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자아심리이론과 사례분석(제빵왕 김탁구)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자아심리이론과 사례분석(제빵왕 김탁구)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제1절 인간관

제2절 기본가정

2.본론

제3절 주요개념

제4절 성격발달에 대한 관점

3.결론

제5절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적용

결론 및 평가

사례관리
(제빵왕 김탁구 사례분석)

본문내용

할 때 어떠한 도전을 받는가?
④ 개인의 현재 문제와 초기의 사건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⑤ 내담자의 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⑥ 중요한 시점에서 어떤 선택을 하였으며, 다양한 위기를 어떻게 다루었는가?
- 치료자가 내담자의 발달상 성공과 실패를 재구성함으로써 성인기의 행동과 장애의 근원을 사정할 수 있게 됨
2. 치료목적
Erikson은 Freud의 정신분석적 개념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치료적 접근방법에서도 정신분석적 원칙을 받아들였다. Freud와 마찬가지로 정신치료의 1차적 목적을 통찰(insight)에 두고 있다. (즉, 내담자가 속한 연령대의 규범적 위기와 발달단계를 이해하는 것)
치료적 해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아의 통찰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3. 치료자의 역할과 실무원칙
Erikson(1964)에 의하면 정신치료에서는 내담자가 치료적 관계에서의 의사소통되는 의미를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치료자가 해석을 통하여 내담자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지지해주는 것이 임상적 치료관계의 핵심이라고 하였다.
치료자의 역할은 내담자가 감정을 명확화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이다. Erikson(1964)은 제안이나 칭찬보다는 해석이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보다 유용하며, 내담자와 치료자의 문제해결 양식을 결합시키며, 치료를 더욱 촉진시킨다고 본다.
자아심리학적 접근방법의 실무원칙
내담자의 일생에 걸친 성격발달과정을 이해하라.
내담자가 자기분석에 참여하도록 하여 발달적 역사를 파악하라.
내담자가 심리사회적 위기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성공과 어려움을 구분하라.
현실을 왜곡시키고 자아기능을 축소시킨 발달영역을 결정하라.
내담자의 발달상의 왜곡을 해석하고, 내담자에게 해석을 확인하도록 요구하라.
내담자가 해결되지 않은 규범적 위기와 그 위기의 현재 및 역사적 함축성을 통찰하고 이해하도록 하라.
내담자가 자신의 환경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자아강점을 활용하는 방법을 파악하고, 이러한 대처전략이 어떻게 행동화되는지를 파악하라.
다양한 사회제도가 어떤 방식으로 내담자의 심리적 안녕을 지지하고 방해하는지를 명확화하라.
내담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수단을 찾아라.
내담자가 환경 속에서의 자신의 위치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갖도록 하라.
4. 치료적 기법
Erikson이 주로 사용한 치료기법으로는
치료자가 자유로운 입장에서 주위를 집중하여 경청하는 것
부적절한 추론을 억제하는 것(추적)
내담자가 치료적 명확화(curative clarification)를 추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해석하는 것
이러한 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결론 및 평가
Freud 정신분석 이론의 평가
심리성적 단계

심리 사회적 단계
생물학적 영향

문화적 영향
특정한 문화적 시각

자아 정체감
아동기에 대한 성인의 회상

아동에 대한 관찰
아동발달

성인발달
인간의 성적 본능을 지나치게 강조한 Freud에 비해 인간의 이성과 적응을 강조.
Freud 이론의 경험적 기초를 확장하여 정신분석 이론의 신뢰도와 적용가능성을 증가시킴
특히 인간발달에서 전 생애 발달적 접근을 한 점과 문화적 상대성을 인정한 점은 Erikson의 매우 중요한 공헌
개념정의가 명확하지 못하고, 발달의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명이 부족
단계 이론에서 각 단계로의 전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기제가 명확하지 않음
사례분석
제빵왕 김탁구를 통해..
-김미순이 의문의 사나이에 납치당하고, 탁구
는 어머니를 찾아다니게 됨
-구마준은 어머니 서인숙의 욕망으로 볼륜을
통해 얻어낸 자식으로, 당연한 말이지만, 구
일중의 아들이 아닌데다 삐뚤어진 욕망으로
태어났다. 게다가 그는 어린 시절 우연한 사건
으로 구일중의 아들이 아닌, 한승재 비서실장
의 아들이란 사실까지 알고 만다.
-또한,구마준의 아버지 구일중은 아들은 원치 않음
에도 빵을 만들길 원했고, 할머니 또한 구마준을
괴롭혔다.
-구일중은 김탁구를 애틋한 눈길과,자상한 눈길로 어루만져 주었고, 이는 구마준의 열등감을 부추기기에 충분했다.
-마준은 사실은 겁쟁이라거나, 김탁구에게 열등감을 느낀다는 말을 유경에게 듣게 되면서
더욱 더 그의 마음을 후벼팠다.
-탁구는 잃어버린 어머니를 찾기 위해 거성가에서 떠나 14년 동안 고군분투하며 살아간다.
-유경이는 아버지의 잦은 폭행과 핍박으로 인해 아버지를 신고하고 자기는 고아원에 들어가서 힘든 생활에서 벗어나게 된다.
각각 이론들을 적용한 인물들의 어린시절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구마준은 어린시절 김탁구의 그늘에 가려 아버지의 관심을 받지 못함
-김탁구에 대해 열등감을 가지게 되었지만,그
열등감으로 인해 자신을 성숙시키고 성장하는데 도움이 됨.
-이런 자극으로 인해, 구마준은 자신이 좀 더
나아지기를 원했고 제빵 기술에 전념했다.
이로 인해 제빵 실력을 쌀게 됨.
-아들러의 이론 중 보상에 해당
+자신의 신체적, 정신적 기술을 훈련하여
좀 더 부족한 점을 충족하려는 시도가 보상이 됨
에릭슨의 자아심리학
# 4단계 :학령기-근면성 대 열등감
-김탁구는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 착실하고 순수한 어린이로 나오지만, 다른점으로 보면
김탁구는 오직 어머니를 위해서 어머니가 하자고 하니까 모든 것을 순응하는 아이로 따라
갈 수도 있다.
-구마준은 아들러와 비슷한데, 김탁구와의 모든 것에서 아버지께 인정받지 못하자 열등감이 생겨 계속 실패를 맛보게 된다. 그래서 성인이 되어서 김탁구를 만나기까지 오로지 아버지에 인정받기 위해 공부에 전념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 문헌.
· 김돈중, 권중돈(2010), 인간행동이론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 이인정, 최해경(200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개정 2판, 나남출판
· 홍숙기(2009), 성격심리(상)-수정2판, 박영사
· 고지희 외 (200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눔의 집
· Rovert W. Lundin(2001), Adler 상담이론, 학지사
· Walter Mischel(1995), 성격심리학, 교육과학사
· Charls S. Carver, Michael F. Scheier(2005), 성격심리학,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9.29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4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