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전제품의 정의
2. 가전산업의 현황
3. 가전시장의 발전
가. 1970년대
나. 1980년대
다. 1990 ~ 현재
4. 세계가전시장
가. 국내가전기업의 성과
나. 최대수출국 중국의 가전시장
5. 디지털TV 산업
가. 국내 디지털 TV시장 동향
나. 국내 디지털 TV의 수출입 동향
다. 국내 디지털 TV의 국제적 입지현황
라. 디지털 TV의 융합화 대응전략
6. 에어컨 산업
가. 에어컨의 원리 및 종류 / R&D Trend
나. 에어컨의 시장규모
다. 에어컨의 시장점유율
라. SWOT분석
2. 가전산업의 현황
3. 가전시장의 발전
가. 1970년대
나. 1980년대
다. 1990 ~ 현재
4. 세계가전시장
가. 국내가전기업의 성과
나. 최대수출국 중국의 가전시장
5. 디지털TV 산업
가. 국내 디지털 TV시장 동향
나. 국내 디지털 TV의 수출입 동향
다. 국내 디지털 TV의 국제적 입지현황
라. 디지털 TV의 융합화 대응전략
6. 에어컨 산업
가. 에어컨의 원리 및 종류 / R&D Trend
나. 에어컨의 시장규모
다. 에어컨의 시장점유율
라. SWOT분석
본문내용
출이 내수 소비보다 월등히 많은 품목으로, 국내 에어컨의 출하량 중 내수가약 20%, 수출이 약 80% 정도 비중으로 출하되고 있다.
국내 에어컨 생산은 룸에어컨, 패키지에어컨으로 나뉘어 진다. 에어컨 내수량은 2004년 룸에어컨이 68만대, 패키지에어컨이 62만대로, 룸에어컨과 패키지에어컨의 비중이 52% 대 48%로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내수소비로 출하되었다.
수출량은 룸에어컨이 2004년 529만대, 패키지에어컨이 6만대로, 룸에어컨과 패키지 에어컨의 비중은 룸에어컨이 99%를 차지하여 룸에어컨 위주로 수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룸에어컨 및 패키지에어컨의 출하량 비교
2004년 내수량, 수출량 기준
자료 : 통계청의 ‘광공업동태조사’ , R&DBiz 재가공
에어컨의 시장점유율
국내기업의 동향
- 국내 에어컨 관련 사업체수는 2003년 44개社에 이른다. 이 중 차량용에어컨 사업체가 26개社로 가장 많으며, 패키지에어컨 사업체가10개社, 룸에어컨 사업체가 8개社이다. 현재 국내 에어컨 생산 업체에는 LG전자, 삼성전자, 대우일렉트로닉스, 위니아만도, 센추리, 린나이코리아, 귀뚜라미 등이 있다.
국내 에어컨 관련 사업체 현황
2003년 기준
룸에어컨
패키지에어컨
차량용에어컨
합계
사업체 수(개)
8
10
26
총44
자료 : 통계청 ‘광업 제조업 통계조사’, R&DBiZ
LG전자 에어컨의 세계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자료 : 일본후지경제연구소, R&DBiZ
LG전자
LG전자는 1968년 국내 최초로 에어컨 사업을 시작한 기업으로, 가정용 에어컨 부분에서 5년연속 세계 판매량 1위를 차지하고 기업이다. LG전자는 자사 브랜드‘휘센(WHISEN)’으로 에어컨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LG전자는 세계 에어컨 시장에서 2000년 410만대(11.6%), 2001년 490만대(12%), 2002년 670만대(14.3%), 2003년 800만대(18.6%)를 판매하였으며, 2004년에는 1,200만대를 판매하여 19.6%의 시장점유율로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LG전자의 1위 달성의 원동력은 해외 생산기지의 효율적인 활용과 지역 차별화 마케팅 전략 성공 ,세계 최고의 품질수준 확보 및 고객 만족, 세계 최고의 핵심기술 선 확보 및핵심부품 사업 자체 보유 등이 있다.
LG전자의 에어컨 수출 비중이 약 70% 수준으로 한국 시장보다는 해외 시장에 대한 비중이높은 편이다. LG전자 에어컨의 2005년 1분기 실적은 6,290억원으로 작년 1분기 실적보다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수출이 4,529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4.7%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수 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66.8% 증가한 1,761억원으로 크게 호전하였다.
LG전자는 2010년 에어컨 매출액 10조원 달성을 목표로 에어컨 4대 성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시스템에어컨의 집중 육성을 통해 시스템에어컨 비중을 현재 20%에서 60%로 끌어 올릴것이며, 가정용 에어컨 시장에서의 확고한1위 유지, 글로벌 에어컨 생산기지 확대,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할 계획이다.
LG전자의 에어컨 매출 현황
품목
2004년
2005년 1분기
에어컨
내수
557,300,000,000
176,100,000,000 원
수출
1,355,700,000,000 원
452,900,000,000 원
합계
1,913,000,000,000 원
629,000,000,000 원
자료 : LG전자 분기보고서(2005.03), R&DBiZ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74년 에어컨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 에어컨 사업을 시작하였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오토셔터 에어컨을 출시한 업체이며, 국내 최초로 DVM(Digital Variable Multi) 에어컨을 개발한 업체이다. 현재 삼성전자는 자사 브랜드‘하우젠(Hauzen)’으로 에어컨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에어컨은 이탈리아 델롱기, 아르고, 등 현지 업체들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9.3%를 차지하고 있으며, 2년 연속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인 고가 및고급화 전략으로 이탈리아 시장에서 인해 삼성전자 가전제품이 명품으로 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002년 에어컨 생산 1,000만대를 돌파하였다. 또한 삼성전자의 에어컨 국내 시장점유율은 2004년 41.1%를 차지하였으며, 2005년 1분기에는 소폭 상승한 41.3%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삼성전자는 국내 에어컨 시장에서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국내 시잠점유율
(삼성전자의 추정치임)
2003년
2004년
2005년 1분기
에어컨 시장점유율
40.2%
41.1%
41.3%
자료 : 삼성전자 분기보고서(2005.03), R&DBiZ
SWOT 분석
강점과 기회 (Strength & Opportunity)
세계적인 기술력 및 브랜드, 차별화된 제품.
전략적 글로벌 소싱을 통한 해외 시장 공략 및 해외 투자.
지구의 온난화로,에어컨의 냉방기능 필요성 증대.
소비자 구매 성향이 고급화됨에 따라,프리미엄 제품군 판매 비중 증가.
지속적인 웰빙(Well-Being) 라이프에 대한 관심으로, 실내 환경이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이 강화.
약점과 위협 (Weakness & Threat)
중국 등 동남아국과의 경쟁 심화(낮은 가격 경쟁력,중국산 저가 제품의 수입 증가).
국내 소비 심리 둔화 및 경기 위축.
타 가전제품에 비해 높은 전력소비로 전기료 부담이 큼.
판매량이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아 RISK가 큼.
계절적 가전기기로 여름에 수요가 집중.
계절적 가전기기로 인해 공장가동률 편차가 크며,유휴자원으로 제조원가가 상승.이와 같이 에어컨의 SWOT 분석을 한 결과,
현재 전략적 글로벌 소싱을 통한 해외 시장 공략 및 해외 투자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하여 에어컨 제품의 기능화,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다.
중국산 제품의 판매가 본격화됨에 따라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에어컨의 가격경쟁력은 낮은 편이지만, 국내 소비자들은 국산가전제품의 선호도가 높으며 성능 면에서 우월하다. 당분간 국산 제품이 시장 우위는 지속될 전망이다.
국내 에어컨 생산은 룸에어컨, 패키지에어컨으로 나뉘어 진다. 에어컨 내수량은 2004년 룸에어컨이 68만대, 패키지에어컨이 62만대로, 룸에어컨과 패키지에어컨의 비중이 52% 대 48%로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내수소비로 출하되었다.
수출량은 룸에어컨이 2004년 529만대, 패키지에어컨이 6만대로, 룸에어컨과 패키지 에어컨의 비중은 룸에어컨이 99%를 차지하여 룸에어컨 위주로 수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룸에어컨 및 패키지에어컨의 출하량 비교
2004년 내수량, 수출량 기준
자료 : 통계청의 ‘광공업동태조사’ , R&DBiz 재가공
에어컨의 시장점유율
국내기업의 동향
- 국내 에어컨 관련 사업체수는 2003년 44개社에 이른다. 이 중 차량용에어컨 사업체가 26개社로 가장 많으며, 패키지에어컨 사업체가10개社, 룸에어컨 사업체가 8개社이다. 현재 국내 에어컨 생산 업체에는 LG전자, 삼성전자, 대우일렉트로닉스, 위니아만도, 센추리, 린나이코리아, 귀뚜라미 등이 있다.
국내 에어컨 관련 사업체 현황
2003년 기준
룸에어컨
패키지에어컨
차량용에어컨
합계
사업체 수(개)
8
10
26
총44
자료 : 통계청 ‘광업 제조업 통계조사’, R&DBiZ
LG전자 에어컨의 세계판매량 및 시장점유율
자료 : 일본후지경제연구소, R&DBiZ
LG전자
LG전자는 1968년 국내 최초로 에어컨 사업을 시작한 기업으로, 가정용 에어컨 부분에서 5년연속 세계 판매량 1위를 차지하고 기업이다. LG전자는 자사 브랜드‘휘센(WHISEN)’으로 에어컨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LG전자는 세계 에어컨 시장에서 2000년 410만대(11.6%), 2001년 490만대(12%), 2002년 670만대(14.3%), 2003년 800만대(18.6%)를 판매하였으며, 2004년에는 1,200만대를 판매하여 19.6%의 시장점유율로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
이러한 LG전자의 1위 달성의 원동력은 해외 생산기지의 효율적인 활용과 지역 차별화 마케팅 전략 성공 ,세계 최고의 품질수준 확보 및 고객 만족, 세계 최고의 핵심기술 선 확보 및핵심부품 사업 자체 보유 등이 있다.
LG전자의 에어컨 수출 비중이 약 70% 수준으로 한국 시장보다는 해외 시장에 대한 비중이높은 편이다. LG전자 에어컨의 2005년 1분기 실적은 6,290억원으로 작년 1분기 실적보다 다소 감소하였다. 이는 수출이 4,529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24.7%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수 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66.8% 증가한 1,761억원으로 크게 호전하였다.
LG전자는 2010년 에어컨 매출액 10조원 달성을 목표로 에어컨 4대 성장 전략을 펼치고 있다. 시스템에어컨의 집중 육성을 통해 시스템에어컨 비중을 현재 20%에서 60%로 끌어 올릴것이며, 가정용 에어컨 시장에서의 확고한1위 유지, 글로벌 에어컨 생산기지 확대,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할 계획이다.
LG전자의 에어컨 매출 현황
품목
2004년
2005년 1분기
에어컨
내수
557,300,000,000
176,100,000,000 원
수출
1,355,700,000,000 원
452,900,000,000 원
합계
1,913,000,000,000 원
629,000,000,000 원
자료 : LG전자 분기보고서(2005.03), R&DBiZ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974년 에어컨을 생산하기 시작하였으며, 1980년 에어컨 사업을 시작하였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오토셔터 에어컨을 출시한 업체이며, 국내 최초로 DVM(Digital Variable Multi) 에어컨을 개발한 업체이다. 현재 삼성전자는 자사 브랜드‘하우젠(Hauzen)’으로 에어컨을 생산, 판매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에어컨은 이탈리아 델롱기, 아르고, 등 현지 업체들을 제치고 시장점유율 19.3%를 차지하고 있으며, 2년 연속 위치를 차지하였다. 이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전략인 고가 및고급화 전략으로 이탈리아 시장에서 인해 삼성전자 가전제품이 명품으로 통하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2002년 에어컨 생산 1,000만대를 돌파하였다. 또한 삼성전자의 에어컨 국내 시장점유율은 2004년 41.1%를 차지하였으며, 2005년 1분기에는 소폭 상승한 41.3%를 차지하였다. 이렇게 삼성전자는 국내 에어컨 시장에서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국내 시잠점유율
(삼성전자의 추정치임)
2003년
2004년
2005년 1분기
에어컨 시장점유율
40.2%
41.1%
41.3%
자료 : 삼성전자 분기보고서(2005.03), R&DBiZ
SWOT 분석
강점과 기회 (Strength & Opportunity)
세계적인 기술력 및 브랜드, 차별화된 제품.
전략적 글로벌 소싱을 통한 해외 시장 공략 및 해외 투자.
지구의 온난화로,에어컨의 냉방기능 필요성 증대.
소비자 구매 성향이 고급화됨에 따라,프리미엄 제품군 판매 비중 증가.
지속적인 웰빙(Well-Being) 라이프에 대한 관심으로, 실내 환경이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이 강화.
약점과 위협 (Weakness & Threat)
중국 등 동남아국과의 경쟁 심화(낮은 가격 경쟁력,중국산 저가 제품의 수입 증가).
국내 소비 심리 둔화 및 경기 위축.
타 가전제품에 비해 높은 전력소비로 전기료 부담이 큼.
판매량이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아 RISK가 큼.
계절적 가전기기로 여름에 수요가 집중.
계절적 가전기기로 인해 공장가동률 편차가 크며,유휴자원으로 제조원가가 상승.이와 같이 에어컨의 SWOT 분석을 한 결과,
현재 전략적 글로벌 소싱을 통한 해외 시장 공략 및 해외 투자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지구 온난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하여 에어컨 제품의 기능화, 다양화, 고급화되고 있다.
중국산 제품의 판매가 본격화됨에 따라 경쟁 심화가 예상된다. 하지만 국내 에어컨의 가격경쟁력은 낮은 편이지만, 국내 소비자들은 국산가전제품의 선호도가 높으며 성능 면에서 우월하다. 당분간 국산 제품이 시장 우위는 지속될 전망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본의 게임 콘텐츠 산업
<국내음반 산업 유통구조 및 개선방안>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인터넷의 이용확산에 따른 문화산업 시장의 변화와 정책적 제언
디지털 시대의 Cable TV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특징,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필요성, IT산업(정보기술산업)의 현황...
영상, 영상데이터, 영상컨텐츠, 영상매체, 영상산업, 영상문화교육 심층 분석
[미디어법]미디어법 개정 논란에 대한 찬반양론 분석, 미디어산업 관련법(신문법, 방송법 중...
[홈네트워크] 홈네트워크 산업의 동향과 활성화 방안
음반산업(음악산업)의 개념, 음반산업(음악산업) 동향, 음반산업(음악산업) 규모, 음반산업(...
영화시장, 영화산업의 유통 구조
[HD TV]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전)와 디지털시대, 방송사, HD TV(고선명, 고화질 텔레비...
모바일 콘텐츠와 모바일 게임 산업
택배산업을 통해 알아본 마케팅관련산업 【택배산업의 모든 것】 (택배산업의 정의, 택배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