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API kit을 이용한 미생물 동정 실험에 대한 배경지식 및 실험 목적
2. 실험 재료 및 과정
3. 실험 결과 및 고찰
2. 실험 재료 및 과정
3. 실험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느껴지지 않았으며, 단맛이 약했고, 걸쭉한 느낌이 강했고, 맹맹한 맛이 났다.
비교 해 본 결과, 당이 많을수록 산도는 낮은 편 이었다. 산도를 비교하면 3번 균인 Str. thermophilus 균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책에 있는 주요 스타터의 특징 표를 확인해 보니 세 균 중 Str.thermophilus가 우유 중의 최종 pH가 가장 높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에 항온수조에 넣기 전, 탈지분유가루와 증류수, 설탕을 잘 섞어주지 않으면 요구르트가 덩어리지는 것도 알았다. 우리 조는 특히 오랫동안 섞어 마지막으로 실험했는데, 그 결과 덩어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설탕량이 많으면 달콤한 맛이 확실히 강했다. 관능평가도 역시 중화적정처럼 개인적인 기준으로 실시되므로 산도와 관계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우리의 관능평가 경험부족과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평가였던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직접 요구르트를 제조했다는 사실에 신기하였고, 다들 직접 만든 요구르트를 맛보는 평가였기 때문에 대체로 맛있게 느낀 것 같았다. 마지막 조는 관능평가 결과 신맛도 단맛도 약했고 맹맹한 맛이 났다는 것을 보아 세 균이 다 섞여 들어갔고 당량이 적었기 때문에 균들이 제대로 발효를 해내지 못한것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 발효식품학
이삼빈, 고경희, 양지영, 오성훈, 김재근/ 2004/ 273~278/ 도서출판 효일
- 식품발효미생물학
김동신/ 1998/ p. 25~29/ 유한문화사
- 현대 식품미생물학
소명환, 이효, 이효구, 홍재훈, 황한춘/ 2006/ p.358 표 8-9/ 도서출판 효일
비교 해 본 결과, 당이 많을수록 산도는 낮은 편 이었다. 산도를 비교하면 3번 균인 Str. thermophilus 균이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책에 있는 주요 스타터의 특징 표를 확인해 보니 세 균 중 Str.thermophilus가 우유 중의 최종 pH가 가장 높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음에 항온수조에 넣기 전, 탈지분유가루와 증류수, 설탕을 잘 섞어주지 않으면 요구르트가 덩어리지는 것도 알았다. 우리 조는 특히 오랫동안 섞어 마지막으로 실험했는데, 그 결과 덩어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설탕량이 많으면 달콤한 맛이 확실히 강했다. 관능평가도 역시 중화적정처럼 개인적인 기준으로 실시되므로 산도와 관계없는 결과가 나타났다. 우리의 관능평가 경험부족과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평가였던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직접 요구르트를 제조했다는 사실에 신기하였고, 다들 직접 만든 요구르트를 맛보는 평가였기 때문에 대체로 맛있게 느낀 것 같았다. 마지막 조는 관능평가 결과 신맛도 단맛도 약했고 맹맹한 맛이 났다는 것을 보아 세 균이 다 섞여 들어갔고 당량이 적었기 때문에 균들이 제대로 발효를 해내지 못한것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 발효식품학
이삼빈, 고경희, 양지영, 오성훈, 김재근/ 2004/ 273~278/ 도서출판 효일
- 식품발효미생물학
김동신/ 1998/ p. 25~29/ 유한문화사
- 현대 식품미생물학
소명환, 이효, 이효구, 홍재훈, 황한춘/ 2006/ p.358 표 8-9/ 도서출판 효일
소개글