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 시장 동향 및 전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led 시장 동향 및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명 영향이 없어 바람직함
3-6. 최근의 주요 동향
○ 최근 LED 시장은 기존 핸드폰 위주의 시장 구조에서 점차신규 시장분야로 기울어지는 추세이다.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는 LED BLU 분야로, LED BLU가 갖는다양한 장점에 힘입어 빠른 속도로 기존 CCFL을 대체해 나갈 것으로 보여 지고 있다.
- 전 세계 LCD 시장이 수십조 원 규모로 방대하기 때문에 관련 부품소재의 시장규모도 대단히 큰 규모이다. LED는 현재까지 휴대폰용 소형 LCD의 BLU에는 적용되어져 그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준 상태여서 대형 LCD에도 빠른 속도로 적용될 것이 기대되고 있다.
○ 또 다른 시장 분야는 일반 조명 분야이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위기로 인해 가장 낮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는 백열전구는 앞으로 퇴출될 상황에 처해져 있으며 이를 대체할 광원으로LED가 가장 유력한 후보로 떠오르고 있다. 이때 더 낮은 가격으로 무장한 경쟁 광원인 Compact Fluorescent Lamp (CFL)과의 경쟁에서 어떻게 우위에 서는가가 LED 조명 시장이 당면하고 있는 과제일 것이다.
- LED 업체들은 이러한 트렌드에 대처하기 위하여 움직이고 있는 상황이다. LED BLU의 경우에는 가장 중요한 특징인색 안정성과 색 혼합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렌즈 구조 및 확산구조를 갖는 LED의 개발에 전력하고 있다.
- 그리고 조명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광량 확보가 우선되어야 하기에 기존 small chip에서 1 W 급 이상의 power chip으로 개발 방향이 바뀌어 가고 있으며 더 나아가 여러 개의 칩을 하나로 패키징 한 multi chip module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또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한 주요 특성인 연색성을 확보하기위해 기존 청색 LED + 황색 형광체의 조합에서 청색 LED+황색, 적색 형광체를 사용하는 등으로 새로운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1) LED기업의 해외 사업 추진 동향
○ 국내 주요 LED기업은 2008년부터 일본이 강력한 에너지 절감 제도를 시행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본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일본은 2008년 7월 G8 정상회의에서 백열전구 사용 및 생산 중단을 선언하고, 교토의정서에 기인한 에너지 절감 감축방안을 내놓았다.
- 특히 일본의 에너지 절감 대책안에는 LED 조명기기의 보급을 통한 절감 방안이 다수 포함돼 있어, 국내 LED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일본의 에너지 감축방안에 따르면 고효율 LED 조명기기 보급을 통해 약 340만톤의 에너지를 절감하고 지역, 도시 및 사회 시스템을 새롭게 형성해 3,000만톤이 넘는 에너지를 절감한다는 계획이다.- 이 계획에는 1인 1kg 이산화탄소(CO²) 절감 국민운동과 에너지 절감 가전 촉진 포럼 추진 등 에너지 절감 정책이 포함돼 있다.- 또한 최근 베이징 올림픽 특수가 예상되는 중국의 경우, 현지기업에게 사업 우선권을 배정하고 있고, 관세 또한 비싸 중국보다는 일본 시장이 더욱 중요시 되고 있다.- 화우테크놀러지는 2008년 6월 일본에 화우재팬 법인을 설립하고 일본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 동사는 일본 AM재팬, 루미다스 재팬과 손잡고 LED조명을 일본에 판매중이다. 최근에는 400억원에 달하는 할로겐 대체용 전구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일본 시장 개척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대우전자부품도 일본 LED조명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최근 일본 유통업체인 TAAS사와 LED조명 판매 계약을 체결했고 , LED 전광표시기 판매점유율 1위 기업인 일본 토와(TOWA)사 와는 LED조명사업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일본 토와사는 일본전역에 190여 개의 판매망을 갖춘 중견기업이다.- 삼성전기는 이미 2007년에 일본 고이즈미 조명과 사업제휴를 맺고, LED조명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다. 이를 통해 제 3국의 수출도 진행 중이다.- LED 조명업체인 남영전구도 일본 현지 글로벌 기업에 LED조명 시제품을 공급하고, 계약을 추진 중이다.
- 특히 동사는 LED조명을 솔라셀 분야에 적용시키는 시도가 일본기업을 통해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삼성물산이 강력한 해외 유통망을 활용해 소비자형 LED조명 제품의 유통사업에 진출한다.
- 삼성물산은 국내 LED조명 기기 업체 2∼3곳과 유통사업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며, 제품 신뢰도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후 해외시장에서 단품 형태로 유통할 계획이다.
- 향후 삼성전기 등 관련 계열사와의 관계정립과 시너지 효과가 주목된다.
2) LED 조명용 고출력 칩의 개발
○ 조명용 LED는 향후 성장성이 커서 LED 최대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고출력 칩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 아직 한국은 사파이어 기반의 LED를 주로 개발하고 있으며, 적어도 향후 5년 이내에 3W급의 고출력 칩을 개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저휘도급 LED제품 단가는 안정화되고 있지만 고부가가치 응용제품에 필요한 고휘도 LED가격은 여전히 높은 편이며, 차세대 반도체 조명 시대로 가기 위해서는 비용을 절감한 생산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미 해외는 사파이어 기반의 LED를 넘어서 무극성(Non-Polar)기반의 LED 칩 개발에 나서고 있다.
- 질화갈륨(GaN)을 이용한 대면적, 고출력 LED 구현이 가능한 에피탁시 칩 제조기술, 방열 조립기술, 이를 기반으로 조명용, 디스플레이용 LED분야로 응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핵심 부품이 바로 고출력 칩이다.- 핵심 기술 개발이 완료될 경우 일반 조명뿐만 아니라 가로등, 자동차용 헤드램프, 대형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카메라용 플래시, 프로젝션용 광원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국은 기술역량에서 휘도 기준으로 세계 최고 수준인 일본 니치아에 비해 약 70% 수준으로 평가된다.(대면적의 경우 50%)
- LED용 고출력칩이 적용된 제품과 관련 시장 전망치를 보면 2013년 2조 7994억원, 2015년 4조 7005억원, 2017년 7조 8993억원 규모를 형성할 전망되고 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0.09.27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1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