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유견문』에 대해..
(2) 형식과 내용
(3) 미친 영향
<참고문헌>
(2) 형식과 내용
(3) 미친 영향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개와 미개한 세계를 말하면 의례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와 남미주로 아느니”라는 부분은 서유견문의 미개·반개·개화 단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많은 예를 들지 못한 한계는 있지만, 서유견문은 유길준의 일본 망명 이후에도 직·간접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있었다. 이 책은 공식적으로 소학교학생들의 교과서로 사용되었으며 비록 그 출처가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독립신문, 황성신문 등의 논설에 인용되었으며 이승만 등 지식인들에게도 탐독됨으로써 개화사상을 보급하고 개화운동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1.「유길준 全書」Ⅴ, 1潮閣 1971
2.「서유견문」서
3. 유영익『「서유견문」론』
4. 다시 읽는 「서유견문」, 「동아시아비평」3, 1999.
이상으로 많은 예를 들지 못한 한계는 있지만, 서유견문은 유길준의 일본 망명 이후에도 직·간접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혀지고 있었다. 이 책은 공식적으로 소학교학생들의 교과서로 사용되었으며 비록 그 출처가 밝혀져 있지는 않지만 독립신문, 황성신문 등의 논설에 인용되었으며 이승만 등 지식인들에게도 탐독됨으로써 개화사상을 보급하고 개화운동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1.「유길준 全書」Ⅴ, 1潮閣 1971
2.「서유견문」서
3. 유영익『「서유견문」론』
4. 다시 읽는 「서유견문」, 「동아시아비평」3,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