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급운영(학급경영) 원리, 학급운영(학급경영) 필요성,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 중요성,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 방법,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 사례와 제언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급운영(학급경영) 원리, 학급운영(학급경영) 필요성,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 중요성,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 방법,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 사례와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학급운영(학급경영)의 원리

Ⅲ. 학급운영(학급경영)의 필요성

Ⅳ.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의 중요성

Ⅴ.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의 방법
1. 모둠 짜기
2. 모둠 이름
1) 모둠이 앞으로 활동해 나갈 내용이나 뜻을 담고 있는 이름
2) 모둠원의 성격
3. 모둠 노래
4. 모둠 규칙 정하기
5. 모둠 일기 쓰기
6. 모둠 신문 제작

Ⅵ. 모둠중심(모둠활동) 학급운영(학급경영)의 사례
1. 총무부(학급의식 조사부)
2. 놀이문화부
3. 노래문화부
4. 도서부
5. 신문․방송부
1) 사회부
2) 교육부
3) 연예부
4) 체육부 및 기타
6. 과학기술부
7. 학습부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부원들이 모여 아름다운 노래, 즐거운 노래, 삶의 노래를 찾아 부원들이 연습한 후 음악 시간 등을 이용하여 발표를 하고 그 주에 발표할 노래를 녹음을 하여 점심시간 등을 이용해 방송해 주고 자기 부서의 게시판에 예쁜 그림과 함께 그 주의 노래 악보나 가사를 적어 알린다.(우리교육에서 나온 노래자료집 참고)
4. 도서부
학급도서 관리와 도서대출 업무를 담당하고 주별로 모여 자신이 읽은 책이나 부원이 함께 읽을 책을 정해 서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좋은 책들을 소개하고 그 주에 잘된 독후감을 소개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결과물을 자기 부서의 게시판을 통해 알린다.(부원들이 읽은 책의 줄거리나 좋은 점, 좋은 책 소개, 그 주에 잘된 독후감 소개)
5. 신문방송부
그 주에 보도되거나 방송된 내용 중 관심을 끄는 내용들을 편집하여 학급 구성원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때 구성원 개개인이 자신의 분야별로 기사를 찾아온다.
1) 사회부
환경, 통일문제, 여러 가지 사건, 사고 중 생각할 내용
2) 교육부
기사 내용 중 교육에 관련되는 것들을 찾아본다.
3) 연예부
각종 연예인들에 대한 내용을 찾아본다.
4) 체육부 및 기타
각종 스포츠에 관한 관심사를 알린다.
6. 과학기술부
이 부서는 어떤 주제를 정하고 그에 대한 조사방법을 생각하여 실험, 조사 등을 통하여 깊이 있는 사실을 학우들에게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 조사결과는 부서 게시판을 통해 알린다. 연구내용을 예로 들면 5층에서 계란을 무사히 착륙시키는 방법, 우리 동네의 환경오염 정도 조사, 천연염료조사(봉숭아 이외에 꽃 염료는 없는가?),자동차에서 나오는 배기가스는 얼마나 해로운가? 등)
7. 학습부
재미있는 산수문제나 퀴즈 등을 찾아 부원들이 풀어 본 후 아침자습으로 내고 풀이를 한다. 그리고 학습내용 중 선생님이 자세히 연구하여 아이들에게 알려줄 것을 말씀하실 경우 부원들이 모여 조사하여 그 결과를 게시판을 통해 알리고 발표한다.
Ⅶ. 결론 및 제언
학급 운영은 특히 모둠 활동은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자신만의 노하우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그 기본 활동이 되는 것이 모둠별 활동과 모둠 일기이고, 그 나머지 부분은 교사가 응용하여 빈자리를 채워 가면 된다. 모둠을 나누고, 모둠별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며, 모둠 일기를 계속적으로 쓸 수 있도록 추임새를 넣어주는 일부터 시작한다. 많이 욕심을 부리지 않고 시작하면 누구나 성공하는 모둠 활동을 할 수 있다. 모둠 일기에 매일 답글을 적어주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일주일에 한 번 적어준다든지, 학생 상담자를 만들어 돌아가면서 학생이 친구들의 고민이나 답장을 써주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바쁜 시험 기간일 경우는 시험 기간 일주일 전부터 시험이 끝날 때까지 모둠 일기를 쉴 수도 있다. 이렇게 자신감이 붙어가고, 학생들이 잘 따라오면 그 다음에 체육대회나 레크레이션, 집단 상담 등을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지금의 이 자료 또한 2년에 걸친 작업들을 모아놓은 것이라 내용이 상당히 많아 보이지만 처음에 시작한 것은 모둠 일기 하나였다. 그리고 자신감이 붙으면 책과 연수를 통해 알게 된 방법들을 하나씩 더해갔다. 지금 우리 반 학생들은 다른 반과 뭔가 다르다는 뿌듯함을 가지고 학교 생활을 하고 있다.
참고문헌
권기옥 외 6인(1995) : 교육행정학 개론, 서울 : 한서원
김종철(1973) : 교육계획론, 서울 : 교육출판사
남정걸(2003) : 교육행정및교육경영, 교육과학사
박병량·주철안(1999) : 학교학급경영, 서울 : 학지사
우리교육(2002) : 빛깔이 있는 학급운영, 우리교육
전교조(1990) : 학급운영, 서울 : 들불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9.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6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