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블랙홀의 의미
Ⅲ. 블랙홀의 발견
Ⅳ. 블랙홀의 형성
Ⅴ. 블랙홀의 이론
Ⅵ. 블랙홀의 적용
1. 블랙홀 망원경
2.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 보자
3. 블랙홀 초미래 도시
4. 과거로의 시간 여행
5. 색을 띠는 블랙홀
Ⅶ. 결론
참고문헌
Ⅱ. 블랙홀의 의미
Ⅲ. 블랙홀의 발견
Ⅳ. 블랙홀의 형성
Ⅴ. 블랙홀의 이론
Ⅵ. 블랙홀의 적용
1. 블랙홀 망원경
2. 블랙홀 안으로 들어가 보자
3. 블랙홀 초미래 도시
4. 과거로의 시간 여행
5. 색을 띠는 블랙홀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ole)\' 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다. 웜홀이란 두 개의 블랙홀을 이은 것과 같은 시공간을 말한다. 단 양쪽의 입구에 사상의 지평면이 있으면 그 안에 들어가 버려 두 번 다시 밖으로 나올 수 없게 되므로, 양쪽의 지평면이 일치되어 하나의 지평면이 되도록 붙어 있어야 한다. 그것이 가능한지 어떤지는 아직 알 수 없다. 가령 그것이 가능하다면 타임머신을 만들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웜홀을 사용한 타 임 머신이 실현 가능하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 인간이 빠져나갈 수 있을 만큼의 큰 윔홀을 과연 만들 수 있는 것인지, 또 만들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이 장기간 안정되게 존재할 수 있는지 등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이 많다. 현재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과거로의 시간 여행이 가능해지면, 이미 존재하고 있는 역사를 다시 고쳐 쓸 수 있는 것일까? 호킹은 \'역사 연표 보존 가설\'을 제창하여, 물리 법칙은 그와 같은 윔홀의 존재를 금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5. 색을 띠는 블랙홀
블랙홀은 어떤 색입니까? 라는 질문을 받게 되면 블랙(검다)이라고 답하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무엇이든지 빨아들이고 그 곳에서는 빛조차도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사실이 블랙홀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유래이기도 하다. 어떠한 방법을 써서 블랙홀에 색을 입힐 수는 없을까? 이러한 생각이 블랙홀 연구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단 여기서 말하는 ‘색’이란 소립자의 기본 입자로서의 쿼크(Quirk)를 분류할 때의 ‘색’이지, 빛으로 보이는 ‘색’과는 다르다. 이에 대한 최첨단의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블랙홀에는 \'무모 가설(無毛假說)\'이라는 것이 있는데 블랙홀의 종류는 하나라는 것이 그것의 정설이다. 여기서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이제까지 블랙홀에는 별의 마지막에 생기는 것과 은하 중심 등에 있다고 생각되는 거대한 두 유형이 있다고 설명하거나, 회전하고 있는 블랙홀을 설명하거나 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물리적 성질을 따진다면 결국 모두 같은 것이다. 최초로 슈바르츠실트가 발견한 특이점과 사상의 지평면만으로 이루어진 블랙홀이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이다. 거기에 \'전하(電荷)\'를 더한 것이 \'라이너스-노르드슈트롬 블랙홀\'이다. 대부분의 별은 회전 운동을 하고 있다. 블랙홀도 혹시 회전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여 뉴질랜드의 물리학자 커가 밝혀낸 것이 \'회전\'하는 \'커 블랙홀\'이다. 그리고 여기에 전하를 더한 것이 \'커-뉴먼 블랙홀\'이다. 모든 블랙홀은 커-뉴먼 블랙홀이 대표하고 있다고 한다. \'회전\',\'전하\'에 블랙홀의 \'질량\'을 더한 세 개의 양을 \'털(毛)\' 로 비유한다며, 그 세 개의 \'털\'이외의 정보는 블랙홀이 될 때 모두 소멸해 버린다. 이것을 휠러는 블랙홀에는 털이 없다.고 말하였다. 블랙홀을 특징 있게 하는 것은 진짜 이 세 개의 \'털\'만이고, 커-뉴먼 블랙홀이 유일한 블랙홀인지 아니면 또 다른 블랙홀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연구는 현재 계속되고 있다. 그와 같은 연구의 한 성과로서 최근에 \'색을 띠는 블랙홀\'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쿼크를 기술하는 \'양자 크로모 역학(Quantum Chromodynamics)\'이라는 이론에 나오는 \'게이지 장(Gauge Field)\'을 생각하면, 앞에서 기술한 커-뉴면 블랙홀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블랙홀이 발견된 것이다. 이 블랙홀이 실제로 중력 붕괴에서 생기는가 어떤 가를 컴퓨터로 모의시험(시뮬레이션)한 사람이 있다. 이것에 따르면 유감스럽게도 마지막에 도달한 곳은, 색을 띠는 블랙홀이 아니라 검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슈바르츠는 독일어로 검다는 뜻이 있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후 색을 띠는 블랙홀 이외에도 새로운 블랙홀이 몇이나 발견되었다. 이 새로운 종류의 블랙홀에 대한 연구는 근간에 화제가 될 것 같다.
Ⅶ. 결론
이전까지 블랙홀은 거대 질량을 가진 별의 폭발잔해로 무엇이든 흡수해서 빛조차 빠져나가 지 못하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호킹의 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이 물체를 흡수하는 과정은 블랙홀 내부 에너지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블랙홀 내부 에너지는 감소되어 결국 물체 에너지 흡수가 원래의 블랙홀 내부 에너지 방출 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즉 양(+)이 아닌 음(-)의 에너지 가산 효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블랙홀이 흡수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회전하는 팽이에 돌을 던지면 돌이 튀어 나오고, 팽이의 회전력은 줄어드는 것과 같은 이치이며, 블랙홀의 내부 질량은 감소하고 이로 인해 내부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결국 블랙홀이 증발하게 된다고 호킹은 설명한다.
또한 그는 블랙홀 증발 이론을 바탕으로 시간의 역류를 주장했다. 당시 우주는 무질서도(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팽창하여 시간은 항상 순행한다는 팬로즈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대해 호킹은 우주도 팽창에서 수축으로 변하는 시기가 존재하는데, 이 시기에는 엔트로피가 감소함에 따라 엔트로피의 증가 방향으로 흐르던 시간은 역류하여 과거로 흘러간다는 새로운 시공간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사실 시간이 역류하는 우 주에 살고 있는 사람들도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주의 수축에 따른 시간 역류를 검증할 방법은 없다고 호킹 자신도 말한다.
그렇다고 그의 이론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자신의 우주론을 통해 타임머신에 대한 막연한 기대에 시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실제적 이론 기반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호킹은 궁극적으로 우주 팽창과 수축을 하나의 파동함수로 기술하려는 장대한 노력을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데이비드 슈램·이호영 옮김 - 쿼크에서 코스모스까지, 범양사
박석재 - 스티븐 호킹의 새로운 검은 구멍, 국제언론문화사, 1991
존 시몬스 - 사이언티스트 100, 세종서적, 1997
(주)천문우주기획 - 별과 우주, 2000
피터 코올즈 송형석 옮김 - 우주론이란 무엇인가?, 동문선 현대신서, 2003
Michael. J, Steven - A. G, P. S, 대한교과서,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서론 만역, 2장 3장, 1999
5. 색을 띠는 블랙홀
블랙홀은 어떤 색입니까? 라는 질문을 받게 되면 블랙(검다)이라고 답하는 것이 보통일 것이다. 무엇이든지 빨아들이고 그 곳에서는 빛조차도 빠져 나올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사실이 블랙홀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유래이기도 하다. 어떠한 방법을 써서 블랙홀에 색을 입힐 수는 없을까? 이러한 생각이 블랙홀 연구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단 여기서 말하는 ‘색’이란 소립자의 기본 입자로서의 쿼크(Quirk)를 분류할 때의 ‘색’이지, 빛으로 보이는 ‘색’과는 다르다. 이에 대한 최첨단의 연구를 소개하고자 한다. 블랙홀에는 \'무모 가설(無毛假說)\'이라는 것이 있는데 블랙홀의 종류는 하나라는 것이 그것의 정설이다. 여기서 \'아니다.\'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이제까지 블랙홀에는 별의 마지막에 생기는 것과 은하 중심 등에 있다고 생각되는 거대한 두 유형이 있다고 설명하거나, 회전하고 있는 블랙홀을 설명하거나 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물리적 성질을 따진다면 결국 모두 같은 것이다. 최초로 슈바르츠실트가 발견한 특이점과 사상의 지평면만으로 이루어진 블랙홀이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이다. 거기에 \'전하(電荷)\'를 더한 것이 \'라이너스-노르드슈트롬 블랙홀\'이다. 대부분의 별은 회전 운동을 하고 있다. 블랙홀도 혹시 회전하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여 뉴질랜드의 물리학자 커가 밝혀낸 것이 \'회전\'하는 \'커 블랙홀\'이다. 그리고 여기에 전하를 더한 것이 \'커-뉴먼 블랙홀\'이다. 모든 블랙홀은 커-뉴먼 블랙홀이 대표하고 있다고 한다. \'회전\',\'전하\'에 블랙홀의 \'질량\'을 더한 세 개의 양을 \'털(毛)\' 로 비유한다며, 그 세 개의 \'털\'이외의 정보는 블랙홀이 될 때 모두 소멸해 버린다. 이것을 휠러는 블랙홀에는 털이 없다.고 말하였다. 블랙홀을 특징 있게 하는 것은 진짜 이 세 개의 \'털\'만이고, 커-뉴먼 블랙홀이 유일한 블랙홀인지 아니면 또 다른 블랙홀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연구는 현재 계속되고 있다. 그와 같은 연구의 한 성과로서 최근에 \'색을 띠는 블랙홀\'이라는 것이 발견되었다.
쿼크를 기술하는 \'양자 크로모 역학(Quantum Chromodynamics)\'이라는 이론에 나오는 \'게이지 장(Gauge Field)\'을 생각하면, 앞에서 기술한 커-뉴면 블랙홀과는 다른 새로운 유형의 블랙홀이 발견된 것이다. 이 블랙홀이 실제로 중력 붕괴에서 생기는가 어떤 가를 컴퓨터로 모의시험(시뮬레이션)한 사람이 있다. 이것에 따르면 유감스럽게도 마지막에 도달한 곳은, 색을 띠는 블랙홀이 아니라 검은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슈바르츠는 독일어로 검다는 뜻이 있다.)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후 색을 띠는 블랙홀 이외에도 새로운 블랙홀이 몇이나 발견되었다. 이 새로운 종류의 블랙홀에 대한 연구는 근간에 화제가 될 것 같다.
Ⅶ. 결론
이전까지 블랙홀은 거대 질량을 가진 별의 폭발잔해로 무엇이든 흡수해서 빛조차 빠져나가 지 못하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호킹의 이론에 따르면 블랙홀이 물체를 흡수하는 과정은 블랙홀 내부 에너지 증가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반대로 블랙홀 내부 에너지는 감소되어 결국 물체 에너지 흡수가 원래의 블랙홀 내부 에너지 방출 효과를 초래한다는 것이다. 즉 양(+)이 아닌 음(-)의 에너지 가산 효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블랙홀이 흡수한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회전하는 팽이에 돌을 던지면 돌이 튀어 나오고, 팽이의 회전력은 줄어드는 것과 같은 이치이며, 블랙홀의 내부 질량은 감소하고 이로 인해 내부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결국 블랙홀이 증발하게 된다고 호킹은 설명한다.
또한 그는 블랙홀 증발 이론을 바탕으로 시간의 역류를 주장했다. 당시 우주는 무질서도(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팽창하여 시간은 항상 순행한다는 팬로즈 이론이 지배적이었다. 이에 대해 호킹은 우주도 팽창에서 수축으로 변하는 시기가 존재하는데, 이 시기에는 엔트로피가 감소함에 따라 엔트로피의 증가 방향으로 흐르던 시간은 역류하여 과거로 흘러간다는 새로운 시공간 모델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사실 시간이 역류하는 우 주에 살고 있는 사람들도 그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우주의 수축에 따른 시간 역류를 검증할 방법은 없다고 호킹 자신도 말한다.
그렇다고 그의 이론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다. 자신의 우주론을 통해 타임머신에 대한 막연한 기대에 시간 개념의 변화에 따른 실제적 이론 기반을 제공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호킹은 궁극적으로 우주 팽창과 수축을 하나의 파동함수로 기술하려는 장대한 노력을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데이비드 슈램·이호영 옮김 - 쿼크에서 코스모스까지, 범양사
박석재 - 스티븐 호킹의 새로운 검은 구멍, 국제언론문화사, 1991
존 시몬스 - 사이언티스트 100, 세종서적, 1997
(주)천문우주기획 - 별과 우주, 2000
피터 코올즈 송형석 옮김 - 우주론이란 무엇인가?, 동문선 현대신서, 2003
Michael. J, Steven - A. G, P. S, 대한교과서, 천문학 및 천체 물리학 서론 만역, 2장 3장, 1999
추천자료
감마선 폭발과 블랙홀의 모든 것.... (방사선과 우주과학)
우주의 탄생과 블랙홀에 관하여...
[우주의 이해] 블랙홀에 대하여
[블랙홀][블랙홀의 개념][블랙홀의 형성][블랙홀의 존재][블랙홀의 발견][우주][상대성이론][...
[우주][공진화][대우주][소우주][블랙홀][우주산업]우주의 시작, 우주의 끝, 우주의 구성, 우...
[블랙홀][블랙홀의 정의][블랙홀의 발생][블랙홀의 특징][블랙홀의 역사][블랙홀의 존재][블...
[블랙홀][블랙홀 개념][블랙홀 형성방식][블랙홀 발견][블랙홀 존재이론][블랙홀 미래]블랙홀...
우주의 구멍 블랙홀(Blackhole)
블랙홀에 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