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기간
3. 연구 방법
II. 문헌고찰
1. 역학
2. 증상 및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III. 사례연구
1. 기초자료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대상 및 기간
3. 연구 방법
II. 문헌고찰
1. 역학
2. 증상 및 병태생리
3. 진단
4. 치료
III. 사례연구
1. 기초자료수집
2. 의미있는 자료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38.5°C 까지 상승하였다.
07) 가슴이 미식거려서 주먹으로 두들긴다.
3. 간호진단
#1. 신체상의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S1, 01, 02
#2. 면역저하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
03, 04
#3. 입원으로 인한 여가 활동 부족
S2, 05
#4. 열
06
#5. 섭취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S4. 07
4. 간호 계획과 수행 및 평가
#1. 신체상의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1) 목표 :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유지한다.
2) 계획 : 각 실습시간마다 환자와 의미있는 시간을 갖는다.
가능하면 친구들이 방문하도록 격려한다.
환자가 할 수 있는 활동을 격려한다. (독서, 걷기, 오락 등…)
항암치료가 끝나면 탈모가 없어질 것이라 설명한다.
진단과 치료에 관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3) 수행 : 친구들의 방문 외에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자신의 변화가 일시적임을 이해하였고 치료에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2. 면역저하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
1) 목표 : 부가적인 감염을 방지한다.
2) 계획 : 매 실습 시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백혈구 수를 관찰하고 감별검사를 한다.
현재 병동 외에 다른 곳은 다니지 않게 한다.
여럿이 보는 책이나 돈은 만지지 않게 한다.
대상자에게 다가가기전에 반드시 핸드워시를 한다.
3) 수행 :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체온이 38.5°C까지 올라가는 감염의 증상이 보였다.
#3. 입원으로 인한 여가 활동 부족
1) 목표 : 병동내에서 여러 활동을 한다.
2) 계획 : 병동내에서 할 수 있는 취미생활을 격려한다.
병동내에서 걷기 등의 운동을 격려한다.
가족이 자주 방문하도록 격려한다.
매 실습시간마다 대상자와 대화한다.
3) 수행 :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지루해하는 모습이 사라지고 병동에 맞는 생활을 찾아가고 있다.
#4. 섭취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1) 목표 :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
2) 계획 :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식사를 즐겁게 하기 위해 주위로부터 불쾌한 자극을 제거한다.
기초식품 요구량을 충족시키면서 씹기 쉬운 음식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처방에 따라 오심이나 구토가 나타나기 전에 진토제를 투여한다.
3) 수행 : 진토제의 투여 외에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식사 후 구토가 나타나서 정상체중에 이르지 못하였다.
IV. 결론
본 대상자는 18세의 남자 환자로 갑작스러운 질병의 발견으로 정서적으로 당황하였으며 사회 생활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병동에 또래의 친구가 없어서 많이 외로워 하고 지루해 하였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환자의 정서적 지지를 위주로 간호를 하였고 환자가 궁금해 하는 것을 위주로 교육하였다. 현재 환자는 많이 안정되었고 환자가 받는 치료에 불만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백혈병이라는 것에 자세히 알게 되었고 치료가 얼마나 힘든지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또한 치료기간이 길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07) 가슴이 미식거려서 주먹으로 두들긴다.
3. 간호진단
#1. 신체상의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S1, 01, 02
#2. 면역저하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
03, 04
#3. 입원으로 인한 여가 활동 부족
S2, 05
#4. 열
06
#5. 섭취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S4. 07
4. 간호 계획과 수행 및 평가
#1. 신체상의 변화와 관련된 자긍심 저하
1) 목표 :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유지한다.
2) 계획 : 각 실습시간마다 환자와 의미있는 시간을 갖는다.
가능하면 친구들이 방문하도록 격려한다.
환자가 할 수 있는 활동을 격려한다. (독서, 걷기, 오락 등…)
항암치료가 끝나면 탈모가 없어질 것이라 설명한다.
진단과 치료에 관한 느낌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3) 수행 : 친구들의 방문 외에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자신의 변화가 일시적임을 이해하였고 치료에 긍정적으로 수용하였다.
#2. 면역저하로 인한 감염의 위험성
1) 목표 : 부가적인 감염을 방지한다.
2) 계획 : 매 실습 시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백혈구 수를 관찰하고 감별검사를 한다.
현재 병동 외에 다른 곳은 다니지 않게 한다.
여럿이 보는 책이나 돈은 만지지 않게 한다.
대상자에게 다가가기전에 반드시 핸드워시를 한다.
3) 수행 :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체온이 38.5°C까지 올라가는 감염의 증상이 보였다.
#3. 입원으로 인한 여가 활동 부족
1) 목표 : 병동내에서 여러 활동을 한다.
2) 계획 : 병동내에서 할 수 있는 취미생활을 격려한다.
병동내에서 걷기 등의 운동을 격려한다.
가족이 자주 방문하도록 격려한다.
매 실습시간마다 대상자와 대화한다.
3) 수행 :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지루해하는 모습이 사라지고 병동에 맞는 생활을 찾아가고 있다.
#4. 섭취부족과 관련된 영양부족
1) 목표 :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
2) 계획 : 음식을 소량씩 자주 제공한다.
식사를 즐겁게 하기 위해 주위로부터 불쾌한 자극을 제거한다.
기초식품 요구량을 충족시키면서 씹기 쉬운 음식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처방에 따라 오심이나 구토가 나타나기 전에 진토제를 투여한다.
3) 수행 : 진토제의 투여 외에 모두 수행하였다.
4) 평가 : 식사 후 구토가 나타나서 정상체중에 이르지 못하였다.
IV. 결론
본 대상자는 18세의 남자 환자로 갑작스러운 질병의 발견으로 정서적으로 당황하였으며 사회 생활을 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병동에 또래의 친구가 없어서 많이 외로워 하고 지루해 하였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환자의 정서적 지지를 위주로 간호를 하였고 환자가 궁금해 하는 것을 위주로 교육하였다. 현재 환자는 많이 안정되었고 환자가 받는 치료에 불만 없이 받아들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백혈병이라는 것에 자세히 알게 되었고 치료가 얼마나 힘든지 조금이나마 알게 되었다. 또한 치료기간이 길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정서적인 지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