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편 임상병리과학 총론
제1장 총 론
제2장 정도관리
제 2 편 임상화학
제 1장 검사방법 및 기기
제 2장 탄수화물
제 3장 단백질
제 4장 지 질
제 5장 효 소
제 6장 간질환의 임상검사
제 7장 신기능 검사, 전해질 및 산염기평형
제 8장 중간대사물, 무기이온, 영양, 희유원소
제 9장 내분비검사
제10장 유전성 대사질환
제11장 요검사
제12장 치료적 약물농도 검사, 중금속, 독물검사
제13장 암표지검사
제 3 편 진단혈액학
제1장 기본적 혈액검사
제2장 골수와 조혈
제3장 적혈구 질환
제4장 백혈구 질환
제5장 지 혈
제6장 체액검사
제 4 편 임상미생물학
제1장 일반 세균검사
제2장 항균제 감수성 검사
제3장 Mycobacterium과 진균
제4장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검사
제 5 편 진단면역학
제1장 혈청학적 검사
제2장 면역학적 검사
제 6 편 혈액은행
제1장 면역혈액학
제2장 수혈의학
제 7 편 진단분자유전학
제 1 장 진단유전검사
학습목표 (1994년 판) 분석표
학습목표 (2000년 판) 분석표
제1장 총 론
제2장 정도관리
제 2 편 임상화학
제 1장 검사방법 및 기기
제 2장 탄수화물
제 3장 단백질
제 4장 지 질
제 5장 효 소
제 6장 간질환의 임상검사
제 7장 신기능 검사, 전해질 및 산염기평형
제 8장 중간대사물, 무기이온, 영양, 희유원소
제 9장 내분비검사
제10장 유전성 대사질환
제11장 요검사
제12장 치료적 약물농도 검사, 중금속, 독물검사
제13장 암표지검사
제 3 편 진단혈액학
제1장 기본적 혈액검사
제2장 골수와 조혈
제3장 적혈구 질환
제4장 백혈구 질환
제5장 지 혈
제6장 체액검사
제 4 편 임상미생물학
제1장 일반 세균검사
제2장 항균제 감수성 검사
제3장 Mycobacterium과 진균
제4장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검사
제 5 편 진단면역학
제1장 혈청학적 검사
제2장 면역학적 검사
제 6 편 혈액은행
제1장 면역혈액학
제2장 수혈의학
제 7 편 진단분자유전학
제 1 장 진단유전검사
학습목표 (1994년 판) 분석표
학습목표 (2000년 판) 분석표
본문내용
법을 설명한다.(A) (신설)
4. 돌연변이 분석을 위한 검사방법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A) (신설)
5. 많은 유전질환들이 autosomal dominant로 유전되는 이유를 설명한다.(A) (신설)
6. 대부분의 효소결핍질환들이 autosomal recessive로 유전되는 이유를 설명한다.(A) (신설)
7. 많은 유전자가 관련되어 있는 multifactorial common disease에서 관련유전자들은 질병의 발생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설명한다.(A) (신설)
8. Multifactorial common diseases에서 유전자검사의 의의를 설명한다.(A) (신설)
9. 면역능을 알아보는 진단검사 중, 진단유전검사가 혈청 및 세포를 이용한 검사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설명한다.(A) (신설)
10. 진단유전검사가 종양질환의 진단을 위해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A)
11.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진단 및 치료경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유전검사들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장, 단점을 비교, 설명한다.(A) (신설)
12. Molecular tumor marker를 설명한다.(A) (신설)
13. 감염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분자유전검사의 이용 예를 열거하고, 결과해석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설명한다.(A)
14. 어떤 임상소견이나, 또는 어느 질환이 의심될 때 염색체 검사를 이용하는지 설명한다.(A) (신설)
15. 염색체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A) (신설)
16. 염색체검사의 검사원리를 설명하고, karyotype 결과를 해석한다.(A) (신설)
임상병리과학 학습목표 (1994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 육 시 간
학습목표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계
제 1 편 임상평리학 총론
제1장 총 론
1
1
12
3
15
제2장 정도관리
1
1
2
6
8
제 2편 임상화학
제 1 장 검사방법 및 기기
1
4
5
6
7
13
제 2 장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
2
4
6
11
11
22
제 3 장 효 소
1
1
11
3
14
제 4 장 간질환의 임상검사
1
1
2
6
4
10
제 5 장 신기능검사, 전해질 및 신염기평형
1
1
6
4
10
제 6 장 중간대사물, 무기이온
1
1
2
9
2
11
제 7 장 선천성 대사이상의 진단
1
1
2
5
7
제 8 장 요검사
1
2
3
5
2
7
제 9 장 치료적 약물농도 검사
1
1
3
4
7
제10장 암표지 검사
1
1
7
1
8
제11장 내분비 검사
1
1
4
5
9
제 3 편 진단 혈액학
제1장 기본적 혈액검사
1
4
5
9
4
13
제2장 골수와 조혈
1
1
3
5
8
제3장 적혈구 질환
2
2
4
13
8
21
제4장 백혈구 질환
1
2
3
8
3
11
제5장 지혈
1
1
2
7
7
14
제6장 체액검사
1
2
3
8
1
9
제 4 편 임상미생물학
제1장 일반 세균검사
4
10
14
28
11
39
제2장 항균제 감수성 검사
1
1
10
4
14
제3장 Mycobacterium과 진균
1
1
2
8
4
12
제4장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 검사
2
2
11
7
18
제 5 편 진단 면역학
제1장 혈청학적 검사
3
6
9
18
9
27
제2장 면역학적 검사
2
2
4
11
9
20
제 6 편 혈액 은행
제1장 혈액형
2
4
6
12
7
19
제2장 공혈, 저장 및 수혈
2
4
6
18
10
28
제3장 수혈부작용
1
1
4
3
7
제 7 편 진단분자유전학
재1장 분자생물학적 검사
1
1
5
2
7
제2장 염색체 검사
1
1
5
5
계
41
50
91
257
156
413
임상병리과학 학습목표 (2000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제 1 편 임상평린학 총론
제1장 총 론
1
0
1
4
1
5
5
제2장 정도관리
1
0
1
1
1
2
2
2
4
제 2 편 임상화학
제 1 장 검사방법 및 기기
1
4
5
5
5
3
1
1
5
10
제 2 장 탄수화물
1
0
1
4
4
1
1
5
제 3 장 단백질
1
1
2
3
3
3
3
6
제 4 장 지 질
1
1
2
3
1
4
2
1
3
7
제 5 장 효 소
1
0
1
10
1
11
1
1
12
제 6 장 간질환의 임상검사
1
1
2
5
5
3
1
4
9
제 7 장 신기능검사, 전해질 및 신염기평형
1
0
1
6
6
3
3
9
제 8 장 중간대사물, 무기이온, 영양, 희유원소
1
0
1
6
6
3
1
4
10
제 9 장 내분비 검사
1
0
1
4
4
5
5
9
제10장 유전선 대사 질환
1
0
1
2
2
2
2
4
제11장 요검사
1
2
3
4
1
5
1
1
6
제12장 치료적 약물농도 검사, 중금속, 독물검사
1
0
1
3
3
3
3
6
제13장 암지표 검사
1
0
1
6
6
1
1
7
제 3 편 진단 혈액학
제1장 기본적 혈액검사
1
4
5
9
9
4
4
13
제2장 골수와 조혈
1
0
1
3
3
5
5
8
제3장 적혈구 질환
2
2
4
13
13
8
8
21
제4장 백혈구 질환
1
2
3
8
8
3
3
11
제5장 지 혈
1
1
2
7
7
7
7
14
제6장 체액검사
1
2
3
8
8
1
1
9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제 4 편 임상미생물학
제1장 일반 세균검사
4
10
14
26
1
4
31
9
1
1
11
42
제2장 항균제 감수성 검사
1
10
11
9
2
11
2
2
13
제3장 Mycobacterium과 진균
1
1
2
7
1
1
9
3
1
4
13
제4장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 검사
2
0
2
8
2
1
11
7
7
18
제 5 편 진단 면역학
제1장 혈청학적 검사
3
6
9
15
2
17
8
8
25
제2장 면역학적 검사
2
2
4
11
11
9
9
20
제 6 편 혈액 은행
제1장 면역 혈액학
2
4
6
12
3
15
7
4
11
26
제2장 수혈의학
3
4
7
19
2
21
12
4
16
37
제 7 편 진단 분자 유전학
제1장 진단 유전 검사
2
0
2
2
14
16
16
계
42
57
99
223
6
32
261
112
8
14
134
395
4. 돌연변이 분석을 위한 검사방법을 순서적으로 설명한다.(A) (신설)
5. 많은 유전질환들이 autosomal dominant로 유전되는 이유를 설명한다.(A) (신설)
6. 대부분의 효소결핍질환들이 autosomal recessive로 유전되는 이유를 설명한다.(A) (신설)
7. 많은 유전자가 관련되어 있는 multifactorial common disease에서 관련유전자들은 질병의 발생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설명한다.(A) (신설)
8. Multifactorial common diseases에서 유전자검사의 의의를 설명한다.(A) (신설)
9. 면역능을 알아보는 진단검사 중, 진단유전검사가 혈청 및 세포를 이용한 검사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설명한다.(A) (신설)
10. 진단유전검사가 종양질환의 진단을 위해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설명한다.(A)
11. 만성골수성백혈병의 진단 및 치료경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유전검사들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장, 단점을 비교, 설명한다.(A) (신설)
12. Molecular tumor marker를 설명한다.(A) (신설)
13. 감염 질환의 진단에 사용되는 분자유전검사의 이용 예를 열거하고, 결과해석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들을 설명한다.(A)
14. 어떤 임상소견이나, 또는 어느 질환이 의심될 때 염색체 검사를 이용하는지 설명한다.(A) (신설)
15. 염색체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한다.(A) (신설)
16. 염색체검사의 검사원리를 설명하고, karyotype 결과를 해석한다.(A) (신설)
임상병리과학 학습목표 (1994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 육 시 간
학습목표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계
제 1 편 임상평리학 총론
제1장 총 론
1
1
12
3
15
제2장 정도관리
1
1
2
6
8
제 2편 임상화학
제 1 장 검사방법 및 기기
1
4
5
6
7
13
제 2 장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
2
4
6
11
11
22
제 3 장 효 소
1
1
11
3
14
제 4 장 간질환의 임상검사
1
1
2
6
4
10
제 5 장 신기능검사, 전해질 및 신염기평형
1
1
6
4
10
제 6 장 중간대사물, 무기이온
1
1
2
9
2
11
제 7 장 선천성 대사이상의 진단
1
1
2
5
7
제 8 장 요검사
1
2
3
5
2
7
제 9 장 치료적 약물농도 검사
1
1
3
4
7
제10장 암표지 검사
1
1
7
1
8
제11장 내분비 검사
1
1
4
5
9
제 3 편 진단 혈액학
제1장 기본적 혈액검사
1
4
5
9
4
13
제2장 골수와 조혈
1
1
3
5
8
제3장 적혈구 질환
2
2
4
13
8
21
제4장 백혈구 질환
1
2
3
8
3
11
제5장 지혈
1
1
2
7
7
14
제6장 체액검사
1
2
3
8
1
9
제 4 편 임상미생물학
제1장 일반 세균검사
4
10
14
28
11
39
제2장 항균제 감수성 검사
1
1
10
4
14
제3장 Mycobacterium과 진균
1
1
2
8
4
12
제4장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 검사
2
2
11
7
18
제 5 편 진단 면역학
제1장 혈청학적 검사
3
6
9
18
9
27
제2장 면역학적 검사
2
2
4
11
9
20
제 6 편 혈액 은행
제1장 혈액형
2
4
6
12
7
19
제2장 공혈, 저장 및 수혈
2
4
6
18
10
28
제3장 수혈부작용
1
1
4
3
7
제 7 편 진단분자유전학
재1장 분자생물학적 검사
1
1
5
2
7
제2장 염색체 검사
1
1
5
5
계
41
50
91
257
156
413
임상병리과학 학습목표 (2000년판) 분석표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제 1 편 임상평린학 총론
제1장 총 론
1
0
1
4
1
5
5
제2장 정도관리
1
0
1
1
1
2
2
2
4
제 2 편 임상화학
제 1 장 검사방법 및 기기
1
4
5
5
5
3
1
1
5
10
제 2 장 탄수화물
1
0
1
4
4
1
1
5
제 3 장 단백질
1
1
2
3
3
3
3
6
제 4 장 지 질
1
1
2
3
1
4
2
1
3
7
제 5 장 효 소
1
0
1
10
1
11
1
1
12
제 6 장 간질환의 임상검사
1
1
2
5
5
3
1
4
9
제 7 장 신기능검사, 전해질 및 신염기평형
1
0
1
6
6
3
3
9
제 8 장 중간대사물, 무기이온, 영양, 희유원소
1
0
1
6
6
3
1
4
10
제 9 장 내분비 검사
1
0
1
4
4
5
5
9
제10장 유전선 대사 질환
1
0
1
2
2
2
2
4
제11장 요검사
1
2
3
4
1
5
1
1
6
제12장 치료적 약물농도 검사, 중금속, 독물검사
1
0
1
3
3
3
3
6
제13장 암지표 검사
1
0
1
6
6
1
1
7
제 3 편 진단 혈액학
제1장 기본적 혈액검사
1
4
5
9
9
4
4
13
제2장 골수와 조혈
1
0
1
3
3
5
5
8
제3장 적혈구 질환
2
2
4
13
13
8
8
21
제4장 백혈구 질환
1
2
3
8
8
3
3
11
제5장 지 혈
1
1
2
7
7
7
7
14
제6장 체액검사
1
2
3
8
8
1
1
9
교 과 요 목
교육시간
개정후 문항수
강의
실습
계
A
B
합계
기존
B
⇒
신설
계
기존
A
→
신설
계
제 4 편 임상미생물학
제1장 일반 세균검사
4
10
14
26
1
4
31
9
1
1
11
42
제2장 항균제 감수성 검사
1
10
11
9
2
11
2
2
13
제3장 Mycobacterium과 진균
1
1
2
7
1
1
9
3
1
4
13
제4장 바이러스 및 기타 미생물 검사
2
0
2
8
2
1
11
7
7
18
제 5 편 진단 면역학
제1장 혈청학적 검사
3
6
9
15
2
17
8
8
25
제2장 면역학적 검사
2
2
4
11
11
9
9
20
제 6 편 혈액 은행
제1장 면역 혈액학
2
4
6
12
3
15
7
4
11
26
제2장 수혈의학
3
4
7
19
2
21
12
4
16
37
제 7 편 진단 분자 유전학
제1장 진단 유전 검사
2
0
2
2
14
16
16
계
42
57
99
223
6
32
261
112
8
14
134
395
추천자료
영어학습(영어교육) 게임(놀이)활용의 이론적 배경과 교육적 목표, 영어학습(영어교육) 게임(...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특성, 무용학습(무용교육, 무용지도)의 목표, 무용학습(무용...
[가네 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가네의 약력, 가네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의 기본...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이론, 학생중심교육(학습자중심교육) 목표, 학생중심교육(학습...
자신을 소개하고, 아동복지를 학습하게 된 동기, 학습 후의 목표에 대해서 서술하십시오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성격과 원리,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목표, 도덕과교육(수업, 학습)...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특성,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발문...
현장체험학습(현장학습)의 의의와 목표, 현장체험학습(현장학습)의 형태, 현장체험학습(현장...
과학과학습(수업, 교육)의 성격, 과학과학습(수업, 교육) 목표, 과학과학습(수업, 교육) 창의...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원리,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목표, 수학교육(지도, 수학학습)...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특성,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목표, 체육과학습(교육, 수업) 연구, ...
평생교육(평생학습) 의미, 평생교육(평생학습) 목표, 평생교육(평생학습) 주창자, 평생교육(...
평생교육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