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블랙홀의 개념
Ⅲ. 블랙홀의 형성방식
Ⅳ. 블랙홀의 발견
Ⅴ. 블랙홀의 존재이론
Ⅵ. 블랙홀의 미래
1. 닫힌 우주
2. 열린 우주
Ⅶ.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Ⅱ. 블랙홀의 개념
Ⅲ. 블랙홀의 형성방식
Ⅳ. 블랙홀의 발견
Ⅴ. 블랙홀의 존재이론
Ⅵ. 블랙홀의 미래
1. 닫힌 우주
2. 열린 우주
Ⅶ.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주는 영원히 팽창을 계속하므로 모든 블랙홀이 하나로 합체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말은 우주의 팽창으로 블랙홀의 수와 밀도가 급속히 감소하여 블랙홀의 간격이 자꾸만 멀어지게 되므로 블랙홀끼리의 충돌 빈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는 사이에 블랙홀의 증발이 시작되고, 결국 블랙홀은 없어지고 만다. 블랙홀이 증발, 소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질량의 세제곱에 비례하고, 태양의 질량 정도의 블랙홀에서는 우주 나이의 10의 54승 배나 걸린다. 이것이 은하 중심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더욱 무거운 블랙홀이라면 정신이 아찔할 정도의 숫자가 나온다. 그와 같은 경우 블랙홀의 증발 등은 생각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 같지만, 우주는 무한히 계속하여 팽창하므로 시간은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 블랙홀이 증발한 다음에는 블랙홀에서 나온 질량이 0인 입자(중성미자, 광자, 중력자 등)가 주로 존재한다. 더욱이 소립자의 \'대통일 이론(GUT)\'이 옳다면 양성자 등도 붕괴하여, 마지막에는 전자 등 가장 가벼운 안정 입자만이 남는다. 모든 구조도 소멸되고, 거의 진공에 가까운 희박한 우주만이 팽창을 계속할 뿐이다. 우주의 운명은 빈 우주가 되어 버리던가, 아니면 유한의 생명을 가진 우주가 되어 버리던가 둘 중의 하나인 것이다.
Ⅶ. 결론 및 시사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예측된 블랙홀은 더 이상 가상의 존재가 아닌 실체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4차원 시공간의 상대성이론에서 출발한 블랙홀은 정보소실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 시켰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현대 물리학자들은 4차원을 넘어선 새로운 차원의 존재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 우주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 것이다.
과연 새로운 차원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어디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을까?
현재 2007년 완공될 예정으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건설 중인 거대강입자가속기에서 4차원 시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차원의 증거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만약 새로운 차원의 존재에 대한 실험적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블랙홀에서의 정보소실 문제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시간과 분리된 3차원 공간에 익숙했던 20세기 초반의 사람들은 아인슈타인의 4차원 상대성이론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21세기를 맞이한 현재, 4차원 시공간은 이미 과학적 상식이 되어버렸으며, 우주를 이해하는 근본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상대성 이론 탄생 백주년을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차원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 22세기 우리의 후손들은 5차원 시공간에서 우주를 바라보며 살게 될 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모리모토 마사키 지음, 정현수 옮김, 전파로 본 우주, 전파과학사, 1994
박석재 지음, 스티븐호킹의 새로운 검은 구멍, 국제언론문화사, 1992
배리 파커, 우주여행, 시간여행, 전파과학사, 1997
이충환, 살림지식총서, 블랙홀, 2003
예음, 스티븐 호킹의 새로운 블랙홀
짐 알칼릴리 지음, 이경아 옮김, 블랙홀, 웜홀, 타임머신, 사이언스북, 2003
Ⅶ. 결론 및 시사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의해 예측된 블랙홀은 더 이상 가상의 존재가 아닌 실체임이 밝혀졌다. 그리고 4차원 시공간의 상대성이론에서 출발한 블랙홀은 정보소실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야기 시켰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책으로 현대 물리학자들은 4차원을 넘어선 새로운 차원의 존재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 우주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된 것이다.
과연 새로운 차원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한다면 어디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을까?
현재 2007년 완공될 예정으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건설 중인 거대강입자가속기에서 4차원 시공간을 넘어선 새로운 차원의 증거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만약 새로운 차원의 존재에 대한 실험적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블랙홀에서의 정보소실 문제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시간과 분리된 3차원 공간에 익숙했던 20세기 초반의 사람들은 아인슈타인의 4차원 상대성이론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나 21세기를 맞이한 현재, 4차원 시공간은 이미 과학적 상식이 되어버렸으며, 우주를 이해하는 근본적인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 상대성 이론 탄생 백주년을 맞이하는 현 시점에서 물리학자들은 새로운 차원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 22세기 우리의 후손들은 5차원 시공간에서 우주를 바라보며 살게 될 지도 모른다.
참고문헌
모리모토 마사키 지음, 정현수 옮김, 전파로 본 우주, 전파과학사, 1994
박석재 지음, 스티븐호킹의 새로운 검은 구멍, 국제언론문화사, 1992
배리 파커, 우주여행, 시간여행, 전파과학사, 1997
이충환, 살림지식총서, 블랙홀, 2003
예음, 스티븐 호킹의 새로운 블랙홀
짐 알칼릴리 지음, 이경아 옮김, 블랙홀, 웜홀, 타임머신, 사이언스북, 2003
추천자료
감마선 폭발과 블랙홀의 모든 것.... (방사선과 우주과학)
우주의 탄생과 블랙홀에 관하여...
[우주의 이해] 블랙홀에 대하여
[블랙홀][블랙홀의 개념][블랙홀의 형성][블랙홀의 존재][블랙홀의 발견][우주][상대성이론][...
[블랙홀][블랙홀의 의미][블랙홀의 발견][블랙홀의 형성][블랙홀의 이론][블랙홀의 적용][우...
[우주][공진화][대우주][소우주][블랙홀][우주산업]우주의 시작, 우주의 끝, 우주의 구성, 우...
[블랙홀][블랙홀의 정의][블랙홀의 발생][블랙홀의 특징][블랙홀의 역사][블랙홀의 존재][블...
우주의 구멍 블랙홀(Blackhol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