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결과
6. 실험결과에 대한 결론 및 토의
6. 실험결과에 대한 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실제로 해본 실험에서의 두 값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일단 발사체만을 이용하여 초기속도를 구하였을 때는 미터자로 일일이 길이를 재다보니 미터자가 조금 휠 수도 있어 정확한 측정값을 구하지 못하여 본래의 초기속도보다는 크거나 작게 나왔다.
탄동진자를 이용해 초기속도를 구하는 실험에서는 쇠공과 진자가 하나가 되어 올라가는 과정에서 공기저항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진자가 움직일 때 기구 자체에서 마찰이 있었을 것이고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바늘도 움직일 때 미세하지만 마찰로 인한 에너지를
손실 시켰을 것이다.
또 하나, 지급된 진자가 발사된 쇠공을 확실하게 물지 못했다는 것도 오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관여 하였을 것이다. 공이 들어갈 진자의 구멍에 종이를 입혀 쇠공이 들어왔을 때 제대로 물도록 조치를 했으나, 물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이 경우는 카운트하지 않고 재실험 하였다)
진자가 쇠공을 확실히 붙잡지 못한 경우 진자가 올라간 높이는 월등히 높았는데, 이는 쇠공이 튕겨나감으로써 방향을 바꾸었기 때문에 진자에 더 많은 운동량의 변화를 주었고, 진자는 쇠공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높이 올라갔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두 물체가 충돌할 때 하나가 되어 움직이지 않고 튕겨져 나와 방향이 바뀔 경우 더 큰 운동량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부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고려되지 못한 오차의 원인이 많이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진자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발사체만을 사용하여 구한 실험보다는 클 것 으로 보이므로 그래도 둘중 정확도가 높은 실험은 발사체만을 사용한 실험일 것이다.
일단 발사체만을 이용하여 초기속도를 구하였을 때는 미터자로 일일이 길이를 재다보니 미터자가 조금 휠 수도 있어 정확한 측정값을 구하지 못하여 본래의 초기속도보다는 크거나 작게 나왔다.
탄동진자를 이용해 초기속도를 구하는 실험에서는 쇠공과 진자가 하나가 되어 올라가는 과정에서 공기저항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진자가 움직일 때 기구 자체에서 마찰이 있었을 것이고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바늘도 움직일 때 미세하지만 마찰로 인한 에너지를
손실 시켰을 것이다.
또 하나, 지급된 진자가 발사된 쇠공을 확실하게 물지 못했다는 것도 오차를 일으키는데 어느 정도 관여 하였을 것이다. 공이 들어갈 진자의 구멍에 종이를 입혀 쇠공이 들어왔을 때 제대로 물도록 조치를 했으나, 물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물론 이 경우는 카운트하지 않고 재실험 하였다)
진자가 쇠공을 확실히 붙잡지 못한 경우 진자가 올라간 높이는 월등히 높았는데, 이는 쇠공이 튕겨나감으로써 방향을 바꾸었기 때문에 진자에 더 많은 운동량의 변화를 주었고, 진자는 쇠공의 질량을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에 더 높이 올라갔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두 물체가 충돌할 때 하나가 되어 움직이지 않고 튕겨져 나와 방향이 바뀔 경우 더 큰 운동량의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부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고려되지 못한 오차의 원인이 많이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진자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발사체만을 사용하여 구한 실험보다는 클 것 으로 보이므로 그래도 둘중 정확도가 높은 실험은 발사체만을 사용한 실험일 것이다.
추천자료
[일반물리학]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결과 리포트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결과레포트
도립진자실험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결과보고서
단진자 중력가속도
[졸업연구] (결과) 자동평형 저울 장치의 제어
구심력 측정 결과 보고서.lnk
[실험] (예비 & 결과) 외팔보의 고유 진동수
[기초 공학 실험] 자이로스코프 Gyroscope의 동특성 실험(결과 보고서)
단조화운동 실험 결과레포트 : 단조화 운동을 하는 물체의 운동 방정식과 해를 살펴보고 주기...
탄성 비탄성충돌 결과보고서
일반물리1 실험4 결과레포트 -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
중앙대 진동계측실험 이중진자 결과
[물리 레포트] Energy-Conservation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