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병태생리,종류,증상 및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뇌의 기능적 구조

2. 뇌졸중의 정의 및 발생원인

3. 뇌졸중의 종류

4. 뇌졸중의 증상

5. 뇌졸중 환자의 간호

본문내용

다면 기본적인 ADL을 완수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다시 배울 수 있을 것이다. 한손으로만 기본과업을 수 행한다는 것이 도전이 되고 갈등이 되므로 자가 간호의 독립성을 위해 보조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입고 먹는 것을 돕는 매우 다양한 기구들이 있으며 벨크로 접착이나 헐렁한 셔츠같이 독립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단한 아이디어로 환자와 가족을 도울수 있다. 적극적 재활이 시작되면서 환자들은 바지나 가운보다는 간단한 작업복 형태의 옷을 입도록 권한다.
g. 안전한 연하 / 영양증진
- 연하부전 대상자들에겐 아래와 같은 간호를 실시한다.
환자를 침상에 바로 앉히고 식사 시는 의자에 앉히는 것이 좋다. 타액 흐름을 촉진하기 위해 식사 전에 구강간호를 한다. 강한 맛이나 짠 액체도 타액분비를 자극할 수 있다. 환자의 머리와 목을 턱과 함께 약간 앞으로 당겨 올려 음식을 충분히 씹기 전에 미리 입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예방한다. 음식의 경도를 살핀다.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제공하고 완전히 씹도록 격려한다. 하루에 충분한 양의 수분섭취가 될 때 까지 섭취/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한다. 매주 체중을 측정한다. 반맹증이 있다면 음식을 시야 내에 둔다.
h. 구강악취 및 양치질을 할 수 없는 환자
- 의식이 있는 환자의 구강간호
: 양치질은 식사 후, 최소한 하루에 3회 실시한다. 그러나 간식을 자주 먹거나 악취가 심할 경우에는 식사 사이에도 양치질을 하거나 구강 세정제나 물로 입안을 헹구면(구강 함수) 좋다.
- 무의식 환자의 구강간호
: 환자는 무의식이지만 들을 수 있으므로 무엇을, 왜 하는지 설명한다. 손을 씻고, 준비물품을 환자 곁에 놓은 후 1회용 비닐 장갑을 낀다. 설압자를 어금니 사이에 넣어 입을 벌린 후 거즈에 세정액을 묻혀 섭자로 잡아서 혀 위, 아래, 잇몸과 양쪽 뺨 사이, 잇몸을 닦아낸다. 입안을 헹구고자 할 경우에는 바늘이 없는 주사기에 세정액을 담아 양쪽 뺨 사이, 구강 전체에 골고루 뿌려 씻어낸다. 곡반을 치우고 수건으로 입 주위를 닦고, 의치는 다시 끼워준다. 입술이 트지 않도록 바세린을 발라준 후 편안히 쉬도록 해준다. 발견된 구강 내 병변을 기록하고 의사, 간호사에게 보고한다.
I. 환자/가족교육
대부분의 사람들은 뇌졸중과 그 전형적 증상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는 하지만 이러한 지식만으로 독특한 상황을 이해하기엔 불충분하다. 간호사는 가족들도 매번 교육에 참여하고 편안한 범위 내에서 환자의 실제적 간호에 참여하도록 격려한다. 돌봄에 대한 의사결정은 어려우므로 간호사는 모든 부분을 지지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하며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가족이 가질수 있게 보장해야 한다. 매일의 환자간호에 대한 참여는 가족으로 하여금 도움을 위한 환자의 요구와 집에서 그런 지지를 제공할수 있는 능력을 보다 실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돕는다. 간호사는 간호하는 사람에 대한 규칙적인 휴식은 모든 계획의 기본 요소임을 가족에게 상기시킬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수문사), 이향련외
제4판 성인간호학(현문사), 전시자외, P593~613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17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