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간호활동계획
1. 진단적 계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사정한다.
③ Wound site의 양상을 사정한다.
2. 중재적 계획
① 손세척, 및 장갑, 마스크등을 사용한다.
② 적절한 수분섭취를 권유한다.
③ 드레싱 교환 , 정맥주입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④ 각종 연결선을 정해진 시기에 정확히 교환한다.
⑤ 수액병은 24시간 마다 교환한다.
⑥ 각종 연결선을 정해진 시기에 정확히 교환한다.
⑦ 드레싱은 24~48시간 마다 교환한다.
⑧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교육적 계획
① 적절한 피부와 구강간호,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② OP Wound 부위의 청결유지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V/S Normal.
② WBC 상승
검사명
6/18
6/26
(OP후)
WBC
6.0
13.1▲
seg N.(segmented neutrophil)이 증가
Segmented neutrophil
75.5▲
75.9▲
③ OP Wound 양상
-6/26(OP): OP wound medix apply 중으로 oozing swelling X.
JP drain 통해 sanguineous color 배액중으로 patency 양호함.
-6/27~29:절개부위에 (Medix) dressing 되어있으며 oozing 없음
J-P patency 유지됨
절개부위에 삽입된 JP drain 통해 sanguineous 배액됨.
6/26(OP)
6/27
6/28
6/29
J-P drain
80
80
100
80
2. 중재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환자에게 간호수행을 하기 전에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바른 후에 시행한다.
② 물을 많이 마실 것을 격려한다.
- DNK1 정맥으로 투여.
③ 드레싱 교환이나, 정맥주입시, JP drain 관리 시 철저한 무균술을 시행하였다.
⑤ 수액은 수술 후 이틀 후에 Remove 한 후 KVO(Keep vein open) 만 유지시킴.
⑦ Dressing은 매일 교환하였다.
⑧ 항생제 cefazedone을 6/26~6/29일에 투여하였다.
3.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감염 위험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적절한 피부와 구강간호,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② 되도록이면 OP Wound 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하며, 만질 경우에는 손의 청결성을 유지하여 미생물의 전파로 인한 감염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간호평가
감염증상이 없고, 감염의 예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간호 진단
# 3. 질병 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 수술을 하고 어떤 운동을 하는 게 좋은가요?"
" 수술만 하면 끝나는 게 아닌가요?"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운동교육 후에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모습이 보여졌다.
간호목표
대상자는 질병관리를 적절히 수행한다.
간호
계획
간호활동계획
1.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질병 및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중재적 계획
① 허용된 범위 내에서 팔과 어깨관절의 능동적 관절 운동을 수시로 실시한다.
② 능동적 운동이 불가능 하면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③ 자가간호 활동을 격려한다.(음식먹는 것, 머리빗기, 세수하기 등)
④ 교육한 내용을 수행하는지 점검하고, 교육내용과 다르게 수행하는 부분은 수정해준다.
3. 교육적 계획
① 손과 손목운동, 팔꿈치의 굴절과 신전을 매시간 간격으로 시행하도록 교육한다.
② 수술 후 24~48시간 동안 팔을 올려놓을 것을 교육한다.
③ 퇴원 후에도 치료받을 방사선요법이나 항암요법에 대한 관리를 교육한다.
간호수행
1.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환자는 유방암 수술 후 관리에 대해 부족하였고,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2. 중재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ROM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③ 힘들더라도 수술한 쪽 팔을 조금씩이라도 사용하도록 하며 자가간호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④ 매 라운딩 시 환자에게 Molding, AE(Arm exercise), 공쥐어짜기, 귀잡기, 등긁기 등의 교육내용수행 여부를 질문하고, 수행하도록 시켜본 후에, 잘못된 점은 수정해주었다.
3.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Molding, 공쥐어짜기, 귀잡기, 등긁기 등의 시범을 통해 교육한다.
유방절제술 후에는 림프부종, 어깨관절 운동제한, 근력의 감소, 팔이나 가슴의 통증, 죄임 및 잡아당기는 무거운 느낌, 신경손상으로 인한 무감각, 저림, 가려움, 따금 거림, 감각 항진, 자세의 이상, 목이나 어깨의 강직, 요통 등을 경험할 수 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의 범위에서 기능을 최대화 시키는 재활 치료는 매우중요하다 그러므로 모든 동작은 개인의 수준에 맞게 무리하지 않게 진행해야 한다. Molding은 미용의 요법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수술한 액와부위를 모양이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귀잡기와 등긁기는 수술 받은 쪽의 팔의 최대한의 관절운동범위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② 수술 후 24~48시간 동안 팔을 올려놓을 것을 교육하였다.
팔을 올릴 때에는 자연스럽게 편한 상태로 바닥에서 45도 정도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30~60분 이상은 눈에 띄는 변화가 있으므로 1일 3~4회 이상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하는 것이 좋다. 이때 팔을 올린 상태에서 근육에 힘을 주었다 뺏다 하는 식으로 근육 운동을 유도하면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다.
③ 방사선요법, 항암요법, 호르몬요법에 대한 교육을 한다.
방사선 치료의 횟수, 방법, 피부변화, 주의점에 대해서 교육하며
항암요법의 방법, 진행과정, 주의점, 부작용 등에 대하서 교육한다
또한 호르몬요법으로 에스트로겐이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여 유방암의 진행을 막고자 하는 시도이며 진행방법과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한다.
간호평가
질병관리를 적절히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 참고문헌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기본간호의 실제, 현문사 2005, 정승교외
http://breast2000.com/clinic.htm
대한약사회: http://www.kpanet.or.kr/f_index.jsp
1. 진단적 계획
①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② 감염의 지표가 되는 임상검사 결과를 사정한다.
③ Wound site의 양상을 사정한다.
2. 중재적 계획
① 손세척, 및 장갑, 마스크등을 사용한다.
② 적절한 수분섭취를 권유한다.
③ 드레싱 교환 , 정맥주입시 철저한 무균법을 지킨다.
④ 각종 연결선을 정해진 시기에 정확히 교환한다.
⑤ 수액병은 24시간 마다 교환한다.
⑥ 각종 연결선을 정해진 시기에 정확히 교환한다.
⑦ 드레싱은 24~48시간 마다 교환한다.
⑧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한다.
3. 교육적 계획
① 적절한 피부와 구강간호,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② OP Wound 부위의 청결유지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1. 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V/S Normal.
② WBC 상승
검사명
6/18
6/26
(OP후)
WBC
6.0
13.1▲
seg N.(segmented neutrophil)이 증가
Segmented neutrophil
75.5▲
75.9▲
③ OP Wound 양상
-6/26(OP): OP wound medix apply 중으로 oozing swelling X.
JP drain 통해 sanguineous color 배액중으로 patency 양호함.
-6/27~29:절개부위에 (Medix) dressing 되어있으며 oozing 없음
J-P patency 유지됨
절개부위에 삽입된 JP drain 통해 sanguineous 배액됨.
6/26(OP)
6/27
6/28
6/29
J-P drain
80
80
100
80
2. 중재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환자에게 간호수행을 하기 전에 손을 씻거나 손 소독제를 바른 후에 시행한다.
② 물을 많이 마실 것을 격려한다.
- DNK1 정맥으로 투여.
③ 드레싱 교환이나, 정맥주입시, JP drain 관리 시 철저한 무균술을 시행하였다.
⑤ 수액은 수술 후 이틀 후에 Remove 한 후 KVO(Keep vein open) 만 유지시킴.
⑦ Dressing은 매일 교환하였다.
⑧ 항생제 cefazedone을 6/26~6/29일에 투여하였다.
3.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감염 위험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적절한 피부와 구강간호,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② 되도록이면 OP Wound 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하며, 만질 경우에는 손의 청결성을 유지하여 미생물의 전파로 인한 감염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간호평가
감염증상이 없고, 감염의 예방법을 말할 수 있다.
간호 진단
# 3. 질병 관리에 대한 지식부족
주관적 자료
" 수술을 하고 어떤 운동을 하는 게 좋은가요?"
" 수술만 하면 끝나는 게 아닌가요?"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질병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운동교육 후에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모습이 보여졌다.
간호목표
대상자는 질병관리를 적절히 수행한다.
간호
계획
간호활동계획
1. 진단적 계획
① 대상자의 질병 및 치료과정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중재적 계획
① 허용된 범위 내에서 팔과 어깨관절의 능동적 관절 운동을 수시로 실시한다.
② 능동적 운동이 불가능 하면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시행한다.
③ 자가간호 활동을 격려한다.(음식먹는 것, 머리빗기, 세수하기 등)
④ 교육한 내용을 수행하는지 점검하고, 교육내용과 다르게 수행하는 부분은 수정해준다.
3. 교육적 계획
① 손과 손목운동, 팔꿈치의 굴절과 신전을 매시간 간격으로 시행하도록 교육한다.
② 수술 후 24~48시간 동안 팔을 올려놓을 것을 교육한다.
③ 퇴원 후에도 치료받을 방사선요법이나 항암요법에 대한 관리를 교육한다.
간호수행
1.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환자는 유방암 수술 후 관리에 대해 부족하였고, 추후관리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2. 중재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ROM의 중요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격려하였다.
③ 힘들더라도 수술한 쪽 팔을 조금씩이라도 사용하도록 하며 자가간호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④ 매 라운딩 시 환자에게 Molding, AE(Arm exercise), 공쥐어짜기, 귀잡기, 등긁기 등의 교육내용수행 여부를 질문하고, 수행하도록 시켜본 후에, 잘못된 점은 수정해주었다.
3.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Molding, 공쥐어짜기, 귀잡기, 등긁기 등의 시범을 통해 교육한다.
유방절제술 후에는 림프부종, 어깨관절 운동제한, 근력의 감소, 팔이나 가슴의 통증, 죄임 및 잡아당기는 무거운 느낌, 신경손상으로 인한 무감각, 저림, 가려움, 따금 거림, 감각 항진, 자세의 이상, 목이나 어깨의 강직, 요통 등을 경험할 수 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능력의 범위에서 기능을 최대화 시키는 재활 치료는 매우중요하다 그러므로 모든 동작은 개인의 수준에 맞게 무리하지 않게 진행해야 한다. Molding은 미용의 요법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수술한 액와부위를 모양이 변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귀잡기와 등긁기는 수술 받은 쪽의 팔의 최대한의 관절운동범위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② 수술 후 24~48시간 동안 팔을 올려놓을 것을 교육하였다.
팔을 올릴 때에는 자연스럽게 편한 상태로 바닥에서 45도 정도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30~60분 이상은 눈에 띄는 변화가 있으므로 1일 3~4회 이상 시간적인 여유를 가지고 하는 것이 좋다. 이때 팔을 올린 상태에서 근육에 힘을 주었다 뺏다 하는 식으로 근육 운동을 유도하면 더욱 효과를 거둘 수 있다.
③ 방사선요법, 항암요법, 호르몬요법에 대한 교육을 한다.
방사선 치료의 횟수, 방법, 피부변화, 주의점에 대해서 교육하며
항암요법의 방법, 진행과정, 주의점, 부작용 등에 대하서 교육한다
또한 호르몬요법으로 에스트로겐이 유방암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여 유방암의 진행을 막고자 하는 시도이며 진행방법과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한다.
간호평가
질병관리를 적절히 수행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 참고문헌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기본간호의 실제, 현문사 2005, 정승교외
http://breast2000.com/clinic.htm
대한약사회: http://www.kpanet.or.kr/f_index.jsp
키워드
추천자료
당뇨(DM)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간암 케이스 스터디 HCC : Hepatocellular Carcinoma case study간의 구조와 기능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뇌졸중 (Stroke.)
[아동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신생아
[정신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조현병(Schizoprenia)
간호관리학 케이스 스터디(Nursing Management Case Study) - 부정적 조직 분위기 (과도한 업...
간호관리학 케이스 스터디(Nursing Management Case Study) - 과도한 업무분담 (책임간호사들...
NICU 황달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신생아실 및 신생아중환자실 사례보고서] / 의학적 ...
모성간호학 C/S 케이스 스터디! 제왕절개 CASE STUDY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진료소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방문간호 CASE STUDY@!
폐암 Lung cancer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내과 악성림프종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심근경색 MI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