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요교육][한국민요]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의의,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과정,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수업모형,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지도방법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요교육][한국민요]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의의,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과정,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수업모형,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지도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의의

Ⅲ.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과정
1. 계획단계
2. 지도과정
1) 제재곡 듣기
2) 가사 음미하기
3) 장단 파악하기
4) 가락 익히기
5) 표현 방법 및 탐색하기
6) 표현하기
7) 적용
3. 지도 후에

Ⅳ.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수업모형

Ⅴ. 민요교육(민요지도, 한국민요교육)의 지도방법
1. 장구 반주에 의한 방법
2. 음향 자료에 의한 방법
3. 신체활동을 통한 방법
4. 가창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이다. 두 번째로, 민요의 사회적 기능(용도)에 따른 신체적 표현이다. <두꺼비>, <줄넘기>, <대문놀이>, <잠자리>, <참새>, <고사리 끊자> 등과 같은 유희요(遊戱謠)를 통해 놀이방법, 춤을 익혀 음악을 경험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또 <베틀노래>, <나무내리는 소리>, <고기푸기소리>, <논매기소리>와 같이 노래를 하면서 노동하는 동작을 흉내 내어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있다. 궁극적으로 신체표현은 민요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기능이나 사회적 상황 속에서 신체활동으로 그 역할을 해 봄으로써 민요를 보다 가깝게 느끼고, 음악적 경험을 내재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4. 가창방법
민요의 가창방식에는 혼자 부르는 독창방식, 2개의 파트가 화답하면서 부르는 교환창 방식, 한 노래를 함께 부르는 합창방식, 한 사람의 앞소리꾼과 여러 사람의 뒷소리꾼이 메기고 받는 방식 등이 있다. 우리 민요의 대부분은, 특히 노동요의 경우에는 메기고 받는 형식이 아주 많다. 하지만 민요의 성격기능에 따라 메기고 바든 방식 이외의 방식을 학습에 적용해 보아도 효과적일 것이다.
독창은 통절형식으로 긴 사설을 엮어가면서 부르는 민요나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상황이나 심정을 나타내고 있는 민요에서 쓰일 수 있는 가창방식이다. <베틀노래>, <새야새야>, <시집살이 노래>, <나무꾼 신세타령>, <자장가>, <신세한탄가> 등은 독창방식으로 부르는 것이 좋다.
교환창 방식은 한 무리가 소리를 내면 다른 무리가 이어받는 방식으로 일정하게 약속된 의미구절(意味句節)을 화답하는 형식으로, 우리 민요에 이런 가창방식은 그리 흔치 않다. <상주 모심기>, <공주 계룡 상여소리 : 짝소리>, <강릉 논매기 소리>는 서로 연관된 의미구를 두 무리가 서로 주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교과서에 제시된 곡으로 <두꺼비>, <대문놀이>, <새야 새야>, <아리랑> 등을 이런 가창방식으로 불러도 좋을 것이다.
합창방식은 여러 사람이 가사와 가락을 미리 알고 있는 노래에서 가능할 것이다. 각 아동의 개성이나 가락의 맛을 내서 부를 수 없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 가락의 흐름을 알고 있는지 확인해 볼 때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이다. 교과서에 제시된 곡 중 합창곡으로 적당한 것은 <새야 새야>, <달아 달아>, <아리랑> 등이다.
우리 민요의 대부분은 메기고 받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전체 속에서 개인의 역할을 인식하여 집단에의 소속감을 갖게 하는 좋은 방법으로, 아동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기대할 수 있다. 메기는 소리를 돌아가면서 해 본다. 뒷소리를 하는 동안 앞소리를 미리 준비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 김시업·임형택 외(1085), 근대민요 아리랑의 성격형성,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창작과 비평사
◇ 김진순(2005), 민요의 구성요소와 기능에 대한 새로운 관점, 겨례어 문학
◇ 박경수(1998), 한국 민요의 유형과 성격, 국학자료원
◇ 박종섭(2002), 민요와 한국인의 삶
◇ 서영숙 지음, 우리 민요의 세계, 도서출판 영락
◇ 정동화(1997), 한국민요의 사적연구, 일조각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10.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