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1)정의
2)적응증
3)분만준비
4)수술방법
5)수술후 간호
2.간호과정
1)일반적사항
2)입원시 상태
3)수술 전 간호
4)수술 과정
5)신생아상태
6)태반박리
7)수술 전 후 주요약물
8)제왕절개 산욕부 간호
9) 간호진단
(3가지요)
1)정의
2)적응증
3)분만준비
4)수술방법
5)수술후 간호
2.간호과정
1)일반적사항
2)입원시 상태
3)수술 전 간호
4)수술 과정
5)신생아상태
6)태반박리
7)수술 전 후 주요약물
8)제왕절개 산욕부 간호
9) 간호진단
(3가지요)
본문내용
는 기구, 신생아에 대한 기대 등). 병실 환경 소개 및 산부의 활력징후, 신장과 체중을 먼저 측정한다. 이 외에 과거 수술 경험,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있는지, 특이체질 여부 등도 파악해두는 것이 좋다. 질분만하는 신생아와는 달리 제왕절개 시에는 태아가 산도를 통과 때 흉곽에 압박이 없으므로 폐에 차있는 액체가 제거되기 힘들어서 분만 후 1~2일 정도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도 있다.
(2)수술 위험요인의 확인
①불충분한 영양상태
-비만하거나 단백질, 비타민 결핍이 있는 산부의 경우에는 수술 후 상처 회복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수술하기에 위험하다.
②연령
-산부의 연령은 혈액순환과 신장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③일반적인 건강상태
-심장병, 당뇨병, 빈혈, 간질환이나 신장질환 등은 수술의 위험요인이다.
④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수술 전 구토, 설사나 불충분한 수분 섭취 등은 저혈량증을 유별하므로 수술 전에 수분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⑤심리상태
-두려움에 차 있는 산부는 마취 시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수술 전 충분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⑥수술형태
-임부는 자궁의 상부가 위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전신 마취 시 흡인의 위험이 상당히 높다.
(3)수술 전 진단 절차
①소변검사
-대사기능 및 신장기능을 사정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②혈액검사
혈액형 검사와 cross matching
신장기능 검사 : BUN, creatinine
전혈구수(CBC): 헤모글로빈, 혈소판, 백혈구
간 기능 검사
혈액응고 검사: BT(Bleeding Time), PT(Pro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③혈장 전해질과 산도(PH)
-분만 중 금식했던 산부나 수술에 대한 불안으로 평소만큼 식사를 못한 산부의 경우 절해질 불균형이 나타나기 쉽다.
④흉부 X선
-수술 동안 호흡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산부는 충분한 산소공급을 위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산소결핍증을 겪게 된다.
⑤EKG
-심장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수술 전에 확인한다.
⑥태아심음과 자궁수축상태 모니터링
-태아심박동과 자궁 수축압의 변화를 체크한다.
(4)수술 전 간호
①수술 준비를 위한 간호
수술동의서를 받는다. 산모와 보호자에게 수술 전 동의서에 날인을 받는 것은 수술 전 투약이 이루어지기 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 전 피부 준비는 세균 수를 감소시켜 수술 시 절개부위로 세균침투 가능성을 줄이려는 목적이 있다. 제왕절개 시에는 복부의 검상돌기부터 음부의 치모까지 깨끗이 삭모한다.
수술 전 위장관 준비는 금식이다. 마취제 투여 후 산부가 구토를 일으키지 않도록 수술 전 6~8시간 동안의 금식이 필요하다.
②수술 전 교육
수술을 위한 피부 준비, 금식, 수술 전 투약, 수술 장소 이동 등과 같은 수술 전 준비 교육이 필요하며 도뇨관, 정맥수액, 수술 후 조기이상의 필요성도 알려주는 것이 좋다. 산부에게 수술하는 이유를 충분히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날 미리 심호흡, 기침, 다리운동 등에 대해서 교육한다. 정기적인 심호흡은 폐에 충분히 공기를 공급하고 폐어 점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도와줌으로써 폐렴의 가능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순환 정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한 시간에 다섯 번 정도 발목, 무릎, 둔부를 굴곡, 신전시키는 운동을 지도한다. 또한 침상에서 두 다리를 들고서 원을 그리는 운동도 효과적이다. 특별히 제왕절개 뒤에는 하지순환이 압박되어 하지 순환 정체가 되기 쉽다.
③수술 직전 간호
수술 직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수술복으로 갈아입는다.
머리핀을 제거하고 머리는 단정히 한다.
손톱의 매니큐어를 지우도록 하고 반지 등의 장신구를 빼도록 한다.
구강을 깨끗이 하고 의치가 있으면 뺀다.
콘텍트렌즈 착용 여부를 확인 제거한다.
산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름표를 작성하여 손목에 채워준다.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정맥을 통한 적절한 수액 공급을 유지한다. : 링거액이나 5% 포도당 1,000ml를 사용한다.
차트와 수술 전 체크리스트를 완성한다.
수술전 투약 : 수술 전 투약은 최소한으로 하여 태아 혈액공급이나 신생아의 첫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수술 전 투약으로는 분비물 억제를 위한 로비눌제제를 투여하고 모든 무통마취제는 태아의 호흡을 억제하므로 반드시 피해야 한다. 자궁수축제는 상비약에 속한다.
수술실 준비: 신생아 간호를 위한 준비와 신생아 응급소생술을 위한 신생아 보온기, 산소, 신생아 흡인기 등을 준비한다.
4)수술방법
(1)재래식 제왕절개
-복부 조직과 자궁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만출 시키는 방법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 적용한다.
태아의 재태 연령이 34주 이하이고 둔위인 경우(자궁하부 제왕절개를 하기에는 자궁하부가 덜 형성되었고 절개부위가 좁아 태아를 안전하게 분만하기 어렵다.)
자궁하부에서 섬유종이 발견된 경우
제왕절개 후 자궁절제술이 계획된 경우
모체 사망 후 태아를 살리기 위해 수술하는 경우
방광과 자궁하부의 유착이 광범위할 때, 횡위, 전치태반일 때 이용하는 방법.
(2)자궁하부 제왕절개
-대체로 복부조직 절개는 종위로 하고 자궁은 횡위로 하는데 최근에는 대부분 복부조직 절개도 미용 상 횡위로 한다. 그러나 복직근은 종위로 절개하고 자궁은 가장 얇은 부분인 자궁하부를 절개하는 방법으로 하부절개는 실혈량이 적고, 봉합이 용이하며 활동성이 적은 부위여서 다시 임신한다 해도 반흔이 적어 파열 가능성이 적으며, 수술 후 감염이 적고, 장폐색의 위험과 유착이 감소된다. 태아 만출은 분만 겸자나 진공 흡인컵을 이용하는 일이 많다.
5)수술 후 간호
(1)수술 후 산모사정
출혈 유무 : 자궁저부 높이, 자궁수축 정도, 오로의 양과 특성, 수술부위 등
섭취량과 배설량 : 방광팽만, 소변배설량
진통제의 필요성 : 통증의 특성과 부위, 산모의 표정, 자세, 신체긴장정도
감염 증세 : 수술 부위 , 흉부, 오로
활력징후 : 수술 후 며칠동안 4시간마다 측정
제왕절개술에 대한산모 및 가족의 반응
(2)수술 위험요인의 확인
①불충분한 영양상태
-비만하거나 단백질, 비타민 결핍이 있는 산부의 경우에는 수술 후 상처 회복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수술하기에 위험하다.
②연령
-산부의 연령은 혈액순환과 신장기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③일반적인 건강상태
-심장병, 당뇨병, 빈혈, 간질환이나 신장질환 등은 수술의 위험요인이다.
④수분과 전해질 불균형
-수술 전 구토, 설사나 불충분한 수분 섭취 등은 저혈량증을 유별하므로 수술 전에 수분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정맥으로 수액을 공급한다.
⑤심리상태
-두려움에 차 있는 산부는 마취 시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수술 전 충분한 설명을 필요로 한다.
⑥수술형태
-임부는 자궁의 상부가 위를 압박하고 있기 때문에 전신 마취 시 흡인의 위험이 상당히 높다.
(3)수술 전 진단 절차
①소변검사
-대사기능 및 신장기능을 사정하기 위하여 시행한다.
②혈액검사
혈액형 검사와 cross matching
신장기능 검사 : BUN, creatinine
전혈구수(CBC): 헤모글로빈, 혈소판, 백혈구
간 기능 검사
혈액응고 검사: BT(Bleeding Time), PT(Pro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③혈장 전해질과 산도(PH)
-분만 중 금식했던 산부나 수술에 대한 불안으로 평소만큼 식사를 못한 산부의 경우 절해질 불균형이 나타나기 쉽다.
④흉부 X선
-수술 동안 호흡수준이 떨어지기 때문에 호흡기계 질환이 있는 산부는 충분한 산소공급을 위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산소결핍증을 겪게 된다.
⑤EKG
-심장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수술 전에 확인한다.
⑥태아심음과 자궁수축상태 모니터링
-태아심박동과 자궁 수축압의 변화를 체크한다.
(4)수술 전 간호
①수술 준비를 위한 간호
수술동의서를 받는다. 산모와 보호자에게 수술 전 동의서에 날인을 받는 것은 수술 전 투약이 이루어지기 전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술 전 피부 준비는 세균 수를 감소시켜 수술 시 절개부위로 세균침투 가능성을 줄이려는 목적이 있다. 제왕절개 시에는 복부의 검상돌기부터 음부의 치모까지 깨끗이 삭모한다.
수술 전 위장관 준비는 금식이다. 마취제 투여 후 산부가 구토를 일으키지 않도록 수술 전 6~8시간 동안의 금식이 필요하다.
②수술 전 교육
수술을 위한 피부 준비, 금식, 수술 전 투약, 수술 장소 이동 등과 같은 수술 전 준비 교육이 필요하며 도뇨관, 정맥수액, 수술 후 조기이상의 필요성도 알려주는 것이 좋다. 산부에게 수술하는 이유를 충분히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수술 전날 미리 심호흡, 기침, 다리운동 등에 대해서 교육한다. 정기적인 심호흡은 폐에 충분히 공기를 공급하고 폐어 점액이 정체되지 않도록 도와줌으로써 폐렴의 가능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
순환 정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한 시간에 다섯 번 정도 발목, 무릎, 둔부를 굴곡, 신전시키는 운동을 지도한다. 또한 침상에서 두 다리를 들고서 원을 그리는 운동도 효과적이다. 특별히 제왕절개 뒤에는 하지순환이 압박되어 하지 순환 정체가 되기 쉽다.
③수술 직전 간호
수술 직전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수술복으로 갈아입는다.
머리핀을 제거하고 머리는 단정히 한다.
손톱의 매니큐어를 지우도록 하고 반지 등의 장신구를 빼도록 한다.
구강을 깨끗이 하고 의치가 있으면 뺀다.
콘텍트렌즈 착용 여부를 확인 제거한다.
산부를 확인할 수 있는 이름표를 작성하여 손목에 채워준다.
유치도뇨관을 삽입한다.
정맥을 통한 적절한 수액 공급을 유지한다. : 링거액이나 5% 포도당 1,000ml를 사용한다.
차트와 수술 전 체크리스트를 완성한다.
수술전 투약 : 수술 전 투약은 최소한으로 하여 태아 혈액공급이나 신생아의 첫 호흡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수술 전 투약으로는 분비물 억제를 위한 로비눌제제를 투여하고 모든 무통마취제는 태아의 호흡을 억제하므로 반드시 피해야 한다. 자궁수축제는 상비약에 속한다.
수술실 준비: 신생아 간호를 위한 준비와 신생아 응급소생술을 위한 신생아 보온기, 산소, 신생아 흡인기 등을 준비한다.
4)수술방법
(1)재래식 제왕절개
-복부 조직과 자궁체부를 수직으로 절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만출 시키는 방법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 적용한다.
태아의 재태 연령이 34주 이하이고 둔위인 경우(자궁하부 제왕절개를 하기에는 자궁하부가 덜 형성되었고 절개부위가 좁아 태아를 안전하게 분만하기 어렵다.)
자궁하부에서 섬유종이 발견된 경우
제왕절개 후 자궁절제술이 계획된 경우
모체 사망 후 태아를 살리기 위해 수술하는 경우
방광과 자궁하부의 유착이 광범위할 때, 횡위, 전치태반일 때 이용하는 방법.
(2)자궁하부 제왕절개
-대체로 복부조직 절개는 종위로 하고 자궁은 횡위로 하는데 최근에는 대부분 복부조직 절개도 미용 상 횡위로 한다. 그러나 복직근은 종위로 절개하고 자궁은 가장 얇은 부분인 자궁하부를 절개하는 방법으로 하부절개는 실혈량이 적고, 봉합이 용이하며 활동성이 적은 부위여서 다시 임신한다 해도 반흔이 적어 파열 가능성이 적으며, 수술 후 감염이 적고, 장폐색의 위험과 유착이 감소된다. 태아 만출은 분만 겸자나 진공 흡인컵을 이용하는 일이 많다.
5)수술 후 간호
(1)수술 후 산모사정
출혈 유무 : 자궁저부 높이, 자궁수축 정도, 오로의 양과 특성, 수술부위 등
섭취량과 배설량 : 방광팽만, 소변배설량
진통제의 필요성 : 통증의 특성과 부위, 산모의 표정, 자세, 신체긴장정도
감염 증세 : 수술 부위 , 흉부, 오로
활력징후 : 수술 후 며칠동안 4시간마다 측정
제왕절개술에 대한산모 및 가족의 반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