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고의 내용처럼 큰일이 일어나지 않는 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2)체계적 둔감화
불안 유발자극에 대한 과민감성을 둔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불안 상태와 긴장에서 풀려 이완된 상태가 서로 양립할 수 없음을 이용하는 것으로, 강도가 아주 약한 불안자극에서부터 시작하여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점점 자극의 강도를 높여나가며 불안자극에 환자들을 노출시키고, 이와 동시에 반복적으로 근육이완 훈련을 통해 긴장을 풀어줌으로써 불안자극에 대한 과민감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대개의 경우 환자들은 불안자극에 노출되면 심한 불안감을 호소함으로 너무 갑작스럽게 강도 높은 불안자극을 제시하는 것은 오히려 방해가 되며, 혼란과 두려움에 몰아넣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는 방법이다.
3) 정신치료
주로 지지정신치료가 많이 이용된다. 화자기 실수에 대한 위험을 감내하고 이를 편안히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지지해 주며 불안을 인간의 한 가지 정상적인 경험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취해 치료자는 적극적인 태도로 과거보다는 현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6. 간호
우선 대상자와 상호작용 전후에 간호사는 자신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그다음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하고, 이들의 불안을 최하위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처방된 약물 사용을 포함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대상자에게 자신이 안전하고 ‘미치지’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간호사는 대상자가 최근의 불안 정도를 확인하고, 불안을 증가시키는 생각이나 사람, 사건을 확인하며 자신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활동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는 것을 도와준다. 그리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이완술을 가르치며, 환경적인 자극을 제한한다. 또한 집단요법이나 개인요법에서 설정된 목적을 강화시키고, 대상자가 파괴적인 활동을 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격려한다.
불안장애 대상자는 정신교육 틀을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 대상자, 가족, 기타 주요한 사람에게 다음 사항을 교육시킨다.
그들의 진단, 증상,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특히 대처기술에서 대상자의 강점에 초점을 맞춘다. 개인요법이나 집단요법에 투약과 기타 치료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약과 치료술과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위협적이지 않는 행동을 병행하는 목적에 대하여 계약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유발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에 대하여 대상자는 다양한 대처술이나 이완술을 시행해보며, 가족을 위해서도 교육을 해야 하는데 유의해서 말해야 할 점은 강박장애자들의 행동을 중지시키면 불안을 더욱 가중시키므로 중지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Ⅲ. 참고문헌
김윤희 외,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01
최영희 외,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1999
이경순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07
Sigma Theta Tau Lambda,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3
네이버 의학검색 http://health.search.naver.com/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2)체계적 둔감화
불안 유발자극에 대한 과민감성을 둔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불안 상태와 긴장에서 풀려 이완된 상태가 서로 양립할 수 없음을 이용하는 것으로, 강도가 아주 약한 불안자극에서부터 시작하여 감당할 수 있는 정도로 점점 자극의 강도를 높여나가며 불안자극에 환자들을 노출시키고, 이와 동시에 반복적으로 근육이완 훈련을 통해 긴장을 풀어줌으로써 불안자극에 대한 과민감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이다. 대개의 경우 환자들은 불안자극에 노출되면 심한 불안감을 호소함으로 너무 갑작스럽게 강도 높은 불안자극을 제시하는 것은 오히려 방해가 되며, 혼란과 두려움에 몰아넣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하는 방법이다.
3) 정신치료
주로 지지정신치료가 많이 이용된다. 화자기 실수에 대한 위험을 감내하고 이를 편안히 받아 들일 수 있도록 지지해 주며 불안을 인간의 한 가지 정상적인 경험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취해 치료자는 적극적인 태도로 과거보다는 현재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6. 간호
우선 대상자와 상호작용 전후에 간호사는 자신의 불안 정도를 사정한다. 그다음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하고, 이들의 불안을 최하위 수준으로 감소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면 처방된 약물 사용을 포함한 기술들을 사용한다. 대상자에게 자신이 안전하고 ‘미치지’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그리고 간호사는 대상자가 최근의 불안 정도를 확인하고, 불안을 증가시키는 생각이나 사람, 사건을 확인하며 자신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활동이 어떤 것인지 확인하는 것을 도와준다. 그리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이완술을 가르치며, 환경적인 자극을 제한한다. 또한 집단요법이나 개인요법에서 설정된 목적을 강화시키고, 대상자가 파괴적인 활동을 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활동을 격려한다.
불안장애 대상자는 정신교육 틀을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 대상자, 가족, 기타 주요한 사람에게 다음 사항을 교육시킨다.
그들의 진단, 증상, 치료 및 예후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특히 대처기술에서 대상자의 강점에 초점을 맞춘다. 개인요법이나 집단요법에 투약과 기타 치료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약과 치료술과 자신과 다른 사람에게 위협적이지 않는 행동을 병행하는 목적에 대하여 계약한다.
대상자에게 불안을 유발시키는 사건이나 상황에 대하여 대상자는 다양한 대처술이나 이완술을 시행해보며, 가족을 위해서도 교육을 해야 하는데 유의해서 말해야 할 점은 강박장애자들의 행동을 중지시키면 불안을 더욱 가중시키므로 중지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Ⅲ. 참고문헌
김윤희 외,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01
최영희 외,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1999
이경순 외, 정신건강간호학, 현문사, 2007
Sigma Theta Tau Lambda,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3
네이버 의학검색 http://health.search.naver.com/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
추천자료
불안장애
심리장애를 보이는 사례 분석
성 격 장 애
불안장애의 정의와 종류
이상심리-성격장애
성격장애 원인 및 특징과 유형에 대한 연구
불안장애 [공황 장애]
불안장애
[정신건강론] 불안장애의 정의와 종류 및 불안장애별 원인과 치료, 경과 및 예후
[불안장애] 불안장애 정의, 불안장애 진단, 불안장애 특징, 불안장애 사례, 불안장애 치료방안
(인격장애의 유형) 인격장애의 유형과 행동특성 - 인격, 인격특성, 인격장애 정의, 인격장애...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 불안장애의 이해, 불안장애의 유형과...
(정신장애) 자신에게 가능성이 있는 정신장애를 선정하여 자신의 경우 원인, 증상, 일반적...
불안장애 개념,증상,특징및 불안장애 종류과 관련이론분석및 불안장애 치료법과 치료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