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기하여 지혈되기 까지의 시간
2) 정상치 : Duke 법 : 1~4분
3) 평가
a) 지연된 출혈시간은 중등도의 심한 thrombocytopenia와 비정상적인 혈소판 기능을 가진다.
b) BT 지연
응혈 기전의 장애 환자(ex. 혈우병)의 경우
ASA의 single dose ingestion이 5일 이상일 때
(4) Fibrinogen
1) 주된 혈장 단백질 중의 하나로 정상 농도는 200~400mg/dl이며 분자량 340,000을 가지는 globular-shaped glycoprotein이다.
2) Thrombin에 의해서 fibrin으로 전환된다.
3) 간에서 생성되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77~108시간이다.
4) 급성 염증성 질환, 조직 손상 후, 내독소 주입 후 10~20배 생성이 증가한다.
(5) FDP(Thrombo-wellco test)
1) FDP 측정에 latex 응집 시험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검사를 위한 채혈은 FDP 채혈관에 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혈액의 응고를 빨리 그리고 완전하게 시키기 위한 thrombin과 또한 시험관내에서의 fibrin의 분해를 막기 위한 효소 억제제가 들어 있다.
2) 혈청 FDP의 정상 범위는 < 200 ng/ml이며 월경, 운동 및 긴장 등의 영향을 받는다. 혈청 FDP 수준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오는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를 비롯하여 thrombo-embolic disease, 급성 심근 경색증 및 악성 종양 같은 때에 상승한다. 신장 이식 이후 또는 lupus nephritis 때는 뇨중에서도 FDP의 증가를 볼 수 있다.
(6) Thrombin time
1) 정상치 : 10~18초
2) TT란 decalcified plasma에 일정한 thrombin solution을 가하여 clot이 생기기 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것은 fibrinogen의 양이 적으면 길어지고 heparin 등의 anticoagulant가 많으면 길어진다.
7. 혈당 및 요당 검사
(1) Glucose, Fasting
1) 정상치
70~110 mg/dl
(2) Glucose, PP 2hrs
1) 고혈당의 경우
a) 경증 당뇨병 : 140~300mg/dl
b) 중증 당뇨병 : 300~1200mg/dl
c) 그 외에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신수질 종양, 발열성 질환, 신장염, 간 질환의 일부에서 증가한다.
2) 저혈당의 경우
인슐린의 과용, Addison병,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cretinism, myxoedema, 영양장애 등에 혈당이 감소한다.
(3) Glucose tolerance test
1) 일정량의 glucose를 주사하든지 경구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당과 요당을 측정하는 것이다. 보통 정상인은 glucose 투여 후 30~60분에 최고 혈당치를 나타낸다. 2시간 경과 후에는 glucose를 주기 전보다 더 낮은 수치를 보이다가 점차 올라서 정상과 같게 된다.
2) 정상인은 glucose를 주면 1시간 후 혈당이 110~170mg/dl로 올라가고 2시간 내에 정상으로 떨어지는데 당뇨나 신장 질환 환자에서는 혈당은 계속 상승하며 2시간 후에도 정상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glucose를 주입하였을 때 주사 후 30분에 최고 혈당에 이르고 90분이내에 정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3) 경구 투여시의 용량은 체중 1kg당 1gm, 정맥 주사시에는 0.5gm/kg 체중이 합리적이다.
8. 수탁(외부 의뢰) 검사 (Ⅰ)
(1) Cadmium(Cd)
1) Cadmium(Cd) 및 그의 화합물에 의한 건강 장애는 직업성 질환으로 급성 및 만성 중독이 주로 알려졌다.
2) Idai idai병의 원인 물질로 의심된 이래 생활 환경 오염 물질로서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3) 원래 Cd은 지각, 해수 중에 미량 존재하고 성인 체내에도 50 micro gm 전후 축적되어 있다고 추정되는데 생체내에서 아무런 생리 기능을 하지 않는 비필수 원소이다.
(2) Copper(Cu)
1) 증가 : 담도 질환, 빈혈, 악성 종양, 감염증
2) 감소 : Wilson 병, Menkes 증후군(Menkes' kidney hair syndrome), 저단백혈증 및 흡수부전
(3) Hg(Mercury)
1) 수은(Hg)은 급격한 수요 증가에 수반하여 공장 폐수에서 기인하는 Minamata 병, methylmercury 또는 ethylmercury 농약에 의한 약화 등으로 인한 위해를 계기로 하여 많은 정보가 보고되고 있다.
2) 수은은 우리 생활 환경에 광범하게 존재하는데 반해 인체의 생리적기능에 전혀 필요없는 원소로 축적성 유해 물질인 것이다. 따라서 혈중 또는 요중에서 검출된 수은은 이 물질로 소위 정상치의 개념에 넣을 수 없으나 건강인에서 특히 수은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에서도 일정량이 존재한다.
(4) Pb(Lead)
1) 연(Pb) 중독은 이미 Hippocrates 시대부터 알려졌으나 검사 방법이 출현한 것은 최근이다.
2) 일반 임상 검사의 발전으로 우선 연중독에서 빈혈이 나타나는 것을 하나의 지표로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다른 빈혈과의 감별이 불가능하다.
3) 연에 의한 직업성 폭로와 중독 증상
a. 위장증상 : 복부 선통, 피로, 이흥분성, 쇠약, 수면 이상, 식욕 부진, 설사, 변비, 안면 창백, 입안의 금속 맛
b. 말초 신경-근육 증상 : 근육통과 관절 장애
c. 뇌증 : 소아에서 보기 쉽다. 두통, 불면, 악몽, 인격 변화, 뇌염 증상
d. 기타 : 지능 발달 지연(소아기 중독), 신장애 등이 출현할 가능성
(5) Zinc(Zn)
1) 아연(Zn)은 성장에 필요한 필수 미량 금속으로 임상적으로는 아연결핍증이 중요시되고 있다.
2) Zn 대사의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는 아직 모르는 점이 많으나 측정법의 개발로 많은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3) 결핍증은 경정맥 영양 요법 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양 요법 시 Zn를 투여하지 않으면 1/2~2개월에 결핍증이 나타나게 된다.
2) 정상치 : Duke 법 : 1~4분
3) 평가
a) 지연된 출혈시간은 중등도의 심한 thrombocytopenia와 비정상적인 혈소판 기능을 가진다.
b) BT 지연
응혈 기전의 장애 환자(ex. 혈우병)의 경우
ASA의 single dose ingestion이 5일 이상일 때
(4) Fibrinogen
1) 주된 혈장 단백질 중의 하나로 정상 농도는 200~400mg/dl이며 분자량 340,000을 가지는 globular-shaped glycoprotein이다.
2) Thrombin에 의해서 fibrin으로 전환된다.
3) 간에서 생성되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77~108시간이다.
4) 급성 염증성 질환, 조직 손상 후, 내독소 주입 후 10~20배 생성이 증가한다.
(5) FDP(Thrombo-wellco test)
1) FDP 측정에 latex 응집 시험이 많이 사용되는데 이 검사를 위한 채혈은 FDP 채혈관에 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혈액의 응고를 빨리 그리고 완전하게 시키기 위한 thrombin과 또한 시험관내에서의 fibrin의 분해를 막기 위한 효소 억제제가 들어 있다.
2) 혈청 FDP의 정상 범위는 < 200 ng/ml이며 월경, 운동 및 긴장 등의 영향을 받는다. 혈청 FDP 수준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오는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를 비롯하여 thrombo-embolic disease, 급성 심근 경색증 및 악성 종양 같은 때에 상승한다. 신장 이식 이후 또는 lupus nephritis 때는 뇨중에서도 FDP의 증가를 볼 수 있다.
(6) Thrombin time
1) 정상치 : 10~18초
2) TT란 decalcified plasma에 일정한 thrombin solution을 가하여 clot이 생기기 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것은 fibrinogen의 양이 적으면 길어지고 heparin 등의 anticoagulant가 많으면 길어진다.
7. 혈당 및 요당 검사
(1) Glucose, Fasting
1) 정상치
70~110 mg/dl
(2) Glucose, PP 2hrs
1) 고혈당의 경우
a) 경증 당뇨병 : 140~300mg/dl
b) 중증 당뇨병 : 300~1200mg/dl
c) 그 외에 갑상선 기능항진증, 부신수질 종양, 발열성 질환, 신장염, 간 질환의 일부에서 증가한다.
2) 저혈당의 경우
인슐린의 과용, Addison병, 뇌하수체 기능항진증, cretinism, myxoedema, 영양장애 등에 혈당이 감소한다.
(3) Glucose tolerance test
1) 일정량의 glucose를 주사하든지 경구 투여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혈당과 요당을 측정하는 것이다. 보통 정상인은 glucose 투여 후 30~60분에 최고 혈당치를 나타낸다. 2시간 경과 후에는 glucose를 주기 전보다 더 낮은 수치를 보이다가 점차 올라서 정상과 같게 된다.
2) 정상인은 glucose를 주면 1시간 후 혈당이 110~170mg/dl로 올라가고 2시간 내에 정상으로 떨어지는데 당뇨나 신장 질환 환자에서는 혈당은 계속 상승하며 2시간 후에도 정상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glucose를 주입하였을 때 주사 후 30분에 최고 혈당에 이르고 90분이내에 정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3) 경구 투여시의 용량은 체중 1kg당 1gm, 정맥 주사시에는 0.5gm/kg 체중이 합리적이다.
8. 수탁(외부 의뢰) 검사 (Ⅰ)
(1) Cadmium(Cd)
1) Cadmium(Cd) 및 그의 화합물에 의한 건강 장애는 직업성 질환으로 급성 및 만성 중독이 주로 알려졌다.
2) Idai idai병의 원인 물질로 의심된 이래 생활 환경 오염 물질로서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3) 원래 Cd은 지각, 해수 중에 미량 존재하고 성인 체내에도 50 micro gm 전후 축적되어 있다고 추정되는데 생체내에서 아무런 생리 기능을 하지 않는 비필수 원소이다.
(2) Copper(Cu)
1) 증가 : 담도 질환, 빈혈, 악성 종양, 감염증
2) 감소 : Wilson 병, Menkes 증후군(Menkes' kidney hair syndrome), 저단백혈증 및 흡수부전
(3) Hg(Mercury)
1) 수은(Hg)은 급격한 수요 증가에 수반하여 공장 폐수에서 기인하는 Minamata 병, methylmercury 또는 ethylmercury 농약에 의한 약화 등으로 인한 위해를 계기로 하여 많은 정보가 보고되고 있다.
2) 수은은 우리 생활 환경에 광범하게 존재하는데 반해 인체의 생리적기능에 전혀 필요없는 원소로 축적성 유해 물질인 것이다. 따라서 혈중 또는 요중에서 검출된 수은은 이 물질로 소위 정상치의 개념에 넣을 수 없으나 건강인에서 특히 수은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에서도 일정량이 존재한다.
(4) Pb(Lead)
1) 연(Pb) 중독은 이미 Hippocrates 시대부터 알려졌으나 검사 방법이 출현한 것은 최근이다.
2) 일반 임상 검사의 발전으로 우선 연중독에서 빈혈이 나타나는 것을 하나의 지표로 현재까지 이용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다른 빈혈과의 감별이 불가능하다.
3) 연에 의한 직업성 폭로와 중독 증상
a. 위장증상 : 복부 선통, 피로, 이흥분성, 쇠약, 수면 이상, 식욕 부진, 설사, 변비, 안면 창백, 입안의 금속 맛
b. 말초 신경-근육 증상 : 근육통과 관절 장애
c. 뇌증 : 소아에서 보기 쉽다. 두통, 불면, 악몽, 인격 변화, 뇌염 증상
d. 기타 : 지능 발달 지연(소아기 중독), 신장애 등이 출현할 가능성
(5) Zinc(Zn)
1) 아연(Zn)은 성장에 필요한 필수 미량 금속으로 임상적으로는 아연결핍증이 중요시되고 있다.
2) Zn 대사의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는 아직 모르는 점이 많으나 측정법의 개발로 많은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3) 결핍증은 경정맥 영양 요법 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양 요법 시 Zn를 투여하지 않으면 1/2~2개월에 결핍증이 나타나게 된다.
추천자료
의과대학 학습목표 임상병리과학
일반혈액검사, Blood chemistry(혈액화학검사), 빈혈검사 = 진단적 검사
[비파괴검사][NDT][비파괴검사(NDT) 현장][비파괴검사(NDT) 전망]비파괴검사(NDT)의 정의, 비...
[표준화검사][표준화검사 분류][표준화검사 방법][표준화검사 활용][표준화]표준화검사의 특...
[표준화검사][표준화검사 유형][표준화검사 제작과정][표준화검사 활용방안]표준화검사의 의...
[심리검사][이상행동][심리검사의 목적][심리검사의 종류][이상행동의 진단기준][이상행동의 ...
[심리검사][심리치료][심리학][진단검사][심리검사의 역사][다양한 심리검사][이상행동의 유...
심리검사 신뢰도의 개념과 종류, 심리검사 타당도의 개념과 유형, 심리검사 타당도와 신뢰도 ...
HTP심리검사(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의 개념, HTP심리검사(집 나무 사람 그림검사)에 나타난 ...
인적성검사(인성적성검사)의 도입배경, 기능, 채용선발, 인적성검사(인성적성검사)와 SK인적...
의료기관 종사자의 유해한 작업환경 - 방사선사 와 임상병리사가 겪는 근 골격계 및 알레르기...
[검사][인성검사][적성검사][성격검사][MBTI-성격유형검사][진로검사][가치관검사]인성검사, ...
[아동성격검사] 아동용 성격검사(PIC), 한국판 아동용성격검사(K-PIC), 한국판 유아성격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