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자본의 국제적 이동성과 국제금융질서의 역사 (1870년-1973년)
① 제1차 대전 이전 40년간의 금본위제
② 전간기의 국제금융 혼란
③ 제2차 대전 이후 30년간의 IMF체제
3. 금융 세계화의 진전 (1973년-1997년)
4.새로운 국제금융질서의 모색
<참고문헌>
2. 자본의 국제적 이동성과 국제금융질서의 역사 (1870년-1973년)
① 제1차 대전 이전 40년간의 금본위제
② 전간기의 국제금융 혼란
③ 제2차 대전 이후 30년간의 IMF체제
3. 금융 세계화의 진전 (1973년-1997년)
4.새로운 국제금융질서의 모색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국제금융안정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것 중 중요한 것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우선 국제공통의 통계작성 기준을 마련하고, 그 기준에 따라 작성된 정보를 각국의 금융기관이나 정부로 하여금 공표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제금융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금융기관을 누가 어떻게 감독할 것인가에 관한 국제적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다. 또 최근 국제금융위기의 진원지가 되고 있는 발전도상국의 금융시스템을 어떻게 강화시킬 것인가도 논의된다. 하지만 이런 모든 노력도 아직은 초보적인 수준이며 국제적인 기준이나 조치가 마련된다고 하여도 국제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없기 때문에 권고의 형태를 띨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마지막으로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경우 국제사회가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도 문제인데, 지금까지 이 역할은 IMF가 주로 담당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발생한 일련의 금융위기에 대한 IMF의 대응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IMF의 기금이 불충분하다는 것이 인식되면서 이것 역시 또 하나의 문제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새로운 국제금융질서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부분 공감하고 관련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지만, 새로운 포괄적 국제금융질서를 형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이 시대에 국제사회가 1944년 브레튼우즈협정과 같은 합의를 도출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브레튼우즈협정은 두 번의 세계대전이 초래한 폐허 위에서, 그리고 그것이 가져다준 쓰라린 경험과 교훈을 배경으로 얻어진 결과였다.
금융의 세계화와 그에 따른 국제금융위기를 계기로 국제금융안정을 위한 국제적 협력은 다양한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그 내실은 실제로 크지 않다. 앞으로 상당한 기간 동안은 금융 세계화는 국제적인 수준에서 거의 조절되지 않은 채 진행될 것이고 따라서 안정된 국제금융상황을 기대하기도 힘들 것이다.Y
<참고문헌>
박복영(1998), 두 번의국제금융위기: 1931년과 1997년, 역사비평, 봄호.
이강남(1994), 유럽의 통화통합, 법문사.
전창환(1994), 아글리에타의 현대자본주의 동학이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한국은행(1998a), 중앙은행협력기구, 한국은행 국제협력실
한국은행(1998b), 국제금융기구, 한국은행 국제협력실
Argy, V.(1981), The Postwar International Money Crisis, London: George Allen & Unwin.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1998), Annual Report, Basle.
Bordo, M., B.Eichengreen, and J.Kim(1998), “Was there really an earlier period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tegration comparable to today?”, NBER Working Paper No.6738.
Eichengreen, B.(1992), Golden Fetters: The Gold Standard and the Great Depres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ichengreen, B.(1996), Globalizing Capital: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Fischer, S.(1998),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and the role of the IMF", Should the IMF Pursue Capital-Account Convertibility?, Essays in International Finance, No.207., Princeton University.
IMF(1997),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Developments, Prospects, and Key Policy Issues, World Economic and Financial Surveys, Washington, DC.
IMF(1998), Toward a Framework for Financial Stability, Washington, DC.
Kindleberger, C. P.(1986), The World in Depression 1929-1939,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Krugman, P. (1998b), "It's time to get radical", Fortune, Sep. 7th. 1998
Krugman, P.(1998a), "Curfews on capital", Krugman Home Page.
Rodrik, D.(1998), "Who needs capital-account convertibility?", Should the IMF Pursue Capital-Account Convertibility?, Essays in International Finance, No.207., Princeton University
Soros, G.(1998), The Crisis of Global Capitalism: Open Society Endangered, New York: Public Affairs.
Taylor, A. M.(1996),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in history: the saving-investment relationship", NBER Working Paper No.5943.
The Economist(1999), "Global finance", Jan. 30th, 1999.
Triffin, R.(1961), Gold and the Dollar Crisis: The Future of Convertibil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결론적으로 말하면 새로운 국제금융질서의 필요성에 대해서 대부분 공감하고 관련 문제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지만, 새로운 포괄적 국제금융질서를 형성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이 시대에 국제사회가 1944년 브레튼우즈협정과 같은 합의를 도출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브레튼우즈협정은 두 번의 세계대전이 초래한 폐허 위에서, 그리고 그것이 가져다준 쓰라린 경험과 교훈을 배경으로 얻어진 결과였다.
금융의 세계화와 그에 따른 국제금융위기를 계기로 국제금융안정을 위한 국제적 협력은 다양한 차원에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그 내실은 실제로 크지 않다. 앞으로 상당한 기간 동안은 금융 세계화는 국제적인 수준에서 거의 조절되지 않은 채 진행될 것이고 따라서 안정된 국제금융상황을 기대하기도 힘들 것이다.Y
<참고문헌>
박복영(1998), 두 번의국제금융위기: 1931년과 1997년, 역사비평, 봄호.
이강남(1994), 유럽의 통화통합, 법문사.
전창환(1994), 아글리에타의 현대자본주의 동학이론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한국은행(1998a), 중앙은행협력기구, 한국은행 국제협력실
한국은행(1998b), 국제금융기구, 한국은행 국제협력실
Argy, V.(1981), The Postwar International Money Crisis, London: George Allen & Unwin.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1998), Annual Report, Basle.
Bordo, M., B.Eichengreen, and J.Kim(1998), “Was there really an earlier period of international financial integration comparable to today?”, NBER Working Paper No.6738.
Eichengreen, B.(1992), Golden Fetters: The Gold Standard and the Great Depres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Eichengreen, B.(1996), Globalizing Capital: A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Fischer, S.(1998), "Capital account liberalization and the role of the IMF", Should the IMF Pursue Capital-Account Convertibility?, Essays in International Finance, No.207., Princeton University.
IMF(1997), 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Developments, Prospects, and Key Policy Issues, World Economic and Financial Surveys, Washington, DC.
IMF(1998), Toward a Framework for Financial Stability, Washington, DC.
Kindleberger, C. P.(1986), The World in Depression 1929-1939,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Krugman, P. (1998b), "It's time to get radical", Fortune, Sep. 7th. 1998
Krugman, P.(1998a), "Curfews on capital", Krugman Home Page.
Rodrik, D.(1998), "Who needs capital-account convertibility?", Should the IMF Pursue Capital-Account Convertibility?, Essays in International Finance, No.207., Princeton University
Soros, G.(1998), The Crisis of Global Capitalism: Open Society Endangered, New York: Public Affairs.
Taylor, A. M.(1996),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in history: the saving-investment relationship", NBER Working Paper No.5943.
The Economist(1999), "Global finance", Jan. 30th, 1999.
Triffin, R.(1961), Gold and the Dollar Crisis: The Future of Convertibility,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추천자료
80년대 이후 현대자본주의와 기업변화
글로벌 기업의 국제자본조달 전략
(금융) 금융자본의 세계화
정보사회의 자본의 개념의 변화와 문제점, 해결방안
봉건사회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본질가치, 가치창조 경영, Market to capital(자본시장)정리
[교육사회학]신자유주의, 사회적문화적자본,기능론,갈등론,교육의 사회적기능,바우처,대안학교
[교양]21기의 자본주의
전후 자본주의의 성장과 한계
봉건사회로부터 자본주의로의 이행 형태 연구
SK텔레콤 자본구조와 배당정책보고서
산업혁명에서의 노동과 자본 그리고 정부의 역할
경제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산업화이론 독점자본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