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조직의 정의
2. 지역사회조직의 기능
3. 지역사회조직의 목적
2. 지역사회조직의 기능
3. 지역사회조직의 목적
본문내용
지역사회조직의 중요한 목적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 지역주민의 이익 대변
· 지역사회의 사회적ㆍ경제적 개발
· 최적의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
· 적절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
· 사회행동의 실천과 사회정의 실현 등
펄먼과 거린(Perlman & Gurin, 1972: 37-38)은 지역사회조직 사업의 목적에 따라 지역사회의 실천에 관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 지역사회의 참여와 통합의 강화 : 지역사회의 모든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들의 지역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하도록 한다.
· 문제 대처능력의 고양 : 지역사회가 환경과 변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수단을 향상시키는 데 역점을 둔다.
· 사회조건 개선과 서비스의 향상 : 지역사회의 욕구와 결함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방법을 개발하도록 한다.
· 불이익집단의 이익증대 : 지역사회 내의 특수집단이 받아야 할 불이익을 해소하고, 지역사회의 주요결정에 그들의 역량과 참여를 증대시켜 이익을 증대하도록 한다.
·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 지역주민의 이익 대변
· 지역사회의 사회적ㆍ경제적 개발
· 최적의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
· 적절한 서비스와 프로그램 개발
· 사회행동의 실천과 사회정의 실현 등
펄먼과 거린(Perlman & Gurin, 1972: 37-38)은 지역사회조직 사업의 목적에 따라 지역사회의 실천에 관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 지역사회의 참여와 통합의 강화 : 지역사회의 모든 개인과 집단이 자신의 의사를 충분히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신들의 지역환경을 개선하는 방안에 대해 협의하도록 한다.
· 문제 대처능력의 고양 : 지역사회가 환경과 변하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수단을 향상시키는 데 역점을 둔다.
· 사회조건 개선과 서비스의 향상 : 지역사회의 욕구와 결함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서비스방법을 개발하도록 한다.
· 불이익집단의 이익증대 : 지역사회 내의 특수집단이 받아야 할 불이익을 해소하고, 지역사회의 주요결정에 그들의 역량과 참여를 증대시켜 이익을 증대하도록 한다.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 내가 속한 지역 사회의 사회복지 협의회의 구성과 활동 및 발전 방향을 조사...
본인이 거주하는 인근지역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제공되는 지역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지역사회복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광의, 협의)을 설명하고 시설복지와 재가복지의 장단점...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사회행동 모델을 적용한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구체적인 ...
다른 나라의 지역사회복지실천 모형 중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도입하고 싶은 모형을 선택하...
(지역사회복지기관) 내가 살고 있는 지역 사회복지기관이 지역발전에 기여한 역할의 사례를 ...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자원봉사센터가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기능...
지역사회복지기관(예,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재가복지관련기관, 자원봉사센터, 사회복지관, 건...
원전사고 재해지역에서 예상되는 가상의 지역사회복지활동을 지역사회복지원리에 비추어 구체...
지역사회복지론-현재, 자신이 생활하고 있는 지역에서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문제는 무엇이며 ...
지역사회대상 사회복지실천의 과정(효과적인 지역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개입과정)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실천모델 및 실천과정, 지역사회조직 사업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