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악기 거문고, 타악기 편종, 편경, 타악기 심벌즈, 타악기 큰북, 작은북, 타악기 핸드벨, 타악기 캐스터네츠, 마라카스, 관악기 리코더, 아코디언, 타현악기 피아노, 현악기 기타, 바이올린, 현악기 시타르, 탐부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악기 거문고, 타악기 편종, 편경, 타악기 심벌즈, 타악기 큰북, 작은북, 타악기 핸드벨, 타악기 캐스터네츠, 마라카스, 관악기 리코더, 아코디언, 타현악기 피아노, 현악기 기타, 바이올린, 현악기 시타르, 탐부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현악기 거문고

Ⅲ. 타악기 편종과 편경
1. 편종
2. 편경

Ⅳ. 타악기 심벌즈
1. 자세
2. 연주법

Ⅴ. 타악기 큰북과 작은북
1. 큰북
1) 자세
2) 연주하기
3) 유의할 점
2. 작은북
1) 자세
2) 연주하기
3) 유의할 점

Ⅵ. 타악기 핸드벨

Ⅶ. 타악기 캐스터네츠와 마라카스
1. 캐스터네츠
1) 자세
2) 연주법
2. 마라카스(마르카사)
1) 자세
2) 연주법

Ⅷ. 관악기 리코더
1. 리코더 구조
2. 리코더 종류
1) 소프라니노 리코더
2) 소프라노 리코더
3) 알토 리코더
4) 테너 리코더
5) 베이스 리코더

Ⅸ. 관악기 아코디언
1. 자세
2. 연주하기
3. 바람통 여닫기
4. 유의할 점

Ⅹ. 타현악기 피아노

Ⅺ. 현악기 기타

Ⅻ. 현악기 바이올린

ⅩⅢ. 현악기 시타르

ⅩⅣ. 현악기 탐부라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를 줄 수 있으며 음에 여러 가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만능 악기이다.
피아노는 목재 및 펠트 등의 천연소재로 제작되며 600여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온도 및 습도에 민감한 반응을 갖고 있다. 또한 한음 당 1~3개의 현으로 되어 있으며 현 1개당 약 80Kg의 장력으로 전체적으로는 20Ton이라는 장력이 있어 시간이 흐를수록 음정이 낮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6개월에 한번씩 반드시 조율이 필요하다.
. 현악기 기타
기타는 머리-네트-공명판의 세 부분으로 나뉘게 된다. 헤드머신(줄감개)로 줄을 조율해서 6음으로 나뉘게 된다, 앞판에 있는 줄을 치면 공명통을 통해서 소리가 울리게 된다. 핑거보드에서 코드를 잡거나 음을 잡아 화음을 낸다.
. 현악기 바이올린
바이올린은 관현악과 실내악, 그리고 독주 분야에 있어서 가장 중심적인 지위에 있는 바이올린족의 대표적인 악기이다.
바이올린은 현악기 중 가장 작은 악기기지만 감성적이고 섬세하여 모든 악기 중 가장 표현 이 풍부한 악기이다. 바이올린의 앞판과 옆판은 보통소나무 또는 전나무를 재료로 하며 뒷판 은 단풍나무를 쓴다. 앞판과 뒤판의 가운데가 둥글게 튀어 나오고 몸통의 위, 아래와 가운데 부분이 바깥쪽과 안쪽으로 둥글게 굴곡이 졌는데, 이러한 것들은 나무를 휘어서 만든 것이 아니고 그렇게 깍은 것이다. 공명과 나무결의 역학관계에 따라 앞판은 세로로 뒷판은 가로로 자른 나무 널빤지로 만든다. 이들 나무들은 좋은 울림을 위하여 잘 건조 된 것이어야 한다. 앞판과 뒷판이 옆판을 가운데 두고 맞붙여진 빈 통인 몸통은 공명통의 구실을 하며, 줄의 진동은 브리지(brige)를 통하여 앞판에 공명한다.
ⅩⅢ. 현악기 시타르
시타르라는 악기의 이름은 13세기에 살았던 것으로 전해지는 아미르 쿠스로에 기원하고 있다고 한다. 본래 이 악기의 이름은 페르시아에서 전래된 것으로 \"세타르 즉 세줄\"이라는 의미로서 인도로 들어와서 시타르라고 불리게 되었다.
시타르는 류트(13세기-17세기)과에 속하는 악기로서 공명판을 위하여 알맞은 호리병박과 티크나무로서 만들어진다. 여기에는 여섯 혹은 일곱 개의 메인현과 11개에서 19개의 공감현이 있다. 메인현에서 4줄은 연주를 위한 것이고 2줄 혹은 3줄은 리듬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시타르는 20개의 플랫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현으로 묶여있는 길고 속이 비어있는 악기의 목 부분은 특별한 라가의 음계에 적응하기 위해 쉽게 운지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조율이 되어 있는 메인현은 오른손의 손가락에 끼우는 픽(미즈랍)으로 뜯어지며 연주되는 것이다. 기타의 현들은 역시 조율이 되며 일반적으로 메인현의 소리를 공명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 이 줄들도 메인 현 사이에 끼워져 있는 오른손의 작은 손가락에 의해 뜯겨 연주되기도 한다. 시타르는 다양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작은 사이지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의해 연주 되며 어떠한 것들은 악기목의 끝 부분에 보조 공명판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인도 음악가들 사이에 가장 대중적으로 연주되는 현악기인 시타르는 해외에서도 인도의 악기로 매우 잘 알려져 있다.
페르시아의 악기인 세타르(setr)가 14세기 무렵에 인도에서 개량된 것이다. 통주저음을 내는 탐부라나 타블라(tabla) 등과 함께 독주악기로 사용되거나 북부 인도의 카타크춤(kathak dances)을 출 때 반주용으로 사용되었다.
목이 긴 탄부르와 가늘고 정교한 비나 등으로부터 발전된 것으로, 힌두음악에서는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한다. 탄부르와 마찬가지로 시타르도 불룩한 배 모양의 동체를 지니고 있으며, 금속 현으로부터 고음이 나오는데, 앞쪽과 옆쪽에 모두 줄감개가 있다. 그러나 목은 탄부르보다 넓으며, 프렛은 이동이 가능하다.
정상적인 경우 5줄의 멜로디 현과, 때로는 리듬이나 박자를 강조하는 데에도 사용되는 5, 6줄의 저음 현으로 되어 있으며, 가는 목 안에 있는 볼록한 프렛 아래에는 9~13개의 공명 현이 자리 잡고 있다. 음역은 대략 중간 C 아래의 F보다 높다. 볼록한 프렛은 꾸밈음을 연주하기 위해 현을 옆쪽으로 당기기 쉽게 해준다.
목 부분 끝의 줄감개집 아래에 호리병 같은 것이 붙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비나를 연상시키며, 실제로 3개의 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트리탄트리 비나(tritantri vina)라고 한다. 오른손 검지에 철사로 만든 픽을 끼고 현을 뜯으며 연주하게 되어 있다.
ⅩⅣ. 현악기 탐부라
목이 길고 프렛이 없는 류트로, 인도음악에서 단조로운 저음으로 반주할 때 사용되며, 가수나 독주자가 멜로디에 해당하는 라가(raga)를 전개시키는 데 기본이 되는 음의 틀을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동의 탄부르를 본뜬 것이기 때문에 그것과 비슷하며 나무나 둥근 호리병박의 몸통을 연주자의 오른쪽 다리에 얹고 수직으로 세운 채 연주한다.
프렛이 없는 기다란 네크 부분에 4개의 금속현이 있는데, 이 4개의 금속으로 된 현을 당기듯 퉁겨서 c-c-c-g나 c-c-c-f를 상대적인 음높이로 연주하며 플렉트럼은 사용하지 않는다. 현과 아래쪽 현받침 사이에 모직이나 비단 조각을 삽입하거나 현에 붙어 있는 작은 구슬을 조정하여 보다 정확한 음을 살려낼 수 있다. 3줄은 옥타브 유니즌으로 조율되고 나머지 1줄은 딸림음 또는 버금딸림음으로 조율된다.
일반적으로 차르멜라백파이프 등 5음 음계의 음악을 연주하는 관악기와 타악기로 이루어진 민속음악을 연주할 때 반주악기로만 사용되며 개방현만으로 드론(drone)을 연주한다. 이집트와 수단, 아랍제국, 이라크 남부 등의 아라비아반도에서 볼 수 있으며, 흑인노예들에 의해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김공선(1994), 음악교육,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 반혜성(1999), 전통음악이론, 서울 : 도서출판 두남
▷ 삼성어린이박물관(1995), 우리문화 발견 악기, 길벗
▷ 이재화(1985), 거문고 산조의 선율 연구 - 한갑득류 진양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강숙(1982), 음악의 방법, 서울 : 민음사
▷ 정대석(1990), 거문고 세바탕, 은하출판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