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도덕과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의미와 배경
1. 의미
2. 배경
Ⅲ. 도덕과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실제
1. 1차시 수업(인지적 측면 중심의 수업)
2. 2차시 수업(정의적 측면 중심의 수업)
3. 3차시 수업(행동적 측면 중심의 수업)
Ⅳ. 도덕과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자료활용과 지도방법
1. 이야기 자료 선정 및 활용방법
2. 과정별 지도 방법
참고문헌
Ⅱ. 도덕과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의미와 배경
1. 의미
2. 배경
Ⅲ. 도덕과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실제
1. 1차시 수업(인지적 측면 중심의 수업)
2. 2차시 수업(정의적 측면 중심의 수업)
3. 3차시 수업(행동적 측면 중심의 수업)
Ⅳ. 도덕과 이야기중심교육(이야기중심학습)의 자료활용과 지도방법
1. 이야기 자료 선정 및 활용방법
2. 과정별 지도 방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법
첫째, 교과서의 삽화의 교훈적 이야기만으로는 그 양과 질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감동 감화를 줄 수 있는 이야기 자료를 많이 발굴하여 이를 적절히 활용하였는데 이야기의 수집처는 책자화 된 훈화자료집 및 교양 도서, 신문,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많은 이야기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학생들에게도 이야기 학습지를 배부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다.
둘째, 이야기 자료는 수업 계획 시 제재의 특성과 이야기 자료의 내용을 살펴 활용 목적과 방법을 생각하여 활용 단계를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학습 흥미에 부합하도록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넷째, 이야기 자료를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의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녹음자료화, 영상자료화, 삽화 제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특히 스토리 텔링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학생들 인격의 정서적인 측면에 관여하고 발달시키는 자연스런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지도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이야기를 듣고 난 후 학습지에 자신의 생각을 간단히 메모하게 하였다.
② 학생 자신이 쓴 글을 친구들과 비교해 보게 하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게 하였다.
③ 학생들에게 이야기의 끝을 변경하도록 해 보거나 앞으로의 일을 상상하여 발표하도록 하였다.
④ 이야기에 나타난 덕목과 관련된 학생들 자신들의 도덕적인 경험을 이야기하게 하였다.
⑤ 등장 인물에 대해 조별로 토의해 보게 하였다.
2. 과정별 지도 방법
이야기 자료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제재의 특성과 이야기의 내용에 따라 투입하는 과정이 다른데 수업자의 숙련된 판단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야기 자료를 활용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문제파악 과정에서의 활용은 주로 학생들의 주변 경험과 관련된 가벼운 이야기를 투입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시켰고 공부할 문제를 설정하는데 활용하였다.
둘째, 문제 추구 과정에서는 공부할 문제에 대한 주제나 목표 확인과 관련된 이야기 자료나 문제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 가치 갈등적 요소를 지닌 이야기를 제시하였다.
셋째,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초점을 발견하고 주인공과의 감정의 교류를 하며 자기 입장의 선택하여 깊이 느끼고 공통된 점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넷째, 실천의욕 갖기 과정에서는 주로 실천의지를 높이는 감동 감화 이야기 자료를 교사의 story telling과 학생이 수집한 이야기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감정 표현과 타인과의 비교 반성을 하고 실천의지 및 자기 다짐을 발표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 김태훈 외, 도덕과 교육의 이론, 인간사랑
◈ 교육부,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서울 : 교과서주식회사, 2001
◈ 경북 도덕과 교육연구회, 도덕과 교육 : 연구자료 제4집, 1993
◈ 박용헌 외 2인, 도덕과 교육,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 서강식, 도덕과 교육론, 서울 : 양서원, 2001
◈ 이영춘, 도덕과 교육, 서울 : 교학연구사, 1983
첫째, 교과서의 삽화의 교훈적 이야기만으로는 그 양과 질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감동 감화를 줄 수 있는 이야기 자료를 많이 발굴하여 이를 적절히 활용하였는데 이야기의 수집처는 책자화 된 훈화자료집 및 교양 도서, 신문,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많은 이야기를 얻을 수 있었으며 학생들에게도 이야기 학습지를 배부하여 수집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다.
둘째, 이야기 자료는 수업 계획 시 제재의 특성과 이야기 자료의 내용을 살펴 활용 목적과 방법을 생각하여 활용 단계를 구체적으로 계획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발달 수준과 학습 흥미에 부합하도록 이야기를 재구성하였다.
넷째, 이야기 자료를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의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녹음자료화, 영상자료화, 삽화 제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특히 스토리 텔링을 많이 사용하였다. 이는 학생들 인격의 정서적인 측면에 관여하고 발달시키는 자연스런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지도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이야기를 듣고 난 후 학습지에 자신의 생각을 간단히 메모하게 하였다.
② 학생 자신이 쓴 글을 친구들과 비교해 보게 하며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게 하였다.
③ 학생들에게 이야기의 끝을 변경하도록 해 보거나 앞으로의 일을 상상하여 발표하도록 하였다.
④ 이야기에 나타난 덕목과 관련된 학생들 자신들의 도덕적인 경험을 이야기하게 하였다.
⑤ 등장 인물에 대해 조별로 토의해 보게 하였다.
2. 과정별 지도 방법
이야기 자료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제재의 특성과 이야기의 내용에 따라 투입하는 과정이 다른데 수업자의 숙련된 판단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이야기 자료를 활용해 본 결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문제파악 과정에서의 활용은 주로 학생들의 주변 경험과 관련된 가벼운 이야기를 투입함으로써 학습 동기를 유발시켰고 공부할 문제를 설정하는데 활용하였다.
둘째, 문제 추구 과정에서는 공부할 문제에 대한 주제나 목표 확인과 관련된 이야기 자료나 문제 상황을 설정하기 위해 가치 갈등적 요소를 지닌 이야기를 제시하였다.
셋째, 문제 해결 과정에서는 초점을 발견하고 주인공과의 감정의 교류를 하며 자기 입장의 선택하여 깊이 느끼고 공통된 점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넷째, 실천의욕 갖기 과정에서는 주로 실천의지를 높이는 감동 감화 이야기 자료를 교사의 story telling과 학생이 수집한 이야기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자신의 감정 표현과 타인과의 비교 반성을 하고 실천의지 및 자기 다짐을 발표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 김태훈 외, 도덕과 교육의 이론, 인간사랑
◈ 교육부, 도덕과 교사용지도서, 서울 : 교과서주식회사, 2001
◈ 경북 도덕과 교육연구회, 도덕과 교육 : 연구자료 제4집, 1993
◈ 박용헌 외 2인, 도덕과 교육,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 서강식, 도덕과 교육론, 서울 : 양서원, 2001
◈ 이영춘, 도덕과 교육, 서울 : 교학연구사, 1983
추천자료
경험중심교육에 관하여
[부모교육]유아교육기관중심 부모교육의 목적, 필요성, 내용, 유형의 분석 및 견해
인간중심교육과정의 정의, 인간중심교육과정의 특징과 인간중심교육과정의 필요성, 인간중심...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 어휘력과 독해력신장활동, 학습장애아동 놀이중심...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의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원칙,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준비, 선택중심교육...
주제중심교육(주제탐구학습, 주제학습)의 정의와 의의, 주제중심교육(주제탐구학습, 주제학습...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정의와 분류,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구성과 중요성, ...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의의와 이론적 기반,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단계와 준...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정의와 분류,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고려사항, 놀이중...
선택중심교육과정의 의의, 선택중심교육과정의 과목선택과 심화선택과목, 선택중심교육과정의...
문학교육전략(수업전략), 독서교육전략(수업전략), 양성평등수학교육전략(수업전략), ICT활용...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의미와 기반, 놀이중심교육(놀이중심학습)의 준비와 실제, 놀...
감성교육(지도)프로그램 사례, STS(과학기술사회)교육(지도)프로그램 사례, 장애아동통합교육...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언어교육방법과 독서교육방법, 놀이중심학습(놀이중심교육)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