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28일 남북조절위원회 북한측 공동 위원장인 김영주는 본회의를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겠다는 일방적인 성명을 발표하여 역사적으로 이루어진 남북 적십자 회담과 남북 조절 위원 회담을 통한 남북 대화를 중단시키고 말았다. 그 후 1973년 12월 5일부터 1975년 3월 14일까지 중단된 남북조절위원회 기능을 부활하기 위한 남북조절위원회 회의가 10회에 걸쳐 개최된 바 있으나 북한 측이 계속적인 정치적 주장으로 조절 위원회의 운영 정상화 노력 역시 실패하고 말았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박정희 체제가 남북적십자 회담과 조절위원회가 열리는 기간 중 국내적으로 자신의 체제를 강화하는 조치를 내렸다는 것이다. 박정희 체제는 “남북대화를 굳게 뒷받침해 줌으로써 평화통일과 번영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1972년 10월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개정하여 “유신체제”를 만들었다. 그리고 박정희 체제는 남북대화의 중단과 북한의 적대적 행위를 빌미로 국가 안보를 강조하는 총력안보체제를 더욱 강조하면서 모든 반대의견까지 묵살하였다. 기묘하게도, 72년 12월 27일 유신 헌법을 공포한 바로 그날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제 5기 1차 회의에서 사회주의 헌법(개정안)을 공포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박정희 체제가 남북적십자 회담과 조절위원회가 열리는 기간 중 국내적으로 자신의 체제를 강화하는 조치를 내렸다는 것이다. 박정희 체제는 “남북대화를 굳게 뒷받침해 줌으로써 평화통일과 번영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1972년 10월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개정하여 “유신체제”를 만들었다. 그리고 박정희 체제는 남북대화의 중단과 북한의 적대적 행위를 빌미로 국가 안보를 강조하는 총력안보체제를 더욱 강조하면서 모든 반대의견까지 묵살하였다. 기묘하게도, 72년 12월 27일 유신 헌법을 공포한 바로 그날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제 5기 1차 회의에서 사회주의 헌법(개정안)을 공포했다.
추천자료
북한의 문화예술정책 및 남북 통일에의 기여 가능성
(통일 정책) 김영삼 대통령이 이룩한 사업과 대북 통일 정책
통일에 대비한 교육정책변화 필요성
향후 나아가야할 통일 정책의 방향
북한의 산업정책 및 통일전선전술
[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통일][남북통일][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분단]통일교육의 개념, ...
아데나워의 서방통합정책과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과 독일 통일
통일후 북한의 주택정책 방향과 공공의 역할에 대하여
서독의 통일 외교 정책의 현황과 과제
서독의 통일 외교 정책의 현황과 과제
역대 대통령들의 통일 대북 정책 조사분석
쌀의 사회사 - 벼의 기원과 전래, 벼농사 시작, 조선시대의 토지제도, 이앙법의 발달과 영향,...
[한국문화사] <쌀> 쌀의 역사 - 쌀의 기원과 전파, 삼국시대(우경, 농기구), 조선시대(이앙법...
[청소년복지] 탈북청소년에 대한 공공부문의 지원 정책 실태 - 통일부(사회적응 기본교육,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