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시 무비상지공 유비상지사 천지생김공 약시기야
해석 : 아 슬프도다. 비상한 재주를 지니고 비상한 시국을 만나 비상한 공이 없이 비상한 죽음만 있었으니 하늘이 김공을 낳게 하여 어찌 이같이 기구하게 만들었단 말이냐.
이는 그 묘비문 서두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 글이지만 김옥균 사후 그를 추모하는 글 가운데 이같이 감동적이고 절실한 시문은 찾아보기 드물다.
유길준은 또 김옥균의 유족을 돌봐준 사람이다. 갑오개혁기에 김옥균의 부인을 충청도에서 상경케 하여 후사(後嗣)를 세우도록 서둘렀고, 아관파천 이후에는 그의 양자인 김영진과 같이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했다.
<참고문헌>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兪東濬, 1987 ‘兪吉濬傳’ 一潮閣
尹炳喜, 1998 韓國史硏究叢書 '兪吉濬硏究‘ 國學資料院
해석 : 아 슬프도다. 비상한 재주를 지니고 비상한 시국을 만나 비상한 공이 없이 비상한 죽음만 있었으니 하늘이 김공을 낳게 하여 어찌 이같이 기구하게 만들었단 말이냐.
이는 그 묘비문 서두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 글이지만 김옥균 사후 그를 추모하는 글 가운데 이같이 감동적이고 절실한 시문은 찾아보기 드물다.
유길준은 또 김옥균의 유족을 돌봐준 사람이다. 갑오개혁기에 김옥균의 부인을 충청도에서 상경케 하여 후사(後嗣)를 세우도록 서둘렀고, 아관파천 이후에는 그의 양자인 김영진과 같이 일본에서 망명생활을 했다.
<참고문헌>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兪東濬, 1987 ‘兪吉濬傳’ 一潮閣
尹炳喜, 1998 韓國史硏究叢書 '兪吉濬硏究‘ 國學資料院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