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버 구축
아파치 웹서버 구축방법
메일서버 구축방법
FTP서버 구축방법
DNS 서버 구축방법
아파치 웹서버 구축방법
메일서버 구축방법
FTP서버 구축방법
DNS 서버 구축방법
본문내용
/var/named/named.local
/var/named/named.rev
/var/named/named.ca
/var/named/db.javahan.net (zone 화일)
우선 named.conf에서 전체적인 설정을 하는데 DNS 서버의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db.javahan.net 이라는 파일을 사용하여 DNS가 구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etc/named.conf
도메인 네임의 세부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zone' 파일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다.
-------------------------------------------
// generated by named-bootconf.pl
options {
// zone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 것으로 zone 파일은 Forward와 Reverse 두 가지로 구분된다.
// Forward zone에는 도메인에 대한 IP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고
// Reverse zone에는 IP주소에 대한 도메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directory "/var/named";
/*
* If there is a firewall between you and nameservers you want
* to talk to, you might need to uncomment the query-source
* directive below. Previous versions of BIND always asked
* questions using port 53, but BIND 8.1 uses an unprivileged
* port by default.
*/
// query-source address * port 53;
};
//
// a caching only nameserver config
//
// 캐쉬 파일을 지정하고 있다.
// DNS서버에서 한번 정보 검색한 도메인 네임의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일일이 검색하지 않고 바로 서비스를 해준다.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 자신의 시스템을 가리키는 loop back 주소, 즉 localhost에 대한 도메인 설정 부분이다.
zone "0.0.127.in-addr.arpa" IN {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allow-update { none; };
};
// javahan.net 이라는 도메인 네임으로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처리하기 위한 Forward zone을 db.javahan.net 이라는 파일에 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부분에서 새로운 DNS 정보로 수정하면 된다.
zone "javahan.net" IN {
type master;
file "db.javahan.net";
allow-update { none; };
};
---------------------------------------------------
/var/named/named.local
자신의 시스템에 관한 DNS 설정 부분이다.
-------------------------------
$TTL 86400
@ IN SOA localhost. root.localhost.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localhost.
1 IN PTR localhost.
--------------------------------
/var/named/db.javahan.net
/etc/named.conf에서 지정한 Forward Zone에 관한 설정 부분이다.
이 내용을 참고로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 찾는 과정을 살펴본다면
www.javahan.net 이라는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찾을 때 우선 네임서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임서버 루트 정보를 참조하여 최상위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서버에 javahan.net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루트 네임 서버는 javahan.net zone 을 관리하는 네임서버가 ns1.javahan.net 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ns1.javahan.net 으로 부터 www.javahan.net 의 정보를 보여 달라고 요청한다. ns1.javahan.net은 www.javahan.net의 IP주소가 210.100.133.1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
$TTL 86400
// @ 는 javahan.net을 의미하며 jaahan.net의 네임서버가 ns1.javahan.net 임을 나타내고 있다.
// 또한 관리자는 root.javahan.net임을 알 수 있다.
@ IN SOA ns1.javahan.net. root.javahan.net. (
2002012901 ; serial, todays date + todays serial #
14400 ; refresh, seconds
7200 ; retry, seconds
604800 ; expire, seconds
86400 ) ; minimum, seconds
IN NS ns1.javahan.net.
IN NS ns2.javahan.net.
javahan.net. IN A 210.100.133.1
ns1 IN A 210.100.133.2
www IN A 210.100.133.1
shop IN A 210.100.133.3
ftp IN A 210.100.133.4
----------------------------------
기출문제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① 문자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로 변환한다.
② 리눅스에서는 버클리 인터넷 네임 도메인(BIND) 등이 사용된다.
③ KRNIC의 허가없이 DNS 서버를 운영할 수 없다.
④ IP 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있다.
설명
KRNIC은 국내의 도메인네임을 관리하는 곳이기 때문에 com. net등의 도메인 네임을 IANA에서 할당 받았으면 DNS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var/named/named.rev
/var/named/named.ca
/var/named/db.javahan.net (zone 화일)
우선 named.conf에서 전체적인 설정을 하는데 DNS 서버의 내용을 담고 있는 파일을 지정한다. 여기서는 db.javahan.net 이라는 파일을 사용하여 DNS가 구성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etc/named.conf
도메인 네임의 세부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zone' 파일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다.
-------------------------------------------
// generated by named-bootconf.pl
options {
// zone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 것으로 zone 파일은 Forward와 Reverse 두 가지로 구분된다.
// Forward zone에는 도메인에 대한 IP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고
// Reverse zone에는 IP주소에 대한 도메인 정보를 가지고 있다.
directory "/var/named";
/*
* If there is a firewall between you and nameservers you want
* to talk to, you might need to uncomment the query-source
* directive below. Previous versions of BIND always asked
* questions using port 53, but BIND 8.1 uses an unprivileged
* port by default.
*/
// query-source address * port 53;
};
//
// a caching only nameserver config
//
// 캐쉬 파일을 지정하고 있다.
// DNS서버에서 한번 정보 검색한 도메인 네임의 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일일이 검색하지 않고 바로 서비스를 해준다.
zone "." IN {
type hint;
file "named.ca";
};
// 자신의 시스템을 가리키는 loop back 주소, 즉 localhost에 대한 도메인 설정 부분이다.
zone "0.0.127.in-addr.arpa" IN { <-
type master;
file "named.local";
allow-update { none; };
};
// javahan.net 이라는 도메인 네임으로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처리하기 위한 Forward zone을 db.javahan.net 이라는 파일에 담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부분에서 새로운 DNS 정보로 수정하면 된다.
zone "javahan.net" IN {
type master;
file "db.javahan.net";
allow-update { none; };
};
---------------------------------------------------
/var/named/named.local
자신의 시스템에 관한 DNS 설정 부분이다.
-------------------------------
$TTL 86400
@ IN SOA localhost. root.localhost. (
19970227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localhost.
1 IN PTR localhost.
--------------------------------
/var/named/db.javahan.net
/etc/named.conf에서 지정한 Forward Zone에 관한 설정 부분이다.
이 내용을 참고로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 찾는 과정을 살펴본다면
www.javahan.net 이라는 도메인 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찾을 때 우선 네임서버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네임서버 루트 정보를 참조하여 최상위도메인을 관리하는 네임서버에 javahan.net이라는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그러면 루트 네임 서버는 javahan.net zone 을 관리하는 네임서버가 ns1.javahan.net 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ns1.javahan.net 으로 부터 www.javahan.net 의 정보를 보여 달라고 요청한다. ns1.javahan.net은 www.javahan.net의 IP주소가 210.100.133.1임을 알려주는 것이다.
------------------------------------
$TTL 86400
// @ 는 javahan.net을 의미하며 jaahan.net의 네임서버가 ns1.javahan.net 임을 나타내고 있다.
// 또한 관리자는 root.javahan.net임을 알 수 있다.
@ IN SOA ns1.javahan.net. root.javahan.net. (
2002012901 ; serial, todays date + todays serial #
14400 ; refresh, seconds
7200 ; retry, seconds
604800 ; expire, seconds
86400 ) ; minimum, seconds
IN NS ns1.javahan.net.
IN NS ns2.javahan.net.
javahan.net. IN A 210.100.133.1
ns1 IN A 210.100.133.2
www IN A 210.100.133.1
shop IN A 210.100.133.3
ftp IN A 210.100.133.4
----------------------------------
기출문제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① 문자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구성된 IP 주소로 변환한다.
② 리눅스에서는 버클리 인터넷 네임 도메인(BIND) 등이 사용된다.
③ KRNIC의 허가없이 DNS 서버를 운영할 수 없다.
④ IP 주소를 도메인 네임으로 변환하는 기능도 있다.
설명
KRNIC은 국내의 도메인네임을 관리하는 곳이기 때문에 com. net등의 도메인 네임을 IANA에서 할당 받았으면 DNS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추천자료
마케팅 불변의 법칙
paran 마케팅 전략
Voip에 대한 기술, 동작원리, 연구동향, 활용분야에 대한 세미나 리포트
[전자상거래][EC]전자상거래(EC)의 영향과 문제점 및 향후 시장 대응 방안 분석(전자상거래(E...
저작권의 개념, 인터넷상의 공유와 저작권, 공유와 저작권의 갈등배경, 음반시장환경, 디지털...
기술과 사회 총정리본
통신언어의 정리와 이해
인터넷상 음란물 관련법
2009년 1학기 인터넷의활용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동계계절시험 인터넷의활용 시험범위 핵심체크
홈페이지 제작메뉴얼,홈페이지 만들기,홈페이지 html,웹사이트교육적활용,웹사이트의개발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