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산업정책 및 통일전선전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의 산업정책 및 통일전선전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로써 그 영향권에 있는 근로대중을 공산당 측에 끌어들이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이 방침에 따라 독일 일각에서 수립된 노동자정부가 소비에트권력의 실현이라는 전략적 원칙에 이르지 못하고 실패하자, 코민테른은 사회민주당의 의회주의적 개량성에 그 원인을 돌리고 주요 적으로 사회민주당을 지목하는 좌익편향에 다시 빠져들게 되었다. 이 결과 30년대 초 대두된 파시즘세력이 오히려 소홀히 취급되어 독일에서 나치스정권 수립을 허용하는 요인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에 35년 코민테른 제 7 차 대회에서는 사회민주당과의 단순한 연합을 넘어 파시즘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을 결집하려는 반파시즘 통일전선정책을 결정하게 되었다. 이것은 곧 통일전선이 좌파정당뿐 아니라 지식인·중산층 등 여러 계층을 포괄하는 인민전선의 형태로 바뀌었다는 것을 뜻한다. 인민전선은 36년 프랑스·에스파냐 등에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고, 37년 이후에는 중국 항일민족통일전선(국공합작)과 같이 후진국과 식민지에서도 민족해방운동 형태로 자리잡게 되었다.〔현대의 통일전선〕 제 2 차 세계대전 이후 통일전선은 공산주의 혁명전략의 한 형태로까지 격상되어 이전의 소비에트형 혁명전략을 대체하는 것이 되었다. 계급적 측면에서는 노동자·농민동맹의 협소한 세력에서 광범위한 계층을 망라한 인민전선형으로 바뀌었고, 내용 면에서도 사회 특수성에 따라 각기 과제를 달리하는 운동으로 나타났다. 선진자본주의사회에서는 반독점동맹의 형태로서 독점자본과 다국적기업에 대한 규제 및 국유화를 과제로 삼았고, 식민지종속형 사회에서는 민족민주동맹의 형태로서 민족해방과 국가독립, 토지개혁과 외국자본 몰수·국유화, 전범추방과 국가기구 재편 등을 과제로 내걸었다. 60년대 이후에는 베트남 반전운동·반핵운동 등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특수한 운동형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는 1946년 남한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 북한에서 북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이 통일전선 조직으로 결성된 바 있다. 민주주의민족전선은 좌익세력을 광범위하게 연합하여 민주투쟁과 합법적 의회조직 구성을 목표로 내걸었으나, 실제로는 공산당 중심의 협소한 통일전선이 되어 정부수립 후 비합법적으로 명맥만을 유지하였다. 49년에는 두 단체가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으로 통합되어 애국적 민주주의세력의 연대를 주장하였으나, 사실상 북한의 대남혁명전략을 위한 위장전술과 남한에 대한 대화공세 역할을 담당하였을 뿐이다.박동삼
파란색:산업정책 빨간색:통일전선전술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8.28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65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