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이주정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새터민 이주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 2

2. 새터민의 의의 ---------------------------------------------- 2

3. 새터민의 대한민국 부적응과 이에 대한 대책 -------------- 3
(1) 사회적 적응 문제 --------------------------------------- 3
1) 언어의 차이 문제와 대책 ----------------------------------- 3
2) 대한민국 사람들의 시선과 대책 --------------------------- 4
3) 직업의 문제와 대책 --------------------------------------- 5
(2) 대한민국의 문화와 생활습관에 대한 지식과 이해문제 ------- 6
1) 유교적 사상 문제와 대책 -----------------------------------6
2) 종교의 이해 문제와 대책 ------------------------------------ 7

4. 맺음말 --------------------------------------------------- 8

본문내용

적응해 나갈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2) 종교의 이해 문제와 대책
① 북한의 유일신 김일성
‘대한민국 헌법 제20조 1항 모든 국민은 종교의 자유를 가진다.’ 라고 법에
종교의 자유를 명시하여 대한민국 국민들은 종교를 마음대로 선택하고 믿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북한에서는 종교의 자유란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북한에도 종교가 존재하고 종교건물들도 존재한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대외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수단에 불가한 것으로서 불교, 천주교, 기독교의
종교 건물과 기타 관련 서적을 마련해 놓고, 눈 가리고 아웅 하는 식으로
당 간부의 사람들을 동원하여 예배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북한에서 신이라고 말할 수 있는 존재는 오로지 김일성 밖에 없다. 김일성을
우상화 하고 숭배하는 모습에서 흔히 찾아 볼 수가 있다.
김일성 외에 다른 신을 믿는 종교를 믿는다면 3대를 멸한다는 말이 존재하듯이
북한에서의 종교란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이런 현실에서 살았던
북한주민들이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어있는 대한민국에서의 종교를 접한다면
낯설고도 의아하게 생각하고 체감하기도 힘들 것이다.
② 대책
종교단체에서의 적극적인 홍보활동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자기 종교로
유치하려는 생각을 갖고 새터민들에게 접근하라는 것이 아니라 종교의 본래
목적, 취지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주고 감싸줄 수 있는 사고가 필요하다.
천주교, 기독교, 불교 각자 따로따로 홍보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세 종교의
대표자들이 홍보활동을 같이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각 종교마다 개별적으로
홍보활동을 한다면 어느 종교든지 자기 종교를 믿게 하려고 좋은 점들만
부각시키고 유치하는 것에만 관심이 있어서 사탕발림을 하여 종교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새터민들을 현혹시키는 꼴이 되어버리기에 이러한 문제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세 종교의 단체모임을 통한 홍보활동과 교육이 필요하다.
3. 맺음말
이 밖에도 새터민들의 애로사항은 더 많다고 보고 대책도 필요하다. 새터민들의
쉼터라는 사이트에 들어가 보니 새터민들의 많은 애로사항들을 엿볼 수가 있었다. 이런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적극적인 정부의 주도적인 정책 결정이 필요하다.
갈수록 증가하는 새터민들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정책부서라든지 통일부의 정책중
북한에 대한 지원에만 힘 쓸것이 아니라 새터민들에 대한 정책 쪽으로 많은 비중을
둘 필요성이 있다. 앞으로도 계속 대한민국으로 입국하는 새터민들이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러한 문제가 계속 지속되고 해결되어 지지 않는다고 하면 대한민국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이 점점 깊게 박혀 새터민들의 2세 3세에게 계속 인식이 대물림 되어
대한민국을 같은 내 나라 내 민족으로 생각하기는커녕 강한 적개심과 분노를 표출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렇게 된다면 새터민들의 범죄자 수요가 증가할 것이며 간첩의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새터민들에 대한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심층 다각적으로 분석해
정부의 적극적인 주도하에 정책수립과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키워드

새터민,   남한,   북한,   이주,   정책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9.24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1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