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ORGA WHOLE FOODS & NATE SEMANTIC
ORGA WHOLE FOODS
1. 들어가기 앞서..
1) 기업선정 이유
2) 시장 환경
3) 유기농 식품사업 전망
2. 올가(ORGA)
1) 회사소개
2) 회사연혁
3) 경영이념
4) 체험활동을 통한 마케팅
3. 올가의 SWOT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4. STP 전략
1)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2) 목표시장의 선택 (Targeting)
3) 포지셔닝 (Positioning)
5. 4P
1) Product (제품)
2) Price (가격)
3) Place (유통)
4) Promotion (촉진)
6. 올가의 성공요인
7. 마치며..
NATE SEMANTIC
1. 들어가기에 앞서..
1) 기업선정이유
2) 시맨틱의 정의
2. 네이트 시맨틱
1) 네이트의 현주소
2) 네이트 시맨틱의 장단점
3. 네이트의 마케팅
1) IMC 마케팅 광고
․ 네이트 시맨틱
- 학생 편
- 장인 편
- 화제의 영화, 아바타 편
2) 이벤트, 특색있는 서비스
4. 네이트 시맨틱의 평가
5. 마치며..
ORGA WHOLE FOODS
1. 들어가기 앞서..
1) 기업선정 이유
2) 시장 환경
3) 유기농 식품사업 전망
2. 올가(ORGA)
1) 회사소개
2) 회사연혁
3) 경영이념
4) 체험활동을 통한 마케팅
3. 올가의 SWOT분석
1) STRENGTH (강점)
2) WEAKNESS (약점)
3) OPPORTUNITY (기회)
4) THREAT (위협)
4. STP 전략
1) 시장세분화 (Segmentation)
2) 목표시장의 선택 (Targeting)
3) 포지셔닝 (Positioning)
5. 4P
1) Product (제품)
2) Price (가격)
3) Place (유통)
4) Promotion (촉진)
6. 올가의 성공요인
7. 마치며..
NATE SEMANTIC
1. 들어가기에 앞서..
1) 기업선정이유
2) 시맨틱의 정의
2. 네이트 시맨틱
1) 네이트의 현주소
2) 네이트 시맨틱의 장단점
3. 네이트의 마케팅
1) IMC 마케팅 광고
․ 네이트 시맨틱
- 학생 편
- 장인 편
- 화제의 영화, 아바타 편
2) 이벤트, 특색있는 서비스
4. 네이트 시맨틱의 평가
5. 마치며..
본문내용
즐거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런 점 때문에 검색을 해도 원하는 결과가 잘 나오지 않는다든지, 검색하는 것을 쉽게 포기한다. 네이트 시맨틱 검색을 바로 이런 점을 도와준다. 한개의 단어만 치더라도 다른 원하는 검색 단어가 저절로 추천이 되어 클릭만하면 쉽게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다. 이런 시맨틱 검색의 강점을 소개하기 위해 광고를 만들었다. 이 광고들이 시청자의 마음을 붙들어 메어서 검색을 할 때 네이버가 아닌 네이트로 끌어들일 수 있을까. 광고 내용을 통해 이 번 시맨틱 광고의 강점과 약점을 분리해보자.
광고는 첫장면이 가장 중요하다. 소비자의 눈을 매혹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는 그런 시작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 광고들은 그런 임팩트한 첫장면을 갖고 있지 못하다. 광고에 주목할 수 없다.
전체적인 면에서도 광고를 보고 한 번 네이트 시맨틱 검색을 써봐야지 하는 그런 강렬한 동기를 받기 어렵다. 검색을 통한 레포트 작성만으로는 그 필요성이 약하다.
일반인들을 모델로 써서 보는 이로 하여금 편안한 마음을 들게 해주는 점은 좋다. 광고에 거부감이 들지 않는다.
'검색을 진보시키다'라는 카피는 매우 좋다. 경쟁사인 네이버 지식검색 등 다른 검색 엔진을 의식하며 그런 기존의 검색 엔진들보다 더 낫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직접 검색창에 검색을 하는 모습을 광고를 통해 보여주는 점도 좋다고 본다. 해당 서비스의 이점을 광고에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에 나오는 '시맨틱, 한 번 검색해 보세요.'라는 카피도 무척 괜찮다고 본다. 광고는 돌려 말하는 것보다 직접 대놓고 정공법으로 말하는 것이 통하는 수가 많다. 이 전까지 시맨틱 검색의 강점을 쭉 말해주고 권유식으로 한 번 해보라는 말은 광고를 보는이로 하여금 동기를 부여해 준다. 실제 검색을 했을 때 원하는 결과가 나오나 안나오나 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여 행동으로 옮기게 함으로써 한 번 해보는 것으로 그 광고는 역할을 충분히 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광고의 임팩트는 약하지만 은근히 권유형의 화법으로 소비자를 행동으로 옮기게끔 하고 있다. 네이버검색은 이미 많이 진부해졌다. 막강한 네이버의 아성을 당장 무너뜨리긴 어려울지라도 시맨틱 검색 자체의 강점으로 충분히 발전을 거듭한다면 엇비슷하게 갈 수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 화제의 영화, 아바타편
네이트는 빨간 머플러의 여대생, 재즈를 모르는 직장인을 지난 광고 주인공으로 내세워 주제별로 분류결과로 차별성을 강조했는데, 이번엔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 '아바타 편'을 내세운다. 네이트 시맨틱에 '아바타' 를 직접 검색하면 나타나는 주제 관련어 '디지털' '화제작' '타이타닉의 제임스카메론 감독' 등 실제 화면들을 광고 속에 그대로 넣고, 네이트 독점 영상을 내세워 영화 아바타와 네이트포털 두 마리 토끼의 홍보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2) 이벤트, 특색있는 서비스
네이트 시맨틱을 검색하면 나오는 '검색실험실'이란 사이트이다. 다양한 서비스를 실험적으로 제공하고, 그 평가를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듣는 곳이다. 영어발음검색, 얼굴인식, 배경음악 검색등 다른 포털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검색서비스를 제공, 네이트만의 색깔을 찾아가고 있다. 단순히 배포에서 끝나지 않고 이용자들에게 의견을 수렴해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수정을 거듭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노력은 이용자들로부터 호감을 얻는다. 그리고 싸이월드를 이용하다가 우연히 참여했던 시맨틱 검색왕 도전 이벤트, 100만원의 상금을 건 퀴즈 이벤트 등, 네이트 검색서비스를 홍보하는 다양한 이벤트들이 있었다.
광고를 보고 직접 네이트시맨틱을 경험해본 나는 아직 네이트의 갈 길은 멀었다고 감히 말하겠다. 기능과 검색 품질은 그닥 우월하지 않으나 포장만 그럴듯하게 했다는 비판도 들린다. 그러나 좋은 스타트를 끊은 그들의 마케팅과 광고는 순조롭고도 공격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아직은 검색에 있어서 1,2위의 포털을 따라잡기는 어렵지만 앞으로도 이런 공격적인 마케팅과 노력, 홍보를 계속한다면 언제 어떻게 바뀔지, 누가 예측할 수 있겠는가. 때문에 나는 네이트의 마케팅이 성공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시맨틱을 초기에 정착화 했다는 점에 성공했다고 말하고 싶다.
4. 네이트 시맨틱의 평가
이렇게 전반적으로 네이트 시맨틱 검색에 대해 좋지못한 평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네이트 시맨틱 검색이 잘 될 거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지금은 다른 포털에서 제공하는 연관검색어와 다르지 않은 모습이지만, 유명인 검색 등에서 보이는 탁월한 검색결과를 보면 앞으로가 기대되는 것도 사실이다. 며칠전 네이트는 시맨틱 검색으로 검색 쿼리가 대폭 증가했다는 보도자료를 냈는데, 지금으로서는 검색에 있어 네이버나 다음을 따라잡기가 쉬워보이지는 않지만 앞으로도 공격적인 마케팅을 계속 진행한다면 언제 어떻게 바뀔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모든 포털이 가장 핵심으로 두는 서비스인 검색, 더욱 흥미진진해질 세 포털의 행보가 기대된다.
5. 마치며..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내가 보기엔 네이트 시맨틱은 도입기 시점에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호불호가 분명해 객관적으로 성공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네이트는 현재 광고와 이벤트등 마케팅을 통해 이용자들을 끌어들이고 있고, 네이버와 다음의 차이를 줄이고 있다. 때문에 네이트의 행보가 주시되며, 그 기대 또한, 크다. 다른측면으로, 기업들이 네이트와 협력하여, 시맨트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홍보할 수 있다는 생각이든다. 예를 들어 ORGA의 경우, 시맨트를 사용했을 때, 브랜드에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 외에 다른 검색결과가 많이 등장함으로서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고, 자칫하다간 쓸모없는 검색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때문에 브랜드 관련 검색측면을 더욱 자세히 하여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를 해보았다.
지금까지 제품과 서비스 두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성공요인을 알아보았는데, 아직 성공이라고 하기에는 미미하나, 그 발전이 기대되는 제품과 서비스였다. 앞으로의 이 둘의 성공적인 전략을 비롯하여 얼만큼 더 성장하게 될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광고는 첫장면이 가장 중요하다. 소비자의 눈을 매혹시키고 정지시킬 수 있는 그런 시작이 중요하다. 하지만 이 광고들은 그런 임팩트한 첫장면을 갖고 있지 못하다. 광고에 주목할 수 없다.
전체적인 면에서도 광고를 보고 한 번 네이트 시맨틱 검색을 써봐야지 하는 그런 강렬한 동기를 받기 어렵다. 검색을 통한 레포트 작성만으로는 그 필요성이 약하다.
일반인들을 모델로 써서 보는 이로 하여금 편안한 마음을 들게 해주는 점은 좋다. 광고에 거부감이 들지 않는다.
'검색을 진보시키다'라는 카피는 매우 좋다. 경쟁사인 네이버 지식검색 등 다른 검색 엔진을 의식하며 그런 기존의 검색 엔진들보다 더 낫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직접 검색창에 검색을 하는 모습을 광고를 통해 보여주는 점도 좋다고 본다. 해당 서비스의 이점을 광고에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마지막에 나오는 '시맨틱, 한 번 검색해 보세요.'라는 카피도 무척 괜찮다고 본다. 광고는 돌려 말하는 것보다 직접 대놓고 정공법으로 말하는 것이 통하는 수가 많다. 이 전까지 시맨틱 검색의 강점을 쭉 말해주고 권유식으로 한 번 해보라는 말은 광고를 보는이로 하여금 동기를 부여해 준다. 실제 검색을 했을 때 원하는 결과가 나오나 안나오나 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여 행동으로 옮기게 함으로써 한 번 해보는 것으로 그 광고는 역할을 충분히 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광고의 임팩트는 약하지만 은근히 권유형의 화법으로 소비자를 행동으로 옮기게끔 하고 있다. 네이버검색은 이미 많이 진부해졌다. 막강한 네이버의 아성을 당장 무너뜨리긴 어려울지라도 시맨틱 검색 자체의 강점으로 충분히 발전을 거듭한다면 엇비슷하게 갈 수는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다.
- 화제의 영화, 아바타편
네이트는 빨간 머플러의 여대생, 재즈를 모르는 직장인을 지난 광고 주인공으로 내세워 주제별로 분류결과로 차별성을 강조했는데, 이번엔 흥행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영화 '아바타 편'을 내세운다. 네이트 시맨틱에 '아바타' 를 직접 검색하면 나타나는 주제 관련어 '디지털' '화제작' '타이타닉의 제임스카메론 감독' 등 실제 화면들을 광고 속에 그대로 넣고, 네이트 독점 영상을 내세워 영화 아바타와 네이트포털 두 마리 토끼의 홍보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2) 이벤트, 특색있는 서비스
네이트 시맨틱을 검색하면 나오는 '검색실험실'이란 사이트이다. 다양한 서비스를 실험적으로 제공하고, 그 평가를 이용자들로부터 직접 듣는 곳이다. 영어발음검색, 얼굴인식, 배경음악 검색등 다른 포털에서 쉽게 접하기 어려웠던 검색서비스를 제공, 네이트만의 색깔을 찾아가고 있다. 단순히 배포에서 끝나지 않고 이용자들에게 의견을 수렴해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수정을 거듭한다는 점에서 그들의 노력은 이용자들로부터 호감을 얻는다. 그리고 싸이월드를 이용하다가 우연히 참여했던 시맨틱 검색왕 도전 이벤트, 100만원의 상금을 건 퀴즈 이벤트 등, 네이트 검색서비스를 홍보하는 다양한 이벤트들이 있었다.
광고를 보고 직접 네이트시맨틱을 경험해본 나는 아직 네이트의 갈 길은 멀었다고 감히 말하겠다. 기능과 검색 품질은 그닥 우월하지 않으나 포장만 그럴듯하게 했다는 비판도 들린다. 그러나 좋은 스타트를 끊은 그들의 마케팅과 광고는 순조롭고도 공격적으로 계속되고 있다. 아직은 검색에 있어서 1,2위의 포털을 따라잡기는 어렵지만 앞으로도 이런 공격적인 마케팅과 노력, 홍보를 계속한다면 언제 어떻게 바뀔지, 누가 예측할 수 있겠는가. 때문에 나는 네이트의 마케팅이 성공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시맨틱을 초기에 정착화 했다는 점에 성공했다고 말하고 싶다.
4. 네이트 시맨틱의 평가
이렇게 전반적으로 네이트 시맨틱 검색에 대해 좋지못한 평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네이트 시맨틱 검색이 잘 될 거라고 이야기하고 싶다. 지금은 다른 포털에서 제공하는 연관검색어와 다르지 않은 모습이지만, 유명인 검색 등에서 보이는 탁월한 검색결과를 보면 앞으로가 기대되는 것도 사실이다. 며칠전 네이트는 시맨틱 검색으로 검색 쿼리가 대폭 증가했다는 보도자료를 냈는데, 지금으로서는 검색에 있어 네이버나 다음을 따라잡기가 쉬워보이지는 않지만 앞으로도 공격적인 마케팅을 계속 진행한다면 언제 어떻게 바뀔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모든 포털이 가장 핵심으로 두는 서비스인 검색, 더욱 흥미진진해질 세 포털의 행보가 기대된다.
5. 마치며..
레포트를 작성하면서, 내가 보기엔 네이트 시맨틱은 도입기 시점에서 성공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호불호가 분명해 객관적으로 성공했다고는 말하기 어렵다. 그러나 네이트는 현재 광고와 이벤트등 마케팅을 통해 이용자들을 끌어들이고 있고, 네이버와 다음의 차이를 줄이고 있다. 때문에 네이트의 행보가 주시되며, 그 기대 또한, 크다. 다른측면으로, 기업들이 네이트와 협력하여, 시맨트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홍보할 수 있다는 생각이든다. 예를 들어 ORGA의 경우, 시맨트를 사용했을 때, 브랜드에와 관련된 연관 검색어 외에 다른 검색결과가 많이 등장함으로서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고, 자칫하다간 쓸모없는 검색결과가 나오기도 한다. 때문에 브랜드 관련 검색측면을 더욱 자세히 하여 더욱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어야겠다는 생각를 해보았다.
지금까지 제품과 서비스 두 가지 주제를 바탕으로 성공요인을 알아보았는데, 아직 성공이라고 하기에는 미미하나, 그 발전이 기대되는 제품과 서비스였다. 앞으로의 이 둘의 성공적인 전략을 비롯하여 얼만큼 더 성장하게 될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