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개념
Ⅲ.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의의
Ⅳ.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발달배경
Ⅴ.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절차와 적용
1. 절차
1) 지시어 제시 및 시범
2) 듣고 행동하기(자원자)
3) 듣고 행동하기(전체)
4) 연속하여 듣고 행동하기
5) 역할 바꾸기
2. 실제 적용
1) Review
2) New command
3) Questions and answers
4) Reading and writing
Ⅵ.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전략
1. Using commands to direct behavior
2. Role reversal
3. Action Sequence
Ⅶ.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한계
참고문헌
Ⅱ.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개념
Ⅲ.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의의
Ⅳ.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발달배경
Ⅴ.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절차와 적용
1. 절차
1) 지시어 제시 및 시범
2) 듣고 행동하기(자원자)
3) 듣고 행동하기(전체)
4) 연속하여 듣고 행동하기
5) 역할 바꾸기
2. 실제 적용
1) Review
2) New command
3) Questions and answers
4) Reading and writing
Ⅵ.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전략
1. Using commands to direct behavior
2. Role reversal
3. Action Sequence
Ⅶ.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들이 움직이며 언어를 배우기 때문에 옆 교실에 방해를 주거나 장난스런 수업이 될 수 있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행동으로 표현하는 것을 쑥스러워하는 경향도 있다.
1. Using commands to direct behavior
명령형을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지시하는 것이 TPR의 주요 teaching technique이다. Asher가 말하듯 TPR에서는 수업진행이 활기 있게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사는 미리 계획을 세워 진행해야지 만일 교실에서 command를 생각한다면 수업의 활기를 잃게 된다. 처음에는 의미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교사가 같이 행동을 한다. 그러다가 학습자 혼자 할 수 있도록 한다. Asher는 명령에 변화를 주어 학습자가 행동 자체를 단순히 기억하여 따라하지 않도록 하라고 말한다.
2. Role reversal
수업 진행 후 10시간 내지 20시간째에는 몇몇 학습자들은 말을 하고 싶어 한다. 그때 교사와 역할을 바꾸어 학습자가 교사에게 혹은 동료 학습자에게 명령을 해보게 하는 것이다. 아직 준비되지 않은 학습자에게는 강요하지 않는다.
3. Action Sequence
교사는 Point to the door. Walk to the door. Touch the door.등 일련의 연결된 명령을 한다. 학습자가 더 많이 배울수록 좀 더 긴 형태와 연결된 명령형이 제시될 수 있다.
Ⅶ.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한계
(1) 학습자들이 듣고 전신반응으로 나타내는 연습을 먼저 한 후 말하기를 시작하므로 발화에 있어서 많은 오류가 발생한다.
(2) 명령형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방법론이므로, 추상적 단어의 학습이 어렵고 학습자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3) 성인들은 유치하게 육체적으로 움직이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따라서 성인에게는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4) 이 방법으로 교수할 때는 학습자는 명령에 대해 묵독을 하며 나쁜 발음과 문법적 습관을 형성할 수 있으나, 교사가 알 수 없으므로 수정할 수 없다(오류수정 결여).
참고문헌
김남국 외(1999), 외국어 교수 방법론, 하우출판사
김정렬(2001), 영어 교수-학습 방법론, 한국문화사
김진철(1999), 초등영어 교수법, 학문사
남성우 외(2006),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이옥로(1982), LAD와 조기 영어교육, 영어교육, 한국영어교육학회
정동빈(2000), 영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학문사
1. Using commands to direct behavior
명령형을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지시하는 것이 TPR의 주요 teaching technique이다. Asher가 말하듯 TPR에서는 수업진행이 활기 있게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교사는 미리 계획을 세워 진행해야지 만일 교실에서 command를 생각한다면 수업의 활기를 잃게 된다. 처음에는 의미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교사가 같이 행동을 한다. 그러다가 학습자 혼자 할 수 있도록 한다. Asher는 명령에 변화를 주어 학습자가 행동 자체를 단순히 기억하여 따라하지 않도록 하라고 말한다.
2. Role reversal
수업 진행 후 10시간 내지 20시간째에는 몇몇 학습자들은 말을 하고 싶어 한다. 그때 교사와 역할을 바꾸어 학습자가 교사에게 혹은 동료 학습자에게 명령을 해보게 하는 것이다. 아직 준비되지 않은 학습자에게는 강요하지 않는다.
3. Action Sequence
교사는 Point to the door. Walk to the door. Touch the door.등 일련의 연결된 명령을 한다. 학습자가 더 많이 배울수록 좀 더 긴 형태와 연결된 명령형이 제시될 수 있다.
Ⅶ. 전신반응교수법(전신반응교육, TPR)의 한계
(1) 학습자들이 듣고 전신반응으로 나타내는 연습을 먼저 한 후 말하기를 시작하므로 발화에 있어서 많은 오류가 발생한다.
(2) 명령형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방법론이므로, 추상적 단어의 학습이 어렵고 학습자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3) 성인들은 유치하게 육체적으로 움직이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따라서 성인에게는 적절한 방법이 아니다.
(4) 이 방법으로 교수할 때는 학습자는 명령에 대해 묵독을 하며 나쁜 발음과 문법적 습관을 형성할 수 있으나, 교사가 알 수 없으므로 수정할 수 없다(오류수정 결여).
참고문헌
김남국 외(1999), 외국어 교수 방법론, 하우출판사
김정렬(2001), 영어 교수-학습 방법론, 한국문화사
김진철(1999), 초등영어 교수법, 학문사
남성우 외(2006), 언어교수이론과 한국어교육, 한국문화사
이옥로(1982), LAD와 조기 영어교육, 영어교육, 한국영어교육학회
정동빈(2000), 영어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학문사
추천자료
[행동주의이론][행동주의 학습이론][스키너]행동주의 이론과 행동주의 학습이론 분석 및 행동...
통합적 구성 접근법을 통한 유아교육의 방법과 효과
영어교수법 중간시험과제물 C형
[수업지도안][5. 내용상세화 中 ‘창의적으로 반응하기’6-2-첫째마당 <마음의 결을 따라>[창의...
성경교수학발제-창조적인 성서교수법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 의미, 독자반응이론 분류]독자반응이론(독...
[영유아 교수법] 내 친구 알록달록 색 (만2세)
기초간호과학 2016+1.면역에서 과민반응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4가지 과민반응별로 ...
영유아기 영아반(만0세~만2세)과 유아반(만3세~만5세)으로 나누어 수학교육 교수법을 상호작...
기초간호과학 2017-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 분류와 그 예, 염...
기초간호과학 2017-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염증의 형태적 분류와 그...
급성 염증과 만성 염증의 특징적인 차이를 제시하고,염증의 형태적 분류와 그 예를 제시 양성...
2017 기초간호과학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의 특징적인 차이 염증의 형태적분류와 그 예를 제시 ...
[2018 유아교육론1D]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하는 교수-학습 원리에 대해 논하고 교수-학습 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