함없이 영원하여 죽음 이후에도 존재하다가 마침내 부활(復活)과 종말(終末)을 경유하여 영생을 얻을 때 영원한 새 몸을 다시 얻을 것이다. 또한 인간이 그 자신은 절대 영이신 하나님과 교통하게 되는 접촉점도 바로 이 영혼이다. 따라서 영과 육이 동시에 인간의 실체를 이루는 요소이지만 그 존재와 역할로 볼 때 영이 육에 우선되는 보다 본질적 요소인 것이다. 이 말은 결코 육의 중요성을 간과하거나 경시하는 풍조에 동의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의 육체도 영혼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된 유일한 피조물이요 천지 창조 전체의 중심인 인간의 존엄성과 아름다움을 잘 반영하도록 그 영혼과 함께 한 분 하나님이 지어주신 존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인간의 영혼의 기원에 대한 학설을 고찰했다. 세 학설의 종합적인 정리는 생략하겠다. 이 세 학설들은 초대교회의 교부들로부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주제들이다. 선재설은 고려할 가치가 없으며
) 황승룡,「조직신학 상」(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부, 1994), 289.
창조설과 유전설은 일치의 양보 없이 학설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각 개인의 영혼이 출생시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것으로 파악하는 유전설을 지지하며, 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할 때만 생기를 불어넣으심으로 영혼을 창조하셨으며, 창조 사역이 6일 만에 완료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 후의 인간은 생식의 법칙에 따라 전체적으로 번식된다는 성경적 근거를 가진 영혼유전설(靈魂遺傳說)이 타당성이 큰 것으로 본다. 물론 어거스틴(Augustine)이 우려했던 것처럼 영혼의 유전에 있어서 영혼의 물질주의적(物質主義的) 결과는 조심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이성주.「조직신학 1편」, 서울: 성결교신학대학 출판부, 1998.
성기호,「쉽고 재미있게 풀어쓴 이야기 신학」, 서울: 국민일보사, 1997.
황승룡,「조직신학 상」,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부, 1994.
「그랜드 종합교리 (제3권 인간론)」, 서울: 성서교재 주식회사, 1996.
H. C. Thiessen. 권혁봉 역,「조직신학개론」,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5.
H. O. Wily. 김용련 역,「기독교 신학개론」, 서울: 생명줄, 1985.
결론적으로 필자는 인간의 영혼의 기원에 대한 학설을 고찰했다. 세 학설의 종합적인 정리는 생략하겠다. 이 세 학설들은 초대교회의 교부들로부터 시작하여 지금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주제들이다. 선재설은 고려할 가치가 없으며
) 황승룡,「조직신학 상」(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부, 1994), 289.
창조설과 유전설은 일치의 양보 없이 학설의 타당성을 제시하고 있다. 필자는 각 개인의 영혼이 출생시 부모로부터 물려받는 것으로 파악하는 유전설을 지지하며, 하나님께서 아담을 창조할 때만 생기를 불어넣으심으로 영혼을 창조하셨으며, 창조 사역이 6일 만에 완료되었다는 것, 그리고 그 후의 인간은 생식의 법칙에 따라 전체적으로 번식된다는 성경적 근거를 가진 영혼유전설(靈魂遺傳說)이 타당성이 큰 것으로 본다. 물론 어거스틴(Augustine)이 우려했던 것처럼 영혼의 유전에 있어서 영혼의 물질주의적(物質主義的) 결과는 조심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이성주.「조직신학 1편」, 서울: 성결교신학대학 출판부, 1998.
성기호,「쉽고 재미있게 풀어쓴 이야기 신학」, 서울: 국민일보사, 1997.
황승룡,「조직신학 상」, 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출판부, 1994.
「그랜드 종합교리 (제3권 인간론)」, 서울: 성서교재 주식회사, 1996.
H. C. Thiessen. 권혁봉 역,「조직신학개론」,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75.
H. O. Wily. 김용련 역,「기독교 신학개론」, 서울: 생명줄, 1985.
추천자료
종교-불교, 유교, 기독교 인간관과 이단의 특성
Shakespeare의 4대 비극 - 문학 속에 나타나는 인간심리
무교, 유교, 도교, 불교, 기독교의 인간관과 우주관에 대해 논하시오.
[종교학,기독교]성서에 나타난 인간관
[과외]중1-도덕 01 인간과 삶과 도덕 01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속에 나타난 인간의 희망과 다성성
플라톤의 사상과 정치철학(이데아론, 인간론, 우주론, 이상국가론)
플라톤의 생애와 사상(이데아론,동굴의비유,인간론,국가론,윤리학,교육론,신론),철학이란
[사르트르의 상황윤리설] 사르트르의 사상적 배경과 생애 및 인간관, 주체성과 책임 및 상황윤리
윤리적 의사결정, 윤리적 주관주의, 인간복제의 윤리적 관점, 정보화사회의 윤리적 문제, 사...
성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의 이성관과 인간관, 성 어거스틴(아우구스티누스)의 神(신)증명...
파우스트,사천의 선인에 나타난 인간 본성의 양면성
철학의 이해(철학이란, 문화와철학, 인간의이해, 논리진리지식, 현실과역사) 이론요점정리
[교회와 신앙] 공해와 신학 - 인간생활 환경을 파괴한 공해, 공해의 성서적 근거, 공해와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