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의 발달심리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년기의 발달심리이론에 대해 논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년기의 발달심리이론
2. 노년기의 심리발달 특성
3. 노년기의 신체발달 특성
4. 노년기의 성격발달 특성
5. 노년기의 인지발달 특성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었다.
2) 교육수준과 직업에 따른 변화
교육수준과 현재의 직업과 역할 등을 통하여 지적 능력을 계속 발휘하고 있는 사람은 연령증가에 따른 지적능력의 쇠퇴가 덜 일어난다. 또 문제 해결 재료가 노인 자신에게 익숙하고 늘 다루고 있는 종류의 것은 익숙하지 못한 경우보다 지능의 쇠퇴가 적었다(Labouvievief & Gonda, 1976 ; Poon & Fozard, 1978).
3) 불안수준에 따른 변화
불안수준은 심리검사, 특히 능력검사의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불안 수준은 피험자의 연령이 많은 경우가 연령이 적은 경우보다 더 현저하게 나타나는 성향이 있다. 불안이 높거나 심리적으로 긴장되면 지능검사 결과가 낮아진다(Schultz, Dineen, Elias, Pentz & Wood, 1979). 60세 이상의 노인 가운데 혈압이 정상적인 노인이 고혈압 노인 집단에 비해서 10년 동안의 지능저하가 훨씬 적었다(Wilkie & Eisdorfer, 1971).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건강상태가 노년기의 지적기능 수준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시사해 준다.
4) 죽음 직전의 지능 능력의 급강하 현상
클리마이어(Kleemeier, 1961), 리이겔(Riegel & Riegel, 1972)이 시사한 바에 의하면 지적 능력의 감퇴는 사망 전 5년 정도 될 때에야 확실하게 나타난다. 이를 지적 능력의 최종적 급강하 가설(terminal-drophypothesis)이라 부른다. 클리마이어는 13명의 남자노인을 대상으로 12년에 걸쳐서 그들의 지적 능력변화 과정을 검사했는데, 지적능력이 갑작스럽게 감퇴한 노인들이 능력감퇴가 적은 노인에 비해 더 일찍 사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인지 능력의 급강하 현상은 사망을 예언해주는 지표라 볼 수 있다(윤진,1985).
6. 결론
위와 같이 노년기를 잘 활용하고 보내기 위해서는 많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모든 노인들이 함께 참여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사회적 배려와 국민의 관심과 이해가 뒤따라야 하겠다. 노인의 욕구를 충분히 충족시킴과 더불어 사회에 전혀 소외되지 않고 오히려 활발한 사회참여와 활동이 이루어 져야 하며, 생활의 중심운영 매체가 되도록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참고문헌
석재은 외, 노인의 소득실태 분석과 소득보장체계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0
최성재외 , 노인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